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라리마제국 4차 행정구역.png|width=500]] || ||<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라리마 제국의 행정도}}}''' || [목차] ==개요== 이 문서는 [[라리마 제국]]의 행정구역에 관해 서술합니다. ==면적 정보== ||||||<table width=500><tablebordercolor=#0082C8><table align=center><:><#fff><:> {{{#0082C8 {{{ 라리마 제도(96,664km²) }}}}}} || ||||<#0082C8><:> {{{#white {{{ 포스페이트(라리마) }}}}}} || 5,476km² || ||||<#0082C8><:> {{{#white {{{ 노스 우라니아 }}}}}} || 1,982km² || ||||<#0082C8><:> {{{#white {{{ 노시안 }}}}}} || 101km² || ||||<#0082C8><:> {{{#white {{{ 멀리니아 }}}}}} || 1,203km² || ||||<#0082C8><:> {{{#white {{{ 다이어스포어 }}}}}} || 5,823km² || ||||<#0082C8><:> {{{#white {{{ 미메타이트 }}}}}} || 21,142km² || ||||<#0082C8><:> {{{#white {{{ 칼세르 }}}}}} || 17,437km² || ||||<#0082C8><:> {{{#white {{{ 토리아 }}}}}} || 24,865km² || ||||<#0082C8><:> {{{#white {{{ 세니딘 }}}}}} || 14,521km² || ||||<#0082C8><:> {{{#white {{{ 사우스 우라니아 }}}}}} || 4,114km² || ||||||<table width=500><tablebordercolor=#fecf05><table align=center><:><#fff><:> {{{#fecf05 {{{ 해외 도서(11,012km²) }}}}}} || ||||<#fecf05><:> {{{#Black {{{ 아니안 섬 }}}}}} || 5,710km² || ||||<#fecf05><:> {{{#Black {{{ 셀레스틴 섬 }}}}}} || 2,551km² || ||||<#fecf05><:> {{{#Black {{{ 광명 제도 }}}}}} || 2,087km² || ||||<#fecf05><:> {{{#Black {{{ 그 외 부속도서 }}}}}} || 664km² || ==행정구역 단위== 라리마제국의 광역 행정구역 단위는 국(스타나), 자치주(아보토노미아 오블라스트), 주(오블라스트), 제국시로 나뉜다. 국(스타나)는 주(오블라스트), 제국시 또는 자치시로 이루어지며, 주는 인구에 따라 현과 시로 이루어진다. 제국시는 구로 이루어진다. 다만 포스페이트는 제국시이지만 규모가 커 특별히 취급하며, 시로 이루어진다. ==포스페이트, 라리마 제국시==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포스페이트 라리마.jpg|width=500]] || ||<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82C8><#0082C8> '''{{{#ffffff △ 라리마 제국의 수도 포스페이트}}}''' || 포스페이트는 라리마제국의 수도이다. 모든 면에서 라리마제국의 중심지이며, 인구는 430만명에 달한다. 하나의 도시가 아닌 11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포스페이트는 동시에 200년이 되어가는 라리마의 가장 오래된 고도이기도 하다. ===포스페이트의 역사=== 러시아가 이곳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원주민들이 살았다. 그러나 그 수는 많지는 않았으며, 대부분은 북부에 살았기 때문에 자연 상태라 보아도 무방하다. 1749년 처음 정착지가 건설되었으며, 러시아로부터 독립 전까지는 제 2의 도시로써 기능을 하였다. 