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B0B61; width: 100%;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120deg, #0B0B61 9%, #FFFFFF 9%, #FFFFFF 11%, #B70000 11%, #B70000 13%, #FFFFFF 13%, #FFFFFF 15%, #0B0B61 15%, #0B0B61 35%, #FFFFFF 35%, #FFFFFF 65%, #FFE400 65%); color: #010101" | [[파일:하카우타 국장(2021.10.).png|35px|]]<br>'''하카우타 관련 틀''' |- | style="font-weight:"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가상국제연합 중앙세계관 국가목록}} |} |} {{하카우타 표}} ==개요== '''하카우타(Commonwealth of Hakauta)'''(이스트 쿡 제도)는 오세아니아 지역에 위치한 섬나라이다. 오세아니아의 대표적인 휴양지이며, 다양한 식생이 보존되어 있어 호주, 뉴질랜드와 함께 오세아니아의 독특한 생태계 연구에 도움이 되고 있다. 인구밀도는 인접국에 비해 높은 편이다. 1, 2차 산업은 내수경제에 의존하며, 3차 산업은 외수경제에 의존하는 경향을 띄는데, 대부분의 수익은 레저, 관광 등의 3차 산업에서 창출된다. ==상징== ||[[파일:하카우타 국기.png]]||현재 하카우타의 국기|| ||[[파일:이스트 쿡 식민지기.png]]||영국령 이스트 쿡 제도의 기|| 하카우타의 국기는 영국령 이스트 쿡 제도 시절의 것에서 야자수와 남십자성의 색을 바꾼 것을 이어서 쓰고 있다. 유니억 잭이 캔턴으로 들어가 있으며, 황색은 태양빛으로 하카우타의 번영과 독립정신을, 야자수는 풍부한 식생과 아름다운 자연을, 남십자성은 선조들의 개척정신에서 비롯된 하카우타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빛나는 미래를 상징한다. 참고로 남십자성은 남반구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이를 국기에 사용함으로서, 항해민족인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인 선조들이 진출하여 번성하게 된 오세아니아 지역의 민족적 아이덴디티를 표현한다. ==정치== 하카우타는 영국의 국왕을 국가원수로 모시며 의원내각제를 채택한 입헌군주국인 '''영연방왕국'''이다. 영국 정부의 대리로 하카우타에 파견되는 '총독' 직책도 존재하나, 현재는 상징적 권력으로, 하카우타 국내에서 선출, 임명된다. ===국왕=== 하카우타는 '''영연방왕국(Commonwealth realms)'''으로, 영국의 왕을 하카우타의 왕으로 섬긴다. 영국의 왕을 하카우타의 국가원수로 모신 것은 1787년,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의 일부로 편입된 이후로, 그 때부터 현재까지 약 240년 간 이어져 오고 있다. 현재는 엘리자베스 2세가 하카우타의 여왕이자 국가원수이다. 하카우타에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호칭은 "하느님의 은총에 의한, 이스트 쿡 및 그녀의 다른 왕국들과 영토들의 여왕, 영연방의 수장 엘리자베스 2세(Elizabeth the Second, by the Grace of God, Queen of the Eastern Cook<ref>하카우타로의 국명 변경이 반영되지 않아, 일부 국민, 특히 원주민들의 반발이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현재 하원에서 의논 중이다.</ref> and Her other Realms and Territories, Head of Commonwealth)" ===총독=== {{하카우타의 총독}} 하카우타의 총독은, 국왕의 대리인으로서 명목상의 국가원수 역할을 한다. 하카우타의 총독은 하카우타 국내에서 후보를 추려 국왕이 임명한다. 상원에서 후보를 선출하고, 하원에서 후보에 대한 동의를 거쳐 국왕의 재가가 떨어지면 그 사람은 비로소 하카우타의 총독으로 취임하게 된다. 하카우타의 총독은 국왕을 대리하여 다음의 권한을 가진다. * 하카우타의 총리와 내각관료 임면권 * 하카우타 국방군의 통수권 * 의회해산권 * 법안 및 헌법 제정 및 개정안의 최종 승인권 * 국왕 폐하를 대신한 왕령 및 총독령의 공포 * etc 다만 대부분의 권한은 총리가 실질적으로 행사하는 편이고, 임면권 등은 총리나 내각 인사들, 의회의 암묵적 동의 또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야 쓰일 수 있다. 조기총선을 위해 총리가 요청하여 총독이 의회를 해산하는 경우처럼 말이다. 물론 상기 권한들은 총독이 독단적으로 사용하여도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다만 우선 국왕의 동의도 필요할 뿐더러, 무엇보다 영연방왕국들은 영국 국왕을 국가원수로 섬기나 실질적 독립국이다. 즉, 국왕은 자국의 국가원수이나 엄밀히 따지면 '영국의 국왕'이고, 이를 대리하는 총독이 자신의 권한이라는 이유로 이를 독단적으로 처리하게 되면 총독 자신의 정치인생도 그 순간으로 끝일 뿐더러, 민심을 상당히 자극할 것이다. 비슷한 일례로, 호주의 '존 커(John Kerr)' 총독이 독자적으로 고프 휘틀럼 총리를 해임하여 상당한 질타를 받은 적 있다. ===총리=== {{하카우타의 총리}} ===의회=== {{하카우타 의회의 원내구성}} ===내각=== {{하카우타의 행정부}} 하카우타의 행정부는 2026년 현재, ===사법=== ==경제== ==역사== 자세한 내용은 [[하카우타/역사]] 참고. ==사회== ==외교==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목차 (원본 보기) 틀:본문 (원본 보기) 틀:정당박스 (원본 보기) 틀:참고 (원본 보기) 틀:하카우타 표 (원본 보기) 틀:하카우타의 총리 (원본 보기) 틀:하카우타의 행정부 (원본 보기) 하카우타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