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이승재''' (李昇渽, 1953년 8월 23일 ~ )는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다. [[옹진군·강령군·벽성군]] 지역구의 제20대 [[대한제국 의정위원|의정위원]]으로, 소속은 [[자유한국당]]이다. == 생애 == 1953년 경기도 [[인천광역시|인천시]] 송현동 (현 [[인천광역시]] [[화도진구]] 송현동)에서 [[옹진군 (황해남도)|옹진군]] 출신 실향민으로 태어났다. 인하대학교에 재학하던 중 유신 개헌에 반대하는 민주화 운동에 가담하였으며 이로 인해 2년의 징역형에 처하였다가, [[육군 제1군단 (대한제국)|육군 제1군단]] [[1포병여단 (대한제국)|1포병여단]]에 배치되어 병역을 이행하였다. 1978년에 전역 후, 1980년에 졸업할 수 있었다. 1983년부터 2003년까지 궁내원 (현 [[대한제국 궁내처]])에서 근무하였다. [[국민의 내각]] 말기인 2002년 ~ 2003년에는 궁내원장을 지냈다. 2003년 1월 [[참여내각]]의 내각 구성 과정에서 궁내원장직을 물러났고 (이 때 궁내원이 부총리 직속 궁내처로 개편되었다),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제17대 의정위원 선거]]에 출마하게 되었다. 2004년 [[제17대 의정위원 선거]]에 [[한나라당]] 소속으로 [[옹진군·강령군·벽성군]] 지역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제17대 총리대신 선거]]에서 [[이명박]] 캠프에 합류하여 [[친이]]계에 속하였다. 2008년 [[제18대 의정위원 선거]]에 한나라당 소속으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의정원 지식경제위원회 간사를 지냈다. 2012년 [[제19대 의정위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의 친이계 인사 공천 배제에 반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엄석대]]와 함께 [[비박]] 무소속 연대를 구성하였으며, 엄석대의 복당 이후에도 "박근혜가 물러날 때까지 무소속으로 활동하겠다"며 새누리당 입당을 거부하였다. 그러나 임기 중에는 현안 문제에서 새누리당 의원들과 자주 의견을 같이하며 사실상 보수 진영의 일원으로 활동하였다. 2016년 [[제20대 의정위원 선거]]에서도 무소속으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늘푸른한국당]] 창당 당시나 2016년 12월 28일 [[바른정당]] (개혁보수신당) 창당 당시 입당설이 돌았으나 이를 부인하였으며, 2017년 2월 17일, [[제19대 총리대신 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의 후신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였다. 2018년 현재 자유한국당의 황해남도당 위원장이며, 의정원에서는 운영위원회 간사를 맡고 있다. 운영위원회에는 궁내청 관련 감사도 포함되어 있어 [[의정원 대정부·대황실 질문]]에서 운영위 위원들은 우선권을 얻는다. == 성향 == 궁내원 (현 궁내처)에서 20년 가까이 근무하여 궁내원 관련 현안에 대해 박식한 한편으로, 황제와 오랫동안 가까이 해왔기 때문에 [[대한제국 황실]]에 우호적인 인사로 분류된다. [[바른정당]]에 합류하지 않은 것도 바른정당이 '군주국 내 공화주의' (군주제 폐지와 공화정 시행 촉구)를 요구하는 상도동계, 이회창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반감을 품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유림회]] 측 유학자들이 현재의 황실에 대하여 전통을 내다 버리고 서양적인 문물을 받아들이고 있다고 비난하자, 유학자들을 두고 시대착오적인 적폐를 전통이라고 우긴다고 비난하여 논란을 빚기도 하였다. 17대 의정위원 당시 [[황실문화연구원]] 창립을 위해 많은 지원을 하였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황실문화연구원의 명예위원을 맡고 있다. == 선거 이력 == == 주석 == {{주석}} == 둘러보기 == {{제20대 의정위원/황해남도}}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원본 보기) 틀:일반 기타 (원본 보기) 틀:정당색/대한제국 (원본 보기) 틀:제20대 의정위원/황해남도 (원본 보기) 틀:주석 (원본 보기) 모듈:Check for unknown parameters (원본 보기) 이승재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