이 이후까지는 잠잠했으나, 베릴 1세가 라리마 해방위원회를 이곳에 설치하면서 라리마제국의 ‘건국의 아버지’ 들에게 포스페이트는 중요도가 높아지게 되었고. 라리마내전을 끝마치고 백군 망명자들이 몰려오면서 1917년 포스페이트는 라리마제국의 수도가 되었다. 당시 새로운 수도의 후보로 멀리니아, 노스 우라니아, 포스페이트가 지목되었는데, 멀리니아는 러시아의 위협 때문에, 노스 우라니아는 다습하고 땅의 질이 현저히 낮았기 때문에 포스페이트가 수도로 채택된다. 1920-1930년대에는 현재의 1,2,3,4구역이 개발되었으며, 1구역에 당시 세계 최고 수준이었던 인산염 광물 광산이 있었기에 구시가지는 포스페이트(phosphate, 인산염)이란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고, 이는 곧 포스페이트 전체를 말하는 이름이 되어 지금까지 쓰이고 있다. 1940년대 태평양전쟁이 발발하면서 포스페이트는 라리마제국의 최후의 방어선이 되었고, 4면이 바다와 강, 산으로 막혀있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전세가 뒤집어지면서 반격할 수 있었다. 당시 라리마강 이남 지역이 점령당한 적이 있는데, 이때 옛 왕궁과 라리마제국 도서관이 약탈당해 상당량의 고서적이 소실되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서서, 10구역을 제외한 구역들이 개발되었으며, 도시계획을 짤 당시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988년에는 포스페이트에 지하철이 들어섰다. 1990년대 기존 11구역에 있던 공항을 군사공항으로 변경하고, 10구역을 개발해 10구역에 라리마국제공항을 지어 개항했다. 2011년 전체 인구 420만명을 달성했다. ===포스페이트의 지리형태=== 라리마시티는 라리마제국의 중부에 위치해 있다. 라리마 고원 서쪽의 해안지대를 차지하고 있다. 라리마 고원 서부에 비교적 고도가 낮은 땅이 풍화된 평야 지대이며, 9구역은 라리마고원에 걸쳐 있고, 4,6구역은 라리마 강의 삼각지이다. 남쪽은 지대가 낮지만 북쪽으로 올라갈수록 지대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역시 남쪽은 완만한 해변을 이루지만, 북쪽은 암석질 해변으로 이루어져 있다. 라리마 시티 남쪽에는 오스트로브 섬(11구역)이 있고, 1구역과 해협을 만든다. 수도 북부에 다이어스포어 화산이 있으며, 라리마 고원에는 현재 휴화산인 브루카이트 화산이 있는 등 화산에 둘러싸인 도시이기도 하다. 라리마시티 남부에 세계 최대의 인회석 광산이 있으며, 이는 곧 포스페이트 광산으로 통한다. (현재 개발 문제로 폐광) 기후는 전형적인 서안 해양성 온대기후이며, 위도에 비해 따뜻한 편이다. ===행정구역=== ====포스페이트 시(1구역)==== 포스페이트 시는 포스페이트 제국시의 최남단에 있는 도시이다. 2차 세계대전 전까지 제국 전체의 중추가 되었던 구시가지 지역이다. 남쪽으로는 토리아 주, 서쪽으로는 오스트로브 섬, 동쪽으로는 플로스키 시, 북쪽으로는 블라고르드 시를 맞대고 있다. 포스페이트 제국시 전체 행정구역 중 크기가 2번째로 큰 도시이다. 라리마의 옛 중심지이며, 현재도 그 잔재가 남아있는 도시이다. 이는 지명을 보면 알 수 있는데, 포스페이트의 이름이 포스페이트 제국시 전체를 상징하는 이름으로 쓰일 정도이다. 포스페이트의 이름유래는 지금은 폐광한 인회석 광산에서 나온 이름이다. 첫 정착지는 오스토르브 섬이었으나 포스페이트 구역에 첫 도시가 건설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포스페이트 제국시 내에서 가장 오래된 곳이다. 그만큼 1800년대 양식의 러시아풍 건물이 많으며,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풍기는 도시이다. 국내선 공항도 있다. ====블라고르드 시(2구역)==== 블라고르드 시는 포스페이트의 중남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옛 황궁과 국립 도서관이 있으며, 이곳 역시 포스페이트 시처럼 19세기 건물이 많이 존재한다. 19세기 중반-20세기 초에 개발되었다. 