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읽기 전에== 이 글은 '''라리마제국'''의 역사를 중심으로 서술하지만, 라리마제국에 과거 존재하였던 '''셀레스틴 공화국'''과 '''광명민국'''의 역사에 관해서도 설명합니다. 또한 이 문서는 실제 역사를 다루지 않습니다. == 개요 == [[라리마 제국]]의 역사는 [[1741년]], 러시아 해군 소속 비투스 베링에 의해 발견되면서 시작된다. == 고대 == === 러시아 이전 === [[러시아 제국]]이 이 지역에 당도하기 전까지 라리마는 여전히 신석기 시대 수준에 불가했다. 이들 민족은 코랴크인과 알류트인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약 5,000 ~ 7,000명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캄차카(알류산) -> 아니안 -> 라리마 섬 순서로 넘어 왔으리라 추측된다. 이들은 아니안 섬 전역, 라리마 섬 북부 멀린 지역에 살았다. 또 셀레스틴 섬의 폴리네시아인들은 기원 후 1,000년 경에 하와이에서 넘어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 근세 == === 개척기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라리마제국 1800년대.png|width=500]] || ||<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라리마 제도의 1800년대 모습}}}''' || 이 지역이 처음 발견된 때는 [[1741년]] 러시아에 의해서였다. [[1741년]], [[비투스 베링]]이 베링 해협과 알류산 열도를 발견할 때 라리마 섬과 아니안 섬도 발견되었고, 1747년 올레그 솔로브요프가 아니안 섬을 정착지로 삼았고 아니안 섬과 라리마 섬 일대의 이름을 오텬 보스토크(대양을 점령한다.)라고 이름 짓는다. [[1754년]] 바짐 그리고리예프는 현재의 라리마 멀리니아 지역에 정착했다. 이때부터 아주 조금씩 이주가 시작되었으며, [[1780년]] 경에는 인구가 1,500명에 달했다고 한다. 이중 900명 가량은 아니안 섬에, 600명 가량은 라리마 섬에 정착했으며, 원주민과 대치했다고 알려져 있다. 러시아가 극동을 개척할 동안, [[1778년]] 제임스 쿡 선장을 앞세운 영국의 3차 항해에서 쿡 선장은 셀레스틴 섬을 발견했다. [[1786년]]부터 영국 정부는 셀레스틴 섬을 죄수 수용소로 쓰려 했지만, 뉴사우스웨일스[* 현재의 [[오스트레일리아]]]에 밀려 각광받지 못하다가 [[1791년]]에는 완전히 끊겨버린다. === 1차 대호황 === 러시아의 페벨 1세와 알렉산드르 1세는 라리마 지역의 중요성을 깨닫고 포스페이트 지역을 러시아령 아메리카의 주도로 지정하고 이민정책을 실시한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원주민들은 북부 멀린 황무지로 밀려났으며, 아니안 섬에서는 버려지거나 학살당하는 등 인구수가 급감한다. [[1799년]], 1,500명에서 시작해 러시아령 라리마의 인구는 [[1829]]년에는 54,000명까지 증가했고, 이듬해 러시아령 아메리카에서 분리해 나와 러시아의 한 주, 라리마 제도가 되었다. 또 영국은 인데버 섬에 이주자들을 이주시키고 해군력을 집중시키는 등 태평양에서의 그레이트 게임도 가속되었다. 러시아는 라리마를 손에 넣음으로써 일본과 중원, 동남아 등 동부 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 이 호황기에 라리마에서 석유와 광물, 특히 금이 발견되자 1840년대 러시아의 많은 평민층이 라리마로 집중되었으며, 멀리니아의 인구는 50만, 라리마 전체의 인구는 110만에 달할 정도로 강성해졌다. 