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대한국의 대기업}} {{기업 정보 양식 | 틀 색 = #f0d158 | 글씨 색 = #fff | 테두리 색 = #f0d158 | 범례 너비 = 30% | 기업명 = PF해운 | 원어명 = PF SHIPPING | 로고 = PF SHIPPING.png | 로고 크기 = 500px | 정식명칭 = PF SHIPPING Co., Ltd. | 국기 = 유럽기.png | 국기크기 = 20px | 국가명 = 유럽연합 | 설립일 = 1975. 09. 02<ref>인수된 날짜</ref> | 기업규모 = [[대기업]] | 창업주 = [[MINJONG]] | 업종 = 외항화물운송업, 내항화물운송업 | 본사위치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ref>일단 서류상 본사. 실제로는 유럽내 모든 지사들이 본사처럼 움직인다.</ref> 런던 <br>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 [[부산광역시]]<ref>아시아 지역 본사이다. 역사부분에 설명하겠지만 대한국의 해운사를 인수하였다.</ref> | 대표자 = [[MINJONG]] | 시가총액 = | 자본금 = - | 매출액 = - | 영업이익 = - | 순이익 = - | 자산총액 = - | 부채총액 = - | 상장여부 = | 상장시장 = | 편입지수 = | 직원수 = - }} ==개요== 세계급 대형 해운사. PF의 중심 PF SHIPPING은 PF 그자체라고 해도 될 정도로 큰 회사이다. PF GROUP의 계열사 중 가장 큰 회사이다. 또한 세계 5대 해운사 안에 포함되며 이중에 가장 역사가 짧다. 컨테이너선의 역사보다 PF의 역사가 짧지만 각종 운송 사업에서 굵직한 행보가 있어서 상당한 인지도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PF해운이 PF에서 비중이 가장 큰 만큼 PF해운에 타격이 생기면 그룹 전체 실적이 나락이다. 반대로 호재가 있으면 그룹 전체 실적이 엄청나게 오른다. 로고의 육각별은 6대륙을 모두 다니겠다는 의미를 내포한다고 하는데 진짜 6대륙을 모두 기항하는 해운사이다. 오히려 안가는 항만을 찾는것이 어려울 정도이다. 굵직한 해운망을 많이 보유한 관계상 진정한 대마불사라고 불리기도 한다.<ref>망하면 전세계에 수많은 항구도시가 대부분 타격을 입는다.</ref> 자회사 PFHD를 통해 많은 항만터미널 운영권이나 지분을 보유 중이다. 이는 항만 적체때 엄청난 이득으로 반사작용 되었다. PFHD는 이후 PF해운과 PF WATERWAYS로 분할흡수되었다. 현재 가장 큰 선박인 25,000TEU급 선박을 운용 중이다. 해운침체 시절부터 크기 경쟁을 시작한 해운사 중에 한 곳이며 이때문에 전체적인 선박이 큰 선박으로 구성되어있다. 작은 선박들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ref>상대적인 것이지 실질적으로 부족한 것은 아니다.</ref> 또한 환경규제 때문에 대부분의 선박을 메탄올 추진선으로 바꾸는 추세이다. 암모니아 추진선과 수소 선박에도 관심은 있지만 메탄올을 주력으로 밀고 갈 생각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LNG 추진선이 주력이라 현재까지의 환경규제에서는 자유롭다. ==역사== PF그룹의 전신 PEACE LOSGISTIC에서는 1973년 해운업 진출 계획을 세운다. 허나 10월에 발생한 유가파동으로 해당 계획은 미루어지게 된다. 1974년말 유가파동 1년만에 自由海上運送(자유해상운송)이라는 벌크선과 컨테이너선을 운용하던 중형 해운업체가 유가파동으로 인하여 쓰러지게 된다. PEACE에서는 해당 업체를 인수하여 PEACE SHIPPING을 만들 계획을 세운다. 이후 1975년 9월 2일에 최종 인수가 이루어지고 대한국 부산을 기점으로 자유해상운송이 부활하다싶이 등장하였다. PEACE의 자금을 얻은 자유해상운송은 공격적인 사업을 진행하여 꾸준히 빠르게 성장한다. PEACE는 이후 항공업 진출과 함께 하나의 회사임을 강조하고자 자유해상운송의 영문명인 FREE SHIPPING과 PEACE를 합쳐 PEACEFUL-FREE SHIPPING으로 개편한다. 길어진 이름에 생긴 불만으로 PF SHIPPING으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자유해상운송 시절 벌크선과 컨테이너선만 운영하였는데 인수 후 중동-대한국 간 유조선 계약 체결 그리고 대한국 발 LPG선 계약 체결, LNG선 계약 체결을 순차적으로 하여 다양한 종류의 선종을 모두 운영한 선사가 되었다. 이후 1995년도 아시아에서 두번째로 멤브레인형 LNG선을 도입하였고<ref>첫번째는 한진해운이다. 약 1개월 차이로 두번째</ref> 이후 현대자동차와 계약<ref>현대 글로비스의 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배정받았다.</ref>으로 차량운반선 사업까지 진출하면서 PF SHIPPING은 사실상 모든 종류의 선박을 운영하는 종합 해운 기업이 되었다. 또한 유럽과 아시아 양측에 본사가 있어서 차량 운반선 시장에서 주요 국가들을 대부분 포섭하여 시장에서 높은 위치를 가져갔다. ==주요 사업== ===벌크선 사업=== ===컨테이너선 사업=== ===유조선 사업=== ===가스선 사업=== ===차량운반선 사업=== 사업명 PF AUTOLINE. PF의 차량 운송 서비스이다. 한동안 단발성 차량 운송 계약을 몇 번 했었고, 첫 정기 운송 고객은 현대자동차이다. 이때부터 울산항과 현대수출부두에 사무소를 개소하고 운영하고있다. 아직까지도 현대자동차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5천대 가량을 한번에 실을 수 있는 선박을 꾸준히 투입 중이다. 그 이후 지속적으로 사업을 하면서 세계 유수의 자동차기업들과 계약을 했다 차량 운송 분야에 있어서 상위권 기업이며, 최근 전기차 시대에 맞춰 발빠르게 전기차 전용 운송 서비스를 추가로 개시하였다. 이는 배터리에 운송 중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하여 차량 화재를 예방하고 안전하게 운송하는 서비스이다. 