러시아 식민지 시절에는 이곳에 러시아제국의 각종 관공서가 있었으며, 독립선언문이 발표된 도시이기도 하다. 태평양의 상트페테르부르트라고 불리기도 한다. 북부 지방으로 올라갈수록 건물이 현대화되는 특징이 있으며, 라리마 항구가 위치해 있어 과거는 물론 지금까지도 라리마제국의 관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도 제국 최고의 명문대학교 황립 라리마 대학교가 위치해 있는 라리마제국 교육의 메카이다. ====플로스키 시(3구역)==== 플로스키 시는 포스페이트의 남동부에 위치한다. 5구역과 더불어 라리마제국의 행정 중심지를 겸하고 있으며, 원래는 1,2, 구역과 같은 구시가지 러시아풍 도시였지만 후에 재개발되어 행정에 특화된 도시로 조성되었다. 라리마제국 행정단지와 대법원이 위치한다. 또한 남부 지역에는 포스페이트 유일의 농업 구역이 위치하기도 한다. 이 도시에 포스페이트 최대의 배드타운이 있다. ====보가티 시(4구역)==== 보가티 시는 라리마 강의 삼각주에 세워졌으며, 포스페이트의 중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보가티 시는 전체 제국 내에서 가장 소득이 높은 국민들이 사는 부촌으로도 유명하다. 러시아식 건물도 있지만 후에 개발되어 지금은 모두 현대식 아파트와 주택이 들어섰으며, 라리마제국에서 가장 큰 쇼핑몰이자 타워인 덴버라이트 타워가 있는 곳이다. 보가티 시의 남부에는 해수욕장이 있어 포스페이트에 사는 많은 사람들이 여름철에 피서를 오기도 한다. ====볼쇼이 시(5구역)==== 볼쇼이 시는 포스페이트의 중동부에 위치한다. 볼쇼이 시는 현재 라리마제국은 물론, 포스페이트 전체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진정한 수도이다. 라리마 강변에 라리마제국 최대의 거주지가 있고, 의회, 총리 관저가 있어 정치의 중심지임은 물론, 포스페이트의 녹지 포스페이트 숲, 중앙역과 심지어는 황궁까지 전부 5구역에 있다. 도시 남부에는 라리마 크렘린이 위치에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인다. 라리마 섬의 중간에 위치해 있어 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동부에는 기업단지가 있어 마천루가 솟아있다. ====모프 시(6구역)==== 6구역~10구역은 현대에 개발된 신도시이다. 모프 시는 포스페이트의 서부에 위피하고 있으며, 해안선을 따라 길게 발달했다. 군수공장을 포함한 여러 산업단지로 채워져 있으며, 라리마제국의 가장 큰 조선소가 이 도시에 있다. 조선소 옆에는 신항국 있어 라리마제국의 관문 역할을 한다. 모프 시는 볼쇼이 시의 연장선상에 위치해 교통이 중공업이 발달했다. 북쪽의 얇은 부분에는 아파트 단지와 방대한 거주공간이 있다. 라리마 최대의 박물관도 이곳에 있다. ====노브그라드 시(7구역)==== 노브그라드 시는 모프 시의 북쪽에 있는 도시이다. 이곳에 포스페이트에서 가장 크고 혁신적인 신도시가 세워져 있다. 1970년대 개발된 도시이며, 반도체 생산, 신소재 개발 등의 첨단산업구역, 아레스 원자력 발전소가 있다. 전쟁기념관과 현충원이 있다. 7구역과 8구역의 경계에 포스페이트의 도심에 위치한 사화산 아게이트 산이 있다. 또한 5,7,8구역이 만나는 삼합점에는 라리마제국 전체 철도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라리마시티 중앙역이 있다. ====노보이 시(8구역)==== 노보이 시는 원래 노보그라드 시에 속했지만 후에 분리된 도시이다. 이 도시도 7구역과 마찬가지로 2,3차산업이 발달해 있으며, 다른 점으로는 거주공간이 적고 7구역과 연계된 제조업 산업공간이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또한 포스페이트의 과학단지, 라리마 유일의 입자가속기가 있다. [[분류:라리마 제국]] 라리마 제국의 행정구역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