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방콕 하밋 엘리펀츠'''는 방콕 특별 행정시를 연고지로 하는 [[타이 야구 선수권 대회]] 소속 프로 야구단이다. 타이 하밋 그룹의 계열사로 방콕 종합운동장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방콕 하밋 엘리펀츠는 1954년 6월, 시민구단인 방콕 엘리펀츠로 창단하였으며 같은 해 개최된 타이 프로야구 리그에 참가하였다. 리그 원년인 1954-55 시즌부터 리그 마지막인 1959-60 시즌까지 우승을 차지하였으나, 관중 부족과 운영난, 선수 수급의 문제로 리그가 중단되면서 구단 운영이 중단되게 되었다. 이후 1965년에 출범된 방콕 야구 대회에 참가하여 1986년 프로리그인 타이 야구 선수권 대회 출범 때까지 총 8회의 종합 우승을 차지하였다. 타이 야구 선수권 대회 원년인 1986-87 시즌에는 리그 1위를 하였으나 결승인 타이 시리즈에서 [[유니온 타이거스]]에게 패배하며 준우승에 그쳤고, 1988-89, 1989-90, 1990-91, 1992-93, 1993-94, 1994-95, 1995-96 시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으나 1991-92 시즌에서 1회 우승하는 것에 그쳤다. 수도를 연고지로 한다는 점과, 초창기의 전성기에 이어 2000년대 들어 암흑기에 빠져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LG 트윈스와 비슷한 위치의 구단이다. == 역사 == === 방콕 엘리펀츠 (1954년 ~ 1985년) === 1954년 방콕을 연고지로 창단하였으며, 최초의 프로 야구 리그인 타이 프로야구 리그에서 전부 우승하였다. 넓은 선수풀과 자원이 큰 이점이었으나, 리그 해체로 직격탄을 맞게 되었고, 사실상 준프로리그인 방콕 야구 대회에 참가하며 명맥을 유지했다. === 방콕 하밋 엘리펀츠 (1985년 ~ 현재) === 1985년 타이 야구 연맹의 조직과 함께 정부에서 주요 기업의 야구단 운영을 추진하도록 함에 따라 타이 하밋 그룹에서 인수, 방콕 하밋 엘리펀츠로 출범하게 되었다. 초창기에는 강팀으로 매번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나 우승과는 거리가 멀었다. ==== 판니엔 감독 체제 ==== 중화민국과 일본에서 야구 유학을 했던 쿠안 판니엔 감독'''방콕 하밋 엘리펀츠'''는 방콕 특별 행정시를 연고지로 하는 [[타이 야구 선수권 대회]] 소속 프로 야구단이다. 타이 하밋 그룹의 계열사로 방콕 종합운동장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방콕 하밋 엘리펀츠는 1954년 6월, 시민구단인 방콕 엘리펀츠로 창단하였으며 같은 해 개최된 타이 프로야구 리그에 참가하였다. 리그 원년인 1954-55 시즌부터 리그 마지막인 1959-60 시즌까지 우승을 차지하였으나, 관중 부족과 운영난, 선수 수급의 문제로 리그가 중단되면서 구단 운영이 중단되게 되었다. 이후 1965년에 출범된 방콕 야구 대회에 참가하여 1986년 프로리그인 타이 야구 선수권 대회 출범 때까지 총 8회의 종합 우승을 차지하였다. 타이 야구 선수권 대회 원년인 1986-87 시즌에는 리그 1위를 하였으나 결승인 타이 시리즈에서 [[유니온 타이거스]]에게 패배하며 준우승에 그쳤고, 1988-89, 1989-90, 1990-91, 1992-93, 1993-94, 1994-95, 1995-96 시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으나 1991-92 시즌에서 1회 우승하는 것에 그쳤다. == 역사 == === 방콕 엘리펀츠 (1954년 ~ 1985년) === 1954년 방콕을 연고지로 창단하였으며, 최초의 프로 야구 리그인 타이 프로야구 리그에서 전부 우승하였다. 넓은 선수풀과 자원이 큰 이점이었으나, 리그 해체로 직격탄을 맞게 되었고, 사실상 준프로리그인 방콕 야구 대회에 참가하며 명맥을 유지했다. === 방콕 하밋 엘리펀츠 (1985년 ~ 현재) === 1985년 타이 야구 연맹의 조직과 함께 정부에서 주요 기업의 야구단 운영을 추진하도록 함에 따라 타이 하밋 그룹에서 인수, 방콕 하밋 엘리펀츠로 출범하게 되었다. 