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목차] [[동아프리카 연방]]의 장점과 문제점을 다루는 문서. ==장점== ===넓은 영토=== 아프리카 전체에서 가장 영토가 넓다. 물론 이는 단점이 될 수도 있다. ===노동인력=== 아프리카에서 나이지리아 다음으로 인구가 가장 많고 그들 중 대부분이 젊은 인구여서 노동인력이 많다는 것도 장점이다. 어쩌면 가장 큰 장점. ===큰 경제규모=== 국가 영토에 비해서는 작지만, 아프리카에서 상당히 큰 경제규모를 가지고 있는 편이다. ===군사력=== 군사력이 강력하다. 그래서 주변에 있는 군사강국이지만 여러 행위로 큰 논란이 되는 위험국가 남아민공을 견제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풍부한 관광자원=== 관광자원이 풍부해 관광대국의 가능성이 크다. 관광부도 활발하게 관광지들을 홍보하고 있다. ===낮은 세율을 통한 해외 기업 유치에 유리한 면=== https://ko.m.wikipedia.org/wiki/세율에_따른_나라_목록 ^참고자료 세율이 전체적으로 낮은 편이어서 해외 기업 유치에 유리하다. ==단점== ===빈부격차=== 1인당 GDP는 최빈국 수준이며, 이마저도 수도권과 재벌들에 편향되어있다. 부룬디, 우간다, 남수단은 최악의 빈부격차를 자랑하고 케냐, 탄자니아는 경제적으로 발전되어 이곳에 경제가 편향되어 있지만 빈부격차는 앞의 세 국가 못지않다. ===불안정한 정치=== 부패가 심하고 꽤 권위적인 면이 있다. 부룬디, 우간다, 남수단은 자치정부가 사실상 독재이며(중앙정부가 해결을 시도하고 있다) 케냐는 부패했고 르완다는 부패가 없고 정치가 안정적이지만 권위주의적리며, 탄자니아가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부패는 상당하다. ===지역갈등=== 사실 동아련은 여러 나라들을 갑자기 통합한 것이기 때문에 민족/종교/지역 갈등으로 제2의 유고슬라비아가 될 수도 있다. 이것을 잘 해결하지 못할 시 동아련은 남수단과 같은 상황을 맞이할 것이다. ===불안정한 치안=== ===중앙정부의 영향력 부재 지역=== ===테러 위험=== ===소말리아 해적의 영향=== ==종합== 동아련의 장점을 잘 살리면 아프리카 최고의 국가가 될 수도 있지만 단점이 아주 크고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막장국가가 될 수도 있다. 라일라 오딩가 대통령의 정책에 달렸다. 동아프리카 연방/장단점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