하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황제와 너무 멀리 떨어진, 그것도 북아시아의 섬이라는 지형적 특징 때문에 수십년이 지나면서 우리는 러시아인이 아닌 라리마인이라는 라는 생각이 자라나고 있었으며, 이는 후에 라리마인들이 같은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로부터 독립한 것에 큰 영향을 끼친다. == 근대 == === 러일전쟁, 1차 세계대전과 라리마의 독립 === [[1904년]], [[러일전쟁|러시아와 일본 간 전쟁이 발발]]하면서 라리마 내의 긴장도 고조되었다. 징병제가 실시되었으며, 라리마 청년들은 러시아의 해군으로 복무하게 된다. 러시아는 발틱함대가 오기 전까지 라리마의 소규모 군함들로 일본과의 군사적 충돌이 일어나고 있었지만, 일본에 직접적인 공격을 가할 수는 없었고, 발틱함대가 괴멸당하자 [[1905년]], 러시아의 패배로 끝난다. 이 과정에서 무고한 라리마의 청년들이 죽어갔다는 사실로 인해 라리마 제도의 도민들은 러시아 당국에 불만을 품게 된다. 이후 [[1914년]], [[제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러시아는 [[영국]], [[프랑스]]와 함께 '''삼국협상'''을 조직해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맞서 싸웠으며, 이때도 인구와 자원이 많은 축에 속하는 라리마에서 많은 인적 자원과 군수품이 시베리아횡단철도를 타고 러시아 서부, 남부 전선에 투입되었다. 하지만 이 과정은 오히려 피어오르는 불씨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되었으며, [[1914년]] 후반부터 데모, 폭력 시위의 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하지만 니콜라이 2세는 전쟁이 집중하느라 라리마 주민들을 위할 새가 없었으며, 이는 러시아 당국이 라리마를 착취하는 모양새로 비춰지고, 급기야 1915년부터는 '''라리마 제도 해방위원회'''가 설립되어 광산, 러시아 관공서 등을 습격하기 시작했고, 일본과 미국, 러시아 등지에서 해방 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이들 주요 지지층은 왕당파와 공화파였으며, 몐세비키도 소수 있었으나 대체로 라리마 제도의 주민들은 러시아 본토의 주민보다 부유한 편이었기에 볼셰비키는 별로 환영받지 못한다. 2월 혁명이 일어나자 라리마측 인원도 임시정부를 만들었고, 3월부터 10월까지는 비교적 평화로웠다. 하지만 10월 혁명이 터지고 내전이 발발하자 라리마 내에서도 라리마 내전이 벌어지지만 이는 3달 후 백군의 승리로 종결되고, 적백내전 당시에는 백군의 본거지처럼 쓰였다. 그 후 러시아에서 적군이 승리하자 라리마는 핀란드와 같이 독립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국가 틀이 갖추어질 때 가까웠던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당시 러시아와의 여러 싸움에서 대승을 거둔 명장이었던 '''라리마 1세'''를 국왕으로 추대하고 [[1918년]], 라리마 왕국을 건국하기에 이른다. 이때 백군 측의 공화파 가운데서 라리마가 왕국이 되었다는 사실에 불만을 표출하는 일부 세력이 있었는데, 이들은 당시 전략가 중 한 명이었던 '''라이노크 코렌조니''' 를 중심으로 분리 독립해 라리마 제도의 남부에 있는 러스트라스 제도에 독립 국가 '''글로스 독립국, 혹은 광명민국'''을 건국했다. 