초창기에는 강팀으로 매번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나 우승과는 거리가 멀었다. ==== 판니엔 감독 체제 ==== 중화민국과 일본에서 야구 유학을 했던 쿠안 판니엔 감독 체제를 시작으로 방콕 하밋 엘리펀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리그 첫 해에는 76승 44패로 리그 1위를 차지하였으나 원년 우승의 영광을 유니온 타이거스에게 내어줄 수 밖에 없었다. 베트남계 출신인 응우옌 팟, 젠칸 리우 등의 야수진과 중국계 웨이왕주, 낫 투안 등의 투수진이 활약하며 전성기를 열었고, 안정적인 순위권을 토대로 매번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지만 1991-92 시즌에 1회 우승에 그쳤다. 1996-97 시즌부터는 주축 선수들의 은퇴와 유출 등으로 성적이 추락하기 시작하였으며, 1997-98 시즌에는 구단 역사상 최초로 꼴찌를 하는 등 암흑기가 이어졌다. 결국 쿠안 판니엔 감독은 1998-99 시즌까지 2년 연속 꼴찌라는 불명예 속에서 장장 13년의 방콕 하밋 엘리펀츠와 계약 해지 통보를 받게 되었다. ==== 돈푸 카오 감독 체제 ==== 장기간의 암흑기에 접어든 구단은 2001-02 시즌을 앞두고 신임 감독으로 1986년부터 1988년까지 엘리펀츠의 벤치 코치이자, 쑤랏타니 센트럴 스타즈 출신 투수 코치였던 돈푸 카오을 임명하였다. 그러나 인력 유출과 영입 실패가 반복되며 2001-02, 2002-03 시즌에서 모두 5위를 기록하며 실망스러운 성적을 거두었다. ==== 단 쿠안 감독 체제 ==== 방콕 하밋 엘리펀츠는 2001-02 시즌 종료 후, 벤치 코치였던 단 쿠안 코치를 내부 승격을 통해 감독으로 인선하였다. 단 쿠안 감독은 부임 첫 해 2003-04 시즌에서 2위의 성적을 거두며 7년 만에 팀을 플레이오프에 이끌게 되었다. 그러나 다음 해에는 5위에 그치며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주었고, 2005-06 시즌에서 3위의 성적을 거두며 다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나 무기력한 경기력으로 패배하였다. 2006-07 시즌에서 다시 5위라는 실망스러운 성적을 거두며 계약 종료와 함께 팀을 떠나게 되었다. == 통산 기록 == == 선수단 == === 주요 선수 === === 영구 결번 === * '''#26 르마 메이나키''': 1989년부터 1996년까지 방콕 하밋 엘리펀츠에서 뛰었던 투수로, 통산 341경기에서 모두 선발로 출전하여 149승, 109패, 1758개의 삼진을 기록하였다. 1997년에는 선수 봉급 문제로 구단과의 마찰로 [[쑤랏타니 센트럴 스타즈]]로 2:1 트레이드되었으며, 센트럴 스타즈에서도 계약 문제로 1년 만에 자유계약 신분이 되었다. 1998년에는 [[유니온 타이거스]]와 5년 8천 달러로 계약하여 준수한 활약을 펼쳤고, 2002년 치앙마이 파이낫 라이온스로 2:1 트레이드되었다. 2003년에는 다시 쑤랏타니 센트럴 스타즈와 3년 1,350달러에 계약하였으나, 많은 나이와 6.42의 방어율과 3승 13패의 저조한 성적을 거두며 2003-04 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하였다. 은퇴 이후 2007년에 그의 공로와 야구 선수의 권익에 힘쓴 공적을 바탕으로 방콕 하밋 엘리펀츠에서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였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Infobox (원본 보기) 틀:정보상자 (원본 보기) 모듈:Infobox (원본 보기) 모듈:Navbar (원본 보기) 방콕 하밋 엘리펀츠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