주요고객사로는 [[파일:태극기.png|20px]]현대자동차, [[파일:태극기.png|20px]][[장미그룹]], [[파일:EAEC flag.png|20px]]<ref>범EAEC기업</ref> 한일모터스,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르노,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알핀,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알파로메오, [[파일:Flag of Japan.svg|20px]]토요타 , [[파일:미국 국기.png|20px]]테슬라 등이 있다. ==보유 선박== ||<-4><bgcolor=#f0d158> '''25,000TEU급(PF PEACE CLASS)''' || ||<rowbgcolor=#f0d158> 선명 || 조선사 || 국적 || 비고 || ||<rowbgcolor=white> PF PEACE 001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 || ||<rowbgcolor=white> PF PEACE 002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 || ||<rowbgcolor=white> PF PEACE 003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 || ||<rowbgcolor=white> PF PEACE 004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 || ||<rowbgcolor=white> PF PEACE 005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 || ||<-4><bgcolor=#333333> || ||<-4><bgcolor=#f0d158> '''22,000TEU급(PF STAR CLASS)''' || ||<rowbgcolor=#f0d158> 선명 || 조선사 || 국적 || 비고 || ||<rowbgcolor=white> PF STAR || [[파일:태극기.png|20px]]삼성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 || ||<rowbgcolor=white> PF MOON || [[파일:태극기.png|20px]]삼성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 || ||<rowbgcolor=white> PF SUN || [[파일:태극기.png|20px]]삼성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 || ||<-4><bgcolor=#333333> || ||<-4><bgcolor=#f0d158> '''18,000TEU급(PF GARAM CLASS)''' || ||<rowbgcolor=#f0d158> 선명 || 조선사 || 국적 || 비고 || ||<rowbgcolor=white> PF GARAM || [[파일:태극기.png|20px]]현대중공업 ||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 || 제주 선박등록특구 || ||<rowbgcolor=white> PF NARAM || [[파일:태극기.png|20px]]현대중공업 ||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 || 제주 선박등록특구 || ||<rowbgcolor=white> PF DARAM || [[파일:태극기.png|20px]]현대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메탄올 추진선 || ||<rowbgcolor=white> PF RARAM || [[파일:태극기.png|20px]]현대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메탄올 추진선 || ||<rowbgcolor=white> PF MARAM || [[파일:태극기.png|20px]]현대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메탄올 추진선 || ||<-4><bgcolor=#333333> || ||<-4><bgcolor=#f0d158> '''16,000TEU급(PF ALPHA CLASS)''' || ||<rowbgcolor=#f0d158> 선명 || 조선사 || 국적 || 비고 || ||<rowbgcolor=white> PF ALPHA || [[파일:태극기.png|20px]]대우조선해양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 || ||<rowbgcolor=white> PF BETA || [[파일:태극기.png|20px]]대우조선해양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 || ||<rowbgcolor=white> PF CALLI || [[파일:태극기.png|20px]]대우조선해양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 || ||<rowbgcolor=white> PF DELTA || [[파일:태극기.png|20px]]대우조선해양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 || ||<rowbgcolor=white> PF ECO || [[파일:태극기.png|20px]]대우조선해양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 || ||<-4><bgcolor=#333333> || ||<-4><bgcolor=#f0d158> '''15,000TEU급(PF KAM CLASS)''' || ||<rowbgcolor=#f0d158> 선명 || 조선사 || 국적 || 비고 || ||<rowbgcolor=white> PF KAM || [[파일:태극기.png|20px]]대우조선해양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 || ||<rowbgcolor=white> PF NAM || [[파일:태극기.png|20px]]대우조선해양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 || ||<rowbgcolor=white> PF DAM || [[파일:태극기.png|20px]]대우조선해양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 || ||<rowbgcolor=white> PF RAM || [[파일:Flag of Japan.svg|20px]]미쓰비시 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 || ||<rowbgcolor=white> PF MAM || [[파일:Flag of Japan.svg|20px]]미쓰비시 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 || ||<-4><bgcolor=#333333> || ||<-4><bgcolor=#f0d158> '''13,000TEU급(PF HANA CLASS)''' || ||<rowbgcolor=#f0d158> 선명 || 조선사 || 국적 || 비고 || ||<rowbgcolor=white> PF HANA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메탄올 추진선 || ||<rowbgcolor=white> PF DUL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메탄올 추진선 || ||<rowbgcolor=white> PF SAM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메탄올 추진선 || ||<rowbgcolor=white> PF SA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메탄올 추진선 || ||<rowbgcolor=white> PF OH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메탄올 추진선 || ||<rowbgcolor=white> PF LIU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메탄올 추진선 || ||<rowbgcolor=white> PF CHILL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메탄올 추진선 || ||<rowbgcolor=white> PF PAL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메탄올 추진선 || ||<rowbgcolor=white> PF GU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메탄올 추진선 || ||<rowbgcolor=white> PF SHI || [[파일:태극기.png|20px]]한산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메탄올 추진선 || ||<-4><bgcolor=#333333> || ||<-4><bgcolor=#f0d158> '''12,000TEU급(PF NE CLASS)''' || ||<rowbgcolor=#f0d158> 선명 || 조선사 || 국적 || 비고 || ||<rowbgcolor=white> PF NE 01 || [[파일:태극기.png|20px]]삼성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 || ||<rowbgcolor=white> PF NE 02 || [[파일:태극기.png|20px]]삼성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 || ||<rowbgcolor=white> PF NE 03 || [[파일:태극기.png|20px]]삼성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 || ||<rowbgcolor=white> PF NE 04 || [[파일:태극기.png|20px]]삼성중공업 ||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 || ||<rowbgcolor=white> PF NE 05 || [[파일:태극기.png|20px]]현대삼호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 || ||<rowbgcolor=white> PF NE 06 || [[파일:태극기.png|20px]]현대삼호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 || ||<rowbgcolor=white> PF NE 07 || [[파일:태극기.png|20px]]현대삼호중공업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 - || ||<-4><bgcolor=#333333> || ==정기 취항 노선== ===유럽-아시아=== ||<-3><bgcolor=#f0d158> '''1노선(컨테이너)''' || ||<rowbgcolor=#f0d158> 취항 도시 || 취항 항만 || 비고 || ||<rowbgcolor=white> 핀란드 헬싱키 || 헬싱키 항만 || 종착지 || ||<rowbgcolor=white> [[파일:Kongeriket-Norge .png|20px]]노르웨이 오슬로 || 오슬로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네덜란드 국기.png|20px]]네덜란드 로테르담 || 유로포트 || 터미널: APM Terminals Maasvlakte II || ||<rowbgcolor=white> [[파일:스페인 국기.png|20px]]스페인 알헤시라스 || 알헤시라스 항만 || - || ||<rowbgcolor=white> 이집트 포트사이드 || 포트사이드 컨테이너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인도 공화국 국기.png|20px]]인도 뭄바이 || 뭄바이 나바셰바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싱가포르 || 싱가포르 투아즈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홍콩 국기.png|20px]] 홍콩 || 홍콩 콰이청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Flag of the Republic of China.svg|20px]] 가오슝 || 가오슝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중국 국기.png|20px]]중국 