라리마 당국은 광명민국을 국가로 인정하지는 않았지만, 당시 상황이 혼란스러워 군사적 행동을 하기 어렵고, 라리마 1세와 코렌조니 1대 총리가 친분이 깊었기 때문에 서로의 선택을 존중했던 이유도 관여한다. 그 외, 공산주의자들은 아니안으로 망명했다. 민족은 같았지만 가치관, 정체성에 관해 러시아 본토와는 이질감이 컸더 아니안에는 태평양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며 소련의 구성국으로 자리잡는다. === 2차 대호황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라리마제국 1930년대.png|width=500]] || ||<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라리마 제도의 1930년대 모습}}}''' || 라리마는 영미권의 지지를 받아 소련, 일본을 경계할 대상으로써 많은 지원을 받는다. 그동안 자원과 이익이 러시아 본토로 돌아가 국가 자체 개발을 못하고 있었는데, 막대한 자원과 영국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너지 효과를 냈다. 당시 토목업이 흥해 포스페이트 운하, 미메타이트 - 다이아스포어 교각 등은 이때 지어진 것이다. === 대공황 === 이렇게 쑥쑥 성장하는 신생국가 라리마였지만 끝은 있었다. 당시 라리마는 국가 총생산의 상당 부분을 수출에 의존했는데, 대공황이 찾아오자 라리마의 물건이나 광물을 사는 국가가 없어진 것이다. 대공황이 닥치자 라리마의 경제또한 나락으로 떨어졌다. 실업률은 30%에 달했고, GDP의 41%이 증발했다. 대공황을 겪은 라리마는 점차 자원 의존도를 줄이게 된다. ===신라리마의 반란===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신라리마 시대.jpg|width=500]] || ||<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신라리마의 최대 강역}}}''' || 1933년, 라리마왕국은 대공황에 허덕이고 있었다. 국민의 대부분이 굶주리고 범죄율은 치솟고 있었다. 가뜩이나 당시 포스두 총리의 실패한 정책과 정부기관의 부패로 국민들의 정치 염증도 심했다. 당시 북부 다이어스포어와 멀리니아를 중심으로 폭력 시위도 변변찮게 일어났다. 이때 당시 현 정부에 반기를 품은 사람이 있었는데, 그가 바로 당시 부총리 하느 사이노보스키였다. 그는 당시 다이어스포어에 주둔하던 4군의 군단장 바이런 스바자이스키와 협력해 1월 18일 군부 반란을 일으킨다. 그들은 순식간에 라리마제국 북부 지방을 장악했으며, 독립을 선포해 '''노보이 라리마, 나피토크 공화국(새 라리마, 큰 강 공화국)''' Новыйларимар,Великая речная республика을 건국한다. 신라리마 사건은 상부에서 일으킨 혁명인데, 당시 전 황제인 베릴 2세, 외무부장관 카라쇼까지 이 혁명에 동참한다. 이에 베릴 3세는 심히 분노해 포스두 총리를 숙청하고 갈매기 밥으로 던져 버렸으며, 즉시 계엄령을 선포해 나피토크 공화국을 압박한다. 나피토크 공화국은 사민주의를 채택한 국가였다. 당시 대통령은 카라쇼였으며, 부패한 라리마왕국을 뒤엎기 위해 세워졌다고 한다. 나피토크 공화국의 반란은 다음해 1월 24일까지 이어졌다. 그들은 소련의 지원을 받았으며, 한때 포스페이트까지 밀고 내려온 적도 있었다. 공산권 국가로부터 정통성 있는 라리마로 인정받기도 했다. 하지만 이 정부는 너무 급하게 세워진 정부였으며, 라리마는 대공황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나피토크 공화국 역시 잘 돌아갈 수는 없었다. 이에 12월부터 나피토크 공화국은 서서히 무너져 내렸으며, 수뇌부는 난처한 상황에 빠지며, 라리마와 협상에 돌입한다. 