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풍 세계관/국가)] [목차] =='''동아시아'''== === 1.[[중화인민공화국]] === * '''집권이념:현대사회주의(중국 공산당-시진핑파)''' * '''전략동맹기구 의 지도자''' * '''플레이 요소''' * '''국가정신''' * '''정부''' {{{-중국 공산당 65% -중국 공산당-친시파 11% -중국 공산당-상하이방 17% -증국 공산당-공청단 7% }}} 국가주석인 [https://ko.m.wikipedia.org/wiki/%EC%8B%9C%EC%A7%84%ED%95%91 시진핑]이 다스리는 전략동맹기구의 수장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전세계 가 휘청하고 미국의 패권이 기울기 시작할때. 중국은 큰피해를 입지않고 세계 패권에 도전하였다. 그 결과 아시아 에서 제일 성장한 국가가 되었고 전세계 2인자가 되었다. 그러나 권력기반이 약한 시진핑이 주석인 만큼 내부상황은 좋지않다. * '''중국 공산당 지지도''' * 친시파/공청단/상하이방 * 인민들 * 지식인층 * 인민해방군 * 공안 * 국영기업 * 자영기업 공청단 과 상하이방은 시진핑을 주석 자리에서 끌어 내리기 위해 별로 경력도 없던 친시파 를 공격 할것이다. 친시파 는 시진핑의 완벽한 종신집권을 위해 인민,지식인,군대,공안,기업들 에게 지지를 얻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 까지 세력이 약한 친시파 인 만킁 이 과정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 다른 파벌들은 시진핑의 정책 마다 공격할 것 이고 외부 에선 계속 해서 무역전쟁 중인 미국이 문제 가 된다. 또한 중국 내의 소수민족 문제는 해결되지 못하여 이것들 전부 해결해야 할것이다.그 방법은 유화책 이 될수도 강경책 이 될수도 있다. === 2.북조선 군정청 === * '''집권이념:전제주의(인민해방군)''' * '''중국의 군사정권''' 정식명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9년 북한의 지도자 였던 김정은이 심근경색 으로 사망하면서 북한은 혼란에 빠졌다. 중국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고 친중파 를 사주하여 쿠데타를 시도 했으나 실패한후 중국 인민해방군은 북한을 대대적으로 침공하기 시작한다. 한국 정부 도 북한으로 진격하였고 결국 중국군 과 충돌하게 되었는데 한국 과 중국은 적절히 합의하에 중국은 39도선 위로 한국은 그 밑을 점령 하였다. 그후 북한은 중국의 군인들이 통치 하는 괴뢰국 이 되었다. === 3.대한민국 === *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자유당-온건파)''' * '''플레이 요소''' * '''국가정신''' * '''정부''' {{{-자유당-온건파(권위민주주의) 45% -자유당-강경파(전제주의) 12% -자유당-군부회(파시즘) 5% -국민의 힘(보수민주주의) 10% -더불어 민주당(자유민주주의) 10% -정의당(사회민주주의) 8% -국가혁명당(자유 지상적 사회주의) 4% -자유 새벽당(국가사회주의) 6% }}} 2017년 기무사의 친위쿠데타 가 성공하였으나 새누리당은 또 다시 흔들리기 시작하였고 기 사이 친위쿠데타 에 가담한 군인들이 새누리당 정권을 뒤엎고 한국을 장악 하게 된다. 그후 새누리당은 분당 되고 국군은 자유당은 창당하여 정계에 뛰어 들었다. 그렇게 합의정부 시대가 시작 되었다. 합의정부 의 1대 대통령인 이석구는 급진적이고 전제적인 정치에 의해 퇴진하였고 2022년 새로운 대통령이자 자유당은 온건파 인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D%98%84%EC%B2%9C 조현천] 이 새 대통령이 된다. 그러나 아직 국민들 의 불만은 떨어지지 않았고 각종 정부기관 들 또한 군사정권을 좋게 보지 않는다. 또한 계엄령 이 계속 선포 되어있어 경제도 점차 안좋아지는 중 이다. * 10.11 사태 군사정부 에선 확고한 권력을 위해 10월 11일 에 군사쿠데타 를 일으키는데 이에 반발한 국회 와 시민들이 대규모 집회가 열리고 군부 에서도 파벌이 나뉘기 시작한다. 