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남목감동''' (南牧甘洞)은 [[경기도]] [[안산시]] [[성호구]]의 [[법정동]]이다. 인근 [[수암동]] (일부)과 함께 행정동 수암동, 조남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 역사 == 명칭은 구 시흥군 목감읍에서 유래했다. 목감읍은 본래 [[시흥군]] 수암면 목감리, 물왕리, 논곡리, 산현리, 조남리 지역이었으나 1973년 제도경비사령부 (현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제52향토보병사단]], [[제도군단]] (현 수도군단) 예하 부대의 주둔 및 근무자들을 위한 숙소 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하면서 목감면으로 분할되었고, 1980년 목감읍으로 승격했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5%;" | colspan=2 | 행정명령 제1985-11갑호 |- ! width="50%"|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시흥군 목감읍 (牧甘邑) 목감리 (일부)·산현리 (일부)·조남리 (일부)·물왕리·논곡리 || [[안양시]] 목감동·산현동·조남동·물왕동 |- | 시흥군 목감읍 (牧甘邑) 목감리 (일부)·산현리 (일부)·조남리 (일부) || 신설 [[안산시|반월시]]<ref>안산시는 당초 반월시가 될 예정이었으나, 국회의원 및 지역 유지의 요청으로 안산시로 확정된다. 1986년 1월 1일 설치.</ref> 목감동·조남동 |- | 시흥군 목감읍 무지내리·금이리·매화리 || [[부천시]] 무지내동<ref>1995년 주민투표 결과 반영으로 [[광명시]]로 다시 편입되었다. 행정동 [[학온동]] 관할.</ref>·금이동·매화동 |} 1985년 시흥군 대분할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행정명령 1985-7갑호) 당시 목감읍 또한 인접 지방자치단체로 편입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당시 시흥군 대분할을 계획한 내무부 제2차관 [[김병덕]]은<ref>지금의 안양시 출신이며 [[제52보병사단]] 사단장, 제경사 부사령관을 지냈다.</ref> 목감읍 전역을 안양시로 편입하고자 하였으나, 조남동 일대 주민들이 화성군 반월출장소 (현 안산시) 수암동 일대와 생활권이 인접했던 것을 이유로 이에 반발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결국 [[보통천]] 경계안이 확정되면서 보통천 이북 지역은 [[안양시]]와 부천시로 분할편입되었고, 보통천 이남의 수암동 생활권은 신설되는 안산시로 편입되었다. 안산시는 법정동 및 행정동명을 일치시키기 위해 1988년 목감동과 조남동을 관할하는 '''남목감동''' (南牧甘洞) 행정동을 신설하였다. 이는 [[마포구]] [[연남동]]처럼 목감동 남쪽에 위치한다는 의미로 지어진 이름이었다. 1993년 법령 변경으로 법정동 또한 남목감동으로 통합되었으나, [[조남분기점]] 등 종래의 법정동을 그대로 딴 흔적도 곳곳에 남아있었다. 1998년 행정구역 경계 조정으로 지금의 [[목감동서로]]를 기준으로 [[안양시]]와 경계를 재조정했다. 목감동서로 이남의 산현동, 조남동 전역을 안산시로 편입하였다. 2014년 7월 1일 일반구 [[성호구]] 분구로 인해 성호구 소속이 되었으며, 2016년 7월 1일 안양시 만안구 [[목감동]]과의 혼동을 없애고 지역 역사성을 살리겠다는 안산시의 방침으로 인해 행정동명은 '''[[조남동]]''' (鳥南洞)으로 변경되었다. 법정동은 여전히 남목감동이지만 2018년 현재 안산시는 조례 개정 및 행안부의 승인을 얻어 법정동을 조남동으로 바꾸는 것을 추진 중이다. == 교통 == * [[수도권제1외곽순환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 [[조남 분기점]]<ref>[[안양시]] [[만안구]] [[목감동]]에 소재한 서해안고속도로 [[목감 나들목]]을 통해 진출입이 가능하다.</ref> * [[신안산선]] [[목감역]] == 각주 == {{주석}} [[분류:안산시의 행정구역]]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원본 보기) 틀:일반 기타 (원본 보기) 틀:주석 (원본 보기) 모듈:Check for unknown parameters (원본 보기) 남목감동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