협상은 순탄히 진행되어 언제 그랬냐는 듯 반란은 종식되었고, 라리마는 원래의 모습으로 복귀하게 된다. 베릴 3세는 이 때 대화를 택하지 않았다면 전쟁이 이어질 것이란 생각을 갖고 있었고, 대화와 협상을 택해 그는 지금까지도 협상의 신이라고 불린다. 이때 베릴 2세와 사이노보스키는 소련으로 망명을 택했다. 그렇게 1934년 1월 24일, 나피토크 공화국은 라리마에 흡수되었다. 반군이지만 이례적으로 라리마제국은 이를 기념해 주고 있으며, 지금도 멀리니아에는 나피토크 공화국의 깃발이 새져진 비석이 있다. 이는 대화로써 문제를 해결했기에 가능한 일이었으며, 카라쇼 장관의 아들 네포르머니 카라쇼는 태평양전쟁에서 총리로써 뛰어난 활약을 했다. ==태평양 전쟁==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라리마제국 태평양전쟁.png|width=500]] || ||<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1942년 3월 당시의 라리마제도}}}''' || 당시 라리마는 서방세계와 협력해 일본을 견제하고 있었다. 동남아 지역에 비해서는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졌으나, 라리마는 미국, 영국, 중국, 네덜란드와 ABCD 포위망에 참여하여(E로 불리기도 함) 일본에게 석유, 광물과 군수물자 등을 수출하지 않았다. 곧이어 진주만 공습으로 태평양전쟁이 발발했다. 일본 제국은 당시 동남아를 공격했던 자원 문제와 마찬가지로 라리마 제도의 자원 획득, 라리마의 중간기지화를 위해 1942년 1월 라리마를 침략했다. 1941년 1월 4일 새벽 일본제국 소속의 전투기가 노시안의 항구시설, 군사시설을 폭격한다. 몇 차례의 해전이 있은 뒤 일본군은 노시안 지역에 상륙했으며, 뒤이어 사우스 우라니아 지역에도 일본군이 상륙해 섬을 점령했다. 라리마왕국군은 세니딘,노시안,우라니아가 점령당한 와중에서 토리아 지역에는 평원이 계쏙 이어지기 때문에 수가 적은 라리마군이 불리하다고 판단하고(당시 대공황으로 인해 군축을 시행했다), 라리마 고원까지 후퇴한다. 1942년 1월 29일, 라리마 고원에서 일본군과 라리마욍국군이 맞붙는다. 라리마의 지형에 능숙했던 라리마군이 우세를 보이는 듯 했으나, 멸려오는 일본군과 폭격기에 밀려 많은 사상자를 낸 채로 수도 포스페이트로 후퇴한다. 일본군은 계속 북진하여 자원 및 석유가 나는 미메타이트 지역을 장악하고, 라리마군은 뒤늦게 도착한 미군과 영국군과 수도 포스페이트에서 함께 남쪽으로는 라리마 강, 북쪽과 동쪽으로는 라리마 고원과 미메타이트 산맥을 중심으로 방어선을 구축한다. 또한 다이어스포어 해협이나 라리마의 동해안에서 연합국군과 일본제국군 해군간의 산발적인 해전이 일어났다. 또한 광명민국도 점령당해 광명민국 정부는 대영제국으로 망명한다. 라리마제국 정부는 포스페이트에 남아 참혹한 포스페이트 전투를 치뤘다. 마치 스탈린그라드처럼, 일본제국에게 포위당해 산과 강을 방어선 삼아 벼텨냈으며, 이때 점령당한 남부 포스페이트는 거의 모든 건물이 무너졌고, 미드웨이 해전 후 1942년 8월이 되고 민간인 총합 80만명의 사상자를 낸 후에야 일본군을 몰아내기 시작해 1944년 1월 라리마 제도를 모두 되찾았다. 광명민국에서는 광명 해협전과 서주 쟁탈전으로 인해 일대가 초토화되었다. 태평양전쟁으로 라리마에서 200만명이 죽었다. == 현대 == 비록 제 2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이 되었지만 피해는 추축국 못지않을 정도로 막심한, 이름뿐인 승리였다. 일본에게 영토가 황폐화되었고, 경제는 추락했다. 