반군사정부 성향의 군대 가 역쿠데타 로 정권을 바꾼다면 전 군사정부 와 충돌이 발생하는데 이때 양측 간의 유혈사태 까지 발발 하여 전국 이 전쟁터 가 될 위기에 처하게 된다. 북한 점령지 에선 혼란스러워진 틈 을 타 북한잔당 들 이 반란을 일으킬 것 이며 주한미군은 주둔지 에 갇혀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10.11 사태==== * 대한민국 군사정부 '''집권이념:전제주의(자유당)''' * 대한민국 국민 정부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국가민주전선)''' * 해군 사령부 '''집권이념:전제주의(대한민국 해군)''' ---- * 평양 UN 군사사령부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주한UN군)''' * 동조선 정부 '''집권이념:전제주의''' * 자유 조선 정부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자유조선)''' * 조선 인민 평의회 '''집권이념:권위사회주의(조선인민평의회)''' * 자유인민전선 '''집권이념:전제주의(특수작전사령부)''' === 4.일본 === * '''집권이념:보수주의(자유민주당)'''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동일본 대지진,경재 정책 실패 등 으로 자민당 의 호소다파 등이 몰락하였고 좌파정당들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아베 총리 사임 과 스가 총리 사임 이후 새 총리는 반아베파 인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8B%9C%EB%B0%94_%EC%8B%9C%EA%B2%8C%EB%A3%A8 이시바 시게루] 이시바 총리는 현실 과는 좀 다르게 중립주의적 외교노선을 지향 했고 '''독자적 이고 평하적 이지만 강한 일본''' 을 주장 하였으나 지지기반이 부족한 이시바 인 만큼 빠르게 사퇴하고 좌파정당 이 들어서 자민당의 장기 집권이 끝날 수도 있다. === 5.대만 === =='''동북아시아'''== === 1.베트남 === === 2. 태국 === === 3. 라오스 === * '''집단안보조약기구의 의존회원국''' === 4. 캄보디아 === * '''집단안보조약기구 의존희원국''' === 5. 밀레이시아 === === 6. 싱가포르 === === 7. 인도네시아 === === 8. 필리핀 === === 9. 미얀마 군사정부 === ==== 반군 ==== =='''남아시아'''== === 1.인도 === * '''집권이념:보수민주주의 === 2. 방글라데시 === === 3. 네팔 === === 4.부탄 === === 5. 스리랑카 === === 6. 몰디브 === =='''사아시아'''== ===1.이란=== *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 * '''집단안보조약 기구의 주요회원국''' ===2.이스라엘=== * '''집권이념:보수민주주의''' ===3.팔레스타인=== * '''집권이념:사회민주주의''' ===4.요르단=== * '''집권이념:보수민주주의''' ===5,쿠르디스탄=== * '''집권이념:보수민주주의''' ===6.백기단=== * '''집권이념:국가사회주의''' ===7.바트주의 이라크=== * '''집권이념:파시즘(바트당)''' ===8.성전 과 개혁 전선=== * '''집권이념:국가사회주의''' ===9.이슬람 레반트 전선=== * '''집권이념:국수주의(ISIL)''' ===10.시리아=== *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 ===11.로자바=== ===12.알-누스라=== ===13.레반트 자유 군단=== * '''집권이념:전제주의(TLC)''' 정부군에 의해 자유 시리아군이 해체된후 살아남은 자유 시리아군 과 시리아 정부에 저항하는 시민군 , 해외에서 지원한 지원자들 등등 이 합쳐서 만든 단체로 이란,시리아 정부군에 저항중 이다. ===14.국제 자유 대대=== * '''집권이념:자유 지상적 사회주의(IFB)''' ===15,사우디아라비아===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상위 문서 (원본 보기) 서풍 세계관 국가/아시아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