상하이 || 상하이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 [[부산광역시]] || 부산 신항만 || 터미널: PFBT (자체운영) || ||<rowbgcolor=white> [[파일:나루 인민 공화국 국기.png|20px]][[나루공화국]] 광명 || 광명 항만 || 종착지, 터미널: PFGT (자체운영) || ||<-3><bgcolor=#333333> || ||<-3><bgcolor=#f0d158> '''2노선(컨테이너)''' || ||<rowbgcolor=#f0d158> 취항 도시 || 취항 항만 || 비고 || ||<rowbgcolor=white> [[파일:흑적금연방삼색기1.png|20px]]독일 함부르크 || 함부르크 항만 || 종착지 || ||<rowbgcolor=white> [[파일:네덜란드 국기.png|20px]]네덜란드 로테르담 || 유로포트 || 터미널: APM Terminals Maasvlakte II || ||<rowbgcolor=white>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사우샘프턴 || 사우샘프턴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Flag of Portugal.svg|20px]]포르투갈 리스본 || 리스본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인도 공화국 국기.png|20px]]인도 뭄바이 || 뭄바이 나바셰바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포트클랑 || 포트클랑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Flag of the Philippines.svg|20px]]필리핀 마닐라 || 마닐라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홍콩 국기.png|20px]] 홍콩 || 홍콩 콰이청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 인천 || 인천 신항만 || 터미널: PFIT (자체운영) || ||<rowbgcolor=white> [[파일:대부여국 국기.png|20px]][[대부여국]] 삼산 || 삼산 항만 || 종착지 || ||<-3><bgcolor=#333333> || ||<-3><bgcolor=#f0d158> '''3노선(컨테이너)''' || ||<rowbgcolor=#f0d158> 취항 도시 || 취항 항만 || 비고 || ||<rowbgcolor=white> [[파일:폴란드 국기.jpg|20px]]폴란드 그단스크 || 그단스크 항만 || 종착지 || ||<rowbgcolor=white> [[파일:스웨덴의 국기.png|20px]]스웨덴 예테보리 || 예테보리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네덜란드 국기.png|20px]]네덜란드 로테르담 || 유로포트 || 터미널: APM Terminals Maasvlakte II || ||<rowbgcolor=white>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사우샘프턴 || 사우샘프턴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스페인 국기.png|20px]]스페인 발렌시아 || 발렌시아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이탈리아 사회 민주 공화국|이탈리아]] 제노바 || 제노바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인도 공화국 국기.png|20px]]인도 뭄바이 || 뭄바이 나바셰바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포트클랑 || 포트클랑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홍콩 국기.png|20px]] 홍콩 || 홍콩 콰이청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중국 국기.png|20px]]중국 상하이 || 상하이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 [[부산광역시]] || 부산 신항만 || 터미널: PFBT (자체운영) || ||<rowbgcolor=white> [[파일:나루 인민 공화국 국기.png|20px]][[나루공화국]] 광명 || 광명 항만 || 터미널: PFGT (자체운영) || ||<rowbgcolor=white> 성월국 난코 || 난코 항만 || 종착지 || ||<-3><bgcolor=#333333> || ||<-3><bgcolor=#f0d158> '''4노선(컨테이너)''' || ||<rowbgcolor=#f0d158> 취항 도시 || 취항 항만 || 비고 || ||<rowbgcolor=white>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사우샘프턴 || 사우샘프턴 항만 || 종착지 || ||<rowbgcolor=white>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프랑스 마르세유 || 마르세유 항만 || - || ||<rowbgcolor=white> 이집트 포트사이드 || 포트사이드 컨테이너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싱가포르 || 싱가포르 투아즈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중국 국기.png|20px]]중국 상하이 || 상하이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 [[부산광역시]] || 부산 신항만 || 터미널: PFBT (자체운영) || ||<rowbgcolor=white> [[파일:Flag of Japan.svg|20px]]일본 도쿄 || 요코하마 항만 || 종착지 || ||<-3><bgcolor=#333333> || ||<-3><bgcolor=#f0d158> '''5노선(컨테이너)''' || ||<rowbgcolor=#f0d158> 취항 도시 || 취항 항만 || 비고 || ||<rowbgcolor=white> [[파일:Kongeriket-Norge .png|20px]]노르웨이 오슬로 || 오슬로 항만 || 종착지 || ||<rowbgcolor=white> [[파일:네덜란드 국기.png|20px]]네덜란드 로테르담 || 유로포트 || 터미널: APM Terminals Maasvlakte II || ||<rowbgcolor=white>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펠릭스토우 || 펠릭스토우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스페인 국기.png|20px]]스페인 바르셀로나 || 바르셀로나 항만 || - || ||<rowbgcolor=white>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 알렉산드리아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인도 공화국 국기.png|20px]]인도 뭄바이 || 뭄바이 나바셰바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싱가포르 || 싱가포르 투아즈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Flag of the Philippines.svg|20px]]필리핀 마닐라 || 마닐라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홍콩 국기.png|20px]] 홍콩 || 홍콩 콰이청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중국 국기.png|20px]]중국 상하이 || 상하이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 인천 || 인천 신항만 || 터미널: PFIT (자체운영) || ||<rowbgcolor=white> [[파일:중국 국기.png|20px]]중국 칭다오 || 칭다오 항만 || 종착지 || ||<-3><bgcolor=#333333> || ===유럽-오세아니아=== ||<-3><bgcolor=#f0d158> '''1노선(컨테이너)''' || ||<rowbgcolor=#f0d158> 취항 도시 || 취항 항만 || 비고 || ||<rowbgcolor=white> [[파일:Kongeriket-Norge .png|20px]]노르웨이 오슬로 || 오슬로 항만 || 종착지 || ||<rowbgcolor=white> [[파일:벨기에국기.png|20px]]벨기에 앤트워프<ref>안트베르펜</ref> || 앤트워프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프랑스 마르세유 || 마르세유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이탈리아 사회 민주 공화국|이탈리아]] 나폴리 || 나폴리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싱가포르 || 싱가포르 투아즈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인도네시아.png|20px]]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자카르타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호주 왕국 국기.png|20px]][[오스트레일리아 왕국|호주]] 퍼스 || 퍼스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호주 왕국 국기.png|20px]][[오스트레일리아 왕국|호주]] 멜버른 || 멜버른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NZ flag design Silver Fern (Red, White & Blue) by Kyle Lockwood.svg|20px]][[뉴질랜드 왕국|뉴질랜드]] 오클랜드 || 오클랜드 항만 || 종착지 || ||<-3><bgcolor=#333333> || ||<-3><bgcolor=#f0d158> '''2노선(컨테이너)''' || ||<rowbgcolor=#f0d158> 취항 도시 || 취항 항만 || 비고 || ||<rowbgcolor=white> [[파일:네덜란드 국기.png|20px]]네덜란드 로테르담 || 유로포트 || 종착지, 터미널: APM Terminals Maasvlakte II || ||<rowbgcolor=white>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펠릭스토우 || 펠릭스토우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프랑스 마르세유 || 마르세유 항만 || - || ||<rowbgcolor=white>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 알렉산드리아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포트클랑 || 포트클랑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인도네시아.png|20px]]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자카르타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호주 왕국 국기.png|20px]][[오스트레일리아 왕국|호주]] 퍼스 || 퍼스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호주 왕국 국기.png|20px]][[오스트레일리아 왕국|호주]] 멜버른 || 멜버른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NZ flag design Silver Fern (Red, White & Blue) by Kyle Lockwood.svg|20px]][[뉴질랜드 왕국|뉴질랜드]] 오클랜드 || 오클랜드 항만 || 종착지 || ===아시아-아메리카(태평양 항로)=== ||<-3><bgcolor=#f0d158> '''1노선(컨테이너)''' || ||<rowbgcolor=#f0d158> 취항 도시 || 취항 항만 || 비고 || ||<rowbgcolor=white> [[파일:중국 국기.png|20px]]중국 상하이 || 상하이 항만 || 종착지 || ||<rowbgcolor=white>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 [[부산광역시]] || 부산 신항만 || 터미널: PFBT (자체운영) || ||<rowbgcolor=white> [[파일:나루 인민 공화국 국기.png|20px]][[나루공화국]] 광명 || 광명 항만 || 터미널: PFGT (자체운영) || ||<rowbgcolor=white> [[파일:Flag of Japan.svg|20px]]일본 도쿄 || 요코하마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미국 국기.png|20px]]미국 LA || 롱비치 항만 || 종착지 || ||<-3><bgcolor=#333333> || ||<-3><bgcolor=#f0d158> '''2노선(컨테이너)''' || ||<rowbgcolor=#f0d158> 취항 도시 || 취항 항만 || 비고 || ||<rowbgcolor=white>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싱가포르 || 싱가포르 투아즈 항만 || 종착지 || ||<rowbgcolor=white> [[파일:Flag of the Republic of China.svg|20px]] 가오슝 || 가오슝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나루 인민 공화국 국기.png|20px]][[나루공화국]] 광명 || 광명 항만 || 터미널: PFGT (자체운영) || ||<rowbgcolor=white> [[파일:Flag of Japan.svg|20px]]일본 도쿄 || 요코하마 항만 || - || ||<rowbgcolor=white> 성월국 난코 || 난코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미국 국기.png|20px]]미국 LA || 롱비치 항만 || 종착지 || ||<-3><bgcolor=#333333> || ||<-3><bgcolor=#f0d158> '''3노선(컨테이너)''' || ||<rowbgcolor=#f0d158> 취항 도시 || 취항 항만 || 비고 || ||<rowbgcolor=white> [[파일:대부여국 국기.png|20px]][[대부여국]] 삼산 || 삼산 항만 || 종착지 || ||<rowbgcolor=white> [[파일:중국 국기.png|20px]]중국 칭다오 || 칭다오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 인천 || 인천 신항만 || 터미널: PFIT (자체운영) || ||<rowbgcolor=white> [[파일:Flag of Japan.svg|20px]]일본 도쿄 || 요코하마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캐나다 국기.png|20px]]캐나다 벤쿠버 || 벤쿠버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미국 국기.png|20px]]미국 LA || 롱비치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Flag of Chile.svg|20px]]칠레 발파라조<ref>발파라이소</ref> || 발파라조 항만 || 종착지 || ||<-3><bgcolor=#333333> || ||<-3><bgcolor=#f0d158> '''4노선(컨테이너)''' || ||<rowbgcolor=#f0d158> 취항 도시 || 취항 항만 || 비고 || ||<rowbgcolor=white> [[파일:홍콩 국기.png|20px]] 홍콩 || 홍콩 콰이청 항만 || 종착지 || ||<rowbgcolor=white> [[파일:나루 인민 공화국 국기.png|20px]][[나루공화국]] 광명 || 광명 항만 || 터미널: PFGT (자체운영) || ||<rowbgcolor=white> [[파일:Flag of Japan.svg|20px]]일본 도쿄 || 요코하마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미국 국기.png|20px]]미국 LA || 롱비치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파나마 국기.svg|20px]]파나마 || 파나마 항만 || - || ||<rowbgcolor=white> [[파일:미국 국기.png|20px]]미국 뉴욕 || 뉴욕-뉴저지 항만 || 종착지 || ||<-3><bgcolor=#333333> || ===아시아-오세아니아=== ===대서양 항로=== ===희망봉 항로=== ===지역 항로(중단거리)=== ===기타 항로=== ==취항 항만== ===아시아 지역=== ||<-2><bgcolor=#f0d158>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내 취항 항만''' || ||<rowbgcolor=#f0d158> 취항 항만 || 비고 || ||<rowbgcolor=white> 인천 신항만 || - || ||<rowbgcolor=white> [[부산광역시|부산]] 신항만 || - || ||<rowbgcolor=white> 울산 항 || - || ||<rowbgcolor=white> 포항 항 || - || ||<rowbgcolor=white> 평택-당진 항 || - || ||<rowbgcolor=white> 군산 항 || 한일모터스 물량을 여기서 선적한다. || ||<rowbgcolor=white> 광양 항 || - || ||<rowbgcolor=white> 목포 항 || 기아자동차<ref>광주 공장 생산</ref> 물량을 여기서 선적한다. || ||<rowbgcolor=white> 동해 항 || - || ||<rowbgcolor=white> 제주 항 || 비정기운항만 존재한다. || ||<-3><bgcolor=#333333> || ==운영 항만 터미널== ===부산신항(PFBT)=== ===인천신항(PFIT)=== ===나루광명항(PFGT)=== ==사건/사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기업 정보 양식 (원본 보기) 틀:대한국의 대기업 (원본 보기) PF SHIPPING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