하지만 에치슨 라인에 포함되어 미국의 지원을 받기 시작했고, 자원을 바탕으로 한 성공한 정책 덕에 라리마는 1950년대에 비교적 빨리 경제를 회복할 수 있었다. 소련의 캄차카 반도를 코앞에 겨누기 때문에 전략적인 요충지였으며, 소련과 갈등이 심했다. === 광명민국(글로스 독립국) 합병=== 나소전쟁과 태평양전쟁으로 인해 라리마제국 뿐 만 아니라 광명민국 역시도 큰 피해를 입었다. 광명 전투와 해전으로 인해 모든 산업 시설들이 전부 파괴되었다고 해도 무방했으며, 사실상 경제를 유지하지 못해 미국과 라리마에 의존했다. 결국 광명 수뇌부는 라리마제국에게 합병 의사를 표출했고, 때마침 경제를 회복한 라리마제국도 이를 흔쾌히 받아들여 합병이 진행되었다. {{인용문|1.광명민국을 라리마제국에 영구 합병한다.[br]2.광명민국은 러스트라스 특별주로써 라리마제국에 편입되며, 라리마제국은 단일국가지만 러스트라스 주의 경우에만 예외를 두어 연방의 형식을 갖춘다.[br]3.라리마제국은 러스트라스 특별주에게 자치권을 부여한다.[br]4. 라리마제국은 러스트라스 주민들에게 라리마제국의 시민권을 보장하며, 차별하지 아니한다.[br]5. 라리마제국은 러스트라스 주를 특별주로써 우선시하며 관리, 지원할 의무가 있다. | 라리마제국-광명민국 합병 조약문 간략히}} === 셀레스틴 내전, 라리마 개입 === 라리마 제국은 [[1963년]], 경제를 완전히 회복하고, 상승세에 접어들었다고 선언한다. 이전까지의 1차 산업은 점차 중공업으로 변화하고 있었고, 경제 성장률은 연간 11%에 이를 정도였다. 한편 영국의 식민지였던 셀레스틴 지역은 영국과의 긴 협상 끝에 [[1969년]] 독립하게 된다. 하지만 부패한 지도자와 나라 안정화 실패 등으로 인해 반란이 또다시 일어나고, 셀레스틴 공화국은 내전에 빠지게 된다. 처음 라리마는 이 내전에 관해 별 관심이 없었지만, 내전으로 인한 난민 발생, 범죄자들의 약탈 등으로 라리마 광명의 치안이 크게 나빠지고, 심지어는 셀리스틴의 정부군 조차도 반란군 소탕을 목적으로 광명에 상륙을 시도하자 라리마 제국은 이를 선전포고로 받아들이고 셀레스틴 내전에 개입한다. 라리마 제국군의 셀레스틴 점령은 매우 빨랐다. [[1976년]] 여름에 이루어진 상륙 작전에서부터 [[1977년]] 겨울, 잔존세력을 모두 정벌하고 치안을 안정화하기까지 불과 2년이 걸리지 않았다. 처음에는 영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비판과 제제를 받기도 했으나, 셀레스틴 지역의 강한 자치권과 족비정책을 펼치자 [[1990년대]]에는 대부분 이런 논란이 사라지고 셀레스틴 자치주는 라리마 제국의 영토로써 굳혀진다. === 소련 붕괴 이후 === [[1991년]], 소련이 붕괴하면서 라리마에게 직접적인 안보위협은 사라진 것이나 마찬가지가 되었다. [[1992년]], 주라미군이 철수하고, 1998년 러시아와 결국 수교를 맺으면서 라리마 제국에는 평화가 깃들었다. 또한 [[2001년]] OECD의 회원국이 되었다.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인해 경제가 휘청이기도 했지만 탄탄한 기반 사업으로 인해 [[2020년대]] 중반까지 회복하는 데 성공하고, [[2017년]]에 베릴 7세가 즉위한다. ==실제 역사와의 연관점== 라리마 제국의 역사는 '''실제 역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각각의 역사, 사건, 국가, 인물은 모두 현실 역사의 특정 부분과 대응된다. 전체적인 흐름도 같으나, 순서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 각주 == <references /> [[분류:라리마 제국]] 라리마 제국의 역사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