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단국흥기 세계관}} {{출처 필요|날짜=2013-11-2}} {{대통령 정보 |이름 = 남계문 |원래 이름 = 南契文 |명칭 = 육군 통어사 |그림 = Nam Kye-mun.jpg |설명 = |국가 = [[대한국(단국흥기)|한국]] |대수 = 70 |취임일 = 1941년 10월 23일 |퇴임일 = 1946년 8월 9일 |부통령 = |출생일 = {{출생일|1873|8|8}} |출생지= [[일본 제국]] [[도쿄 부]]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58|12|23|1873|8|8}} |사망지 = [[대한국(단국흥기)|[[경성부]] |정당 = [[대정익찬회]] |본관 = 의령 남씨 |종교 = 성리학 |배우자 = 반남 박씨 |서명 = namkyemun injang.svg |전임 = 지청천 |전임대수=69 |후임 = 이응준 |후임대수=71 |계급=육군 대장 |참전= [[제2차 한·순전쟁]]<br /> [[동아시아 전쟁]] |지휘=[[대한국 국군]] |복무=[[대한국 국군]] }} '''남계문'''(南契文, 1873년 8월 8일 ~ 1941년 12월 18일)은 [[대한국(단국흥기)|대한국]]의 육군 통어사를 지낸 무관이자 귀족([[양주후]])이다. == 생애 == 1897년 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보병 참위로 임관되었고, 1899년 육군 보병 부위로 진급하였다. 1902년 육군 보병 대위가 되어 근위 보병 제3부(部; 연대에 해당)장이 되었다. 1906년 프랑스에 주재 무관으로 급파되었고, 1907년 한국에 돌아온 후에는 참령으로 승진하였다. 1908년에는 다시 해외로 파견돼 독일에서 주재하였다. 남계문은 1912년 한국으로 돌아갔고, 1913년 중좌으로 승진하였다. 그는 군사 행정가이자 야전 사령관으로서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고, 빠르게 승진해 1920년에는 서로군 헌병대 절도사, 1922년에는 서로군 도원수가 되었다. 1920년 개봉 사건이 발생하자 [[순(단국흥기)|순]] 정부와의 타협에 반대하고, 한·순 전쟁의 확대를 유도하였다. 1924년 병부 시랑이 되었으며, 1941년에는 제2차 김구 내각에서 육군 통어사에 임명돼 제3차 김구 내각에서도 연임하였다. 남계문은 산해관에서 오월군을 크게 무찌르는 등 동아시아 전쟁에서 활약하였다. == 녹훈·봉작 == 1903년 아버지 양주백 [[남효숙]]의 작위를 이어 받았다. 1945년 [[동아시아 전쟁]]에서 육군 통어사로서 분전한 공로로 단무공신 1등관에 녹훈되었으며, 백작에서 후작으로 진봉되었다. == 가족 == * 아버지 양주백 [[남효숙]] * 어머니 양주현부인 전주 이씨 * 배우자 양주군부인 반남 박씨 ** 장남 양주후 [[남명원]] ** 차남 [[내소백]] [[남진원]] == 둘러보기 == {{틀:양주후}}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Wikidata image (원본 보기) 틀:개행 금지 (원본 보기) 틀:단국흥기 세계관 (원본 보기) 틀:둘러보기 상자 (원본 보기) 틀:둘러보기 상자/핵심 (원본 보기) 틀:알림 상자 (원본 보기) 틀:양주후 (원본 보기) 틀:왕족 정보 (원본 보기) 틀:정보상자 그림칸 (원본 보기) 틀:정보상자 칸 (원본 보기) 틀:정보상자 큰칸 (원본 보기) 틀:틀 기타 (원본 보기) 틀:틀바 (원본 보기) 남계문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