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틴푸아 공화국''' '''Republic of Tinpua''' ||<table align=right><table width=260><bgcolor=#088A08><-4><:>{{{#white {{{+1 '''틴푸아 공화국'''}}}[br]{{{+1 '''Republic of Tinpua'''}}}[br]{{{+1 '''مملكة مسندم'''}}}}}}|| ||<:><-4>[[파일:FLAG99.png|width=200]]|| ||<-4><:><#088A08>'''{{{#white 국기}}}''' || ||||<bgcolor=#088A08><:>{{{#white '''국가'''}}}||<-4> 평화의 틴푸아 || ||||<bgcolor=#088A08><:>{{{#white '''면적'''}}}||<-4> 1,485km² || ||||<bgcolor=#088A08><:>{{{#white '''인구'''}}}||<-4> 54만 명 || ||||<bgcolor=#088A08><:>{{{#white '''인구밀도'''}}}||<-4> 364.8명/ km² || ||||<bgcolor=#088A08><:>{{{#white '''수도'''}}}||<-4> 틴푸아 시티 || ||||<bgcolor=#088A08><:>{{{#white '''공용어'''}}}||<-4> 영어 || ||||<bgcolor=#088A08><:>{{{#white '''정치체제'''}}}||<-4> 입헌군주제,공화제,의원내각제,단원제 || ||||<bgcolor=#088A08><:>{{{#white '''경제체제'''}}}||<-4> 자본주의,시장경제 || ||||<bgcolor=#088A08><:>{{{#white '''국교'''}}}||<-4> 없음 || ||||<bgcolor=#088A08><:>{{{#white '''화폐단위'''}}}||<-4> 틴푸아 달러 || ||||<bgcolor=#088A08><:>{{{#white '''총리'''}}}||<-4> [[Oscar Dewpelt]] || ||||<bgcolor=#088A08><:>{{{#white '''국왕'''}}}||<-4> [[James Blair]] || ||||<bgcolor=#088A08><:>{{{#white '''GDP'''}}}||<-4> $18,900,000,000 || ||||<bgcolor=#088A08><:>{{{#white '''1인당 GDP'''}}}||<-4> $35,000 || ==상징== === 국명 === 틴푸아 공화국의 가장 큰 섬의 이름인 틴푸아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 국기 === 맨위의 민트색은 하늘을,중간의 초록색은 대지를, 아래의 갈색은 틴푸아 국민의 뿌리,근본을 의미한다 === 국가 === 국가의 이름은 "평화의 틴푸아"이다 ==언어== 영어를 공용어로 채택하고 있다 == 정치/행정 == ===국왕과 총리=== 엄밀히 따지자면 왕국이므로, James Blair를 틴푸아의 국왕으로서 국가원수로 모시지만,정치적인 권력은 없고, 실제로 국가원수 역할은 총리이며, 이는 총선에서 승리한 여당의 당수가 맡게 된다. ===의회=== 틴푸아는 단원제 의회를 도입하고 있고 양당제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국가다, 진보 진영의 진보당과, 보수 진영의 공화당이 있다. 총 의석수는 45석이며, 총선은 5년마다 실시한다.승리한 정당의 당수가 총리가 되며, 총리에게 장관 지명권이 주어진다. 총 30개 지역구에서 선거를 실시하며 나머지 15석은 비례대표제를 통해 의원을 선출한다. 공화당, 진보당을 제외한 나머지 정당은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기타 정당은 총선에 후보를 낼 수 없고, 무소속으로 출마도 불가능하다. ===내각 구성=== 현재 운영되고 있는 내각의 명단이다 내무부(총리가 겸임) 외교부 법무부 국토방위부 재정경제부 고용촉진부 보건사회복지부 농수산부 과학기술통신부 산업통상부 문화교육부 교통부 환경부 ==통일== 사우디아라비아가 무주지가 될 위기에 처했을 때 양국 국민의 요구와 국제사회의 인정속에 무산담 왕국이 사우디아라비아를 흡수통일하였다. == 군사 == 병력 및 장비 현황 ==경제== 무산담 왕국은 천연자원이 풍부한 나라이다, 하지만 국왕인 Imaad Al Sabet은 먼 미래에 원유의 시대가 종결될 것을 우려하여 공업과 농업에 대대적인 투자를 하고있다, 대표적으로 사막 녹지화 프로젝트, 해수담수화 프로젝트 등이 있다, 특히 공업 부분에서는 [[https://wikis.krsocsci.org/index.php?title=%EC%95%B1%EC%86%94%EC%A0%84%EC%9E%90%EC%9D%98_%EA%B3%B5%EC%9E%A5|APSOL그룹]]과의 제휴하에 샤크라시의 토지 70 헥타르를 임대하고, 베아트리 그룹과도 협상을 통해 수도 리야드 근교에 공장을 가동시키기로 하였다 틴푸아 공화국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