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onlyinclude>{{나라 정보 |나라이름=아스토츠카 인민공화국 |현지이름=Àùßþòþßùķà |다른표기=Austotsuka |국기_그림= 아스토츠카 국기 1917년 ~|450px|프레임|오른쪽]] |나라_표어= 아스토츠카와 주체 조국,인민들의 번영을 위하여! |지도_그림= 아스토츠카 영토.png |수도=[[그리스|대살로니카]] |말풍선=대살로니카는 아스토츠카의 [[수도]]이다. 아테네와는 달리 공업적인 분위기가 물씬난다. |공용어=[[독일어]] [[한국어]] [[터키어]] [[프랑스어]] [[루마니아어]] [[영어]] [[일본어]] [[남아공어]] [[헝가리어]]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아랍어]] |정치체제= 일당독재체제,공산주의 |지도자_칭호1= 아스토츠카 서기장 |지도자_이름1= 이오시프 트로츠키 |지도자_칭호2= 아스토츠카 서기 |지도자_이름2= 레온드 카르피예스 |지도자_칭호3= 하로칸 부서기 |지도자_이름3= 공석 (없음) |지도자_칭호4= 하로칸 국방청장 |지도자_이름4= 아르디 쿠르크 |지도자_칭호5= 하로칸 안보청장 |지도자_이름5= 민스크 카르디예프 |지도자_칭호6= 하로칸 외교청장 |지도자_이름6= 아수르 리디르 |정부수립1=[[1917 소비에트 노동당의 혁명|트로츠키 도피와 동시에 임시정부수립]] |정부수립일1=[[1918년]] [[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건국후|2월 17일]] |정부수립2=[[아스토츠카 대표정부|공식 정부]] 수립 |정부수립일2=[[1918년]] [[5월 5일]] |통화=[[대한민국 원|원]] (WON,₩) |통화기호=WON |시간대=[[아스토츠카 개별 지정 표준시|ATPT]] |UTC_시차=+2 |국가도메인=[[.at]] / [[.아츠]] |국제전화번호=39 }}</onlyinclude> == 개요 == 아스토츠카 인민공화국은 1917년 12월 맨셰비키 임시정부를 처음으로보며 1918년부터 공산주의, 일당독재체제를 둔국가이다. == 가상방송국 == [[아츠 조국 방송]] == 정치 == 아스토츠카 인민공화국은 정치제도가 간단하다. 우선 서기장,서기,부서기 3인이서 개최하는 아스토츠카 최고 집행회의가 있으며. 여기서 나온 집행판결문을 각 국가부청장들이 확인하고 아스토츠카 부별 국무회의를 연다. 이렇게 나온것이 그대로 국가에 반영된다. == 역사 == 1922년12월.소비에트 연방의 창설이후 맨셰비키와 자유주의자,재정국가원들,기타 반대파 시민들을 이끈 레온 트로츠키는.핀란드에 임시정부를 세운다.이것이 아스토츠카 인민정부이다. 아스토츠카 인민정부는 흩어져있던 민주당원, 복고주의자들을 끌어모아 저항군을 결성하였고. 그리스의 해협과 항구를 노리게 된다.그리고 그들의 장비를 상륙으로 빼앗는다. 그리스정부는 반란을 진압하기위해 군을보내지만 노획당한 장비와 러시아를 바꾼 제국군,혁명군들에게 게릴라전술,시가전등으로 당하게된 그리스 정부는 결국 아테네까지의 땅을 내주게 된다. 허나 그들은 그리스인들과 국경을 봉쇄했고 빠져나가지 못한 이들은 아스토츠카에게 간다.그리고 여러 복지정책에 빠진 그리스인들도 건너오게 되고.2차 그리스-아스토츠카 전쟁이 발발하게된다. 그리스는 어떻게든 국경을 밀고갈려했지만 동시다발적 상륙작전.마더츠키 작전에 의해 항구가 점령당하고 테살로니키까지 봉쇄 당하였으며.결국 항복한다. 그후 완벽한 정권을 잡은 아스토츠카는 아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Br 분리 기입 (원본 보기) 틀:Isnumeric (원본 보기) 틀:나라 정보 (원본 보기) 틀:정보상자 (원본 보기) 모듈:Br separated entries (원본 보기) 모듈:Infobox (원본 보기) 모듈:InfoboxImage (원본 보기) 모듈:Navbar (원본 보기) 아스토츠카 인민공화국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