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include(틀:일본 국회 원내 구성)] ||<-5><tablealign=center><bgcolor=#f8e018> '''[[일본/정당|{{{#000 일본의 자유주의 정당}}}]]''' || ||<table bgcolor=#fff,#1f2023><width=28%> [[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 ||<|3> {{{+1 →}}} ||<|3><width=28%><bgcolor=#00469c> {{{#ffffff '''입헌민주당'''}}} ||<|3> {{{+1 →}}} ||<|3><width=28%> ''현재'' || || [[국민민주당(2018년)|국민민주당]] || || [[사회민주당(일본)|사회민주당]][br],,(일부),, || ||<-2><height=350><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469c><table bgcolor=#fff,#1f2023> [[파일:立憲民主党 ロゴ.jpg|width=70%]] || ||<-2><bgcolor=#00469c> {{{+1 {{{#fff '''[ruby(立憲民主党,ruby=りっけんみんしゅとう)] | 입헌민주당'''}}}}}} || ||<colbgcolor=#f5f5f5,#bbb><colcolor=#00469c><width=125> '''영문 명칭''' ||The Constitutional Democratic Party of Japan|| || '''약칭''' ||民主党(민주당)[* 구 민주당과 구별하기 위해서 언론 보도시 입민(立民), 입헌민주(立憲民主), 입헌민(立憲民), 입헌(立憲), 입(立)이라고 표기한다.], 立憲(입헌)|| || '''한글 명칭''' ||입헌민주당|| || '''슬로건''' ||'''あなたのための政治。'''[br]당신을 위한 정치. ---- '''変えよう。'''[br]바꾸자. ---- '''さぁ、力を合わせて。'''[br]자, 힘을 합쳐서. ---- '''生活安全保障。'''[br]생활안전보장.[* 홈페이지의 제목이자 최근 입헌민주당이 자주 쓰는 구호이다.] || || '''창당일''' ||[[2020년]] [[9월 15일]][* [[입헌민주당(2017년)]]과 [[국민민주당(2018년)]]과 사회보장 재건을 위한 국민회의와 신설합당하여 출범.]|| || '''통합한 정당''' ||[[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 [[국민민주당(2018년)|국민민주당]], 사회보장 재건을 위한 국민회의[* [[2019년]] 설립된 무소속 교섭 단체로 중의원 회파였던 입헌·국민·무소속 회파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노다 요시히코]] 前 [[일본국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을 중심으로 설립되었다.][br]{{{-2 ([[2020년]] [[9월 15일]] 신설합당)}}}|| || '''이념''' ||[[자유주의]][br][[사회자유주의]][br]입헌주의[*A [[https://web.archive.org/web/20180118194827/https://cdp-japan.jp/news/wp-content/uploads/2017/12/%E7%B6%B1%E9%A0%9821071226F.pdf|입헌민주당 강령]] 중 일부 (당의 목표 '입헌주의에 기초한 민주정치' : '입헌주의'를 지키고, ''''상징천황제'''' 하에서 일본국 헌법에 정한 '국민주권주의', '기본적 인권의 존중', ''''평화주의'''' 수호를 목표로 함)] ---- '''분파''' :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진보주의]][* 생추어리([[일본사회당(1945년)|구 일본사회당]]), 사회민주당 탈당파 계열([[요시다 다다토모]], 요시카와 하지메.)][br][[중도주의|민주중도]], [[보수자유주의]][* 구 료운카이(마에하라 세이지파), 현 신정권연구회 계열][* 단, 21세기 일본 정치에서 [[보수자유주의]]라는 용어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주로 민주당-민진당-입헌민주당을 비롯한 중도~중도좌파 계열은 '리버럴'(リベラル)이나 '자유주의'(自由主義)라는 용어로 사용되는데 미국과 비슷하게 [[사회자유주의]]를 의미해 '보수주의'와 대조적으로 사용된다. 즉 일본에서는 입헌민주당 당내 우파를 보수자유주의/자유보수주의라고 하지 않고 그냥 보수주의라고만 칭한다.]|| || '''스펙트럼''' ||[[중도주의|중도]][* [[https://theconversation.com/japans-ruling-conservatives-have-been-returned-to-power-but-amid-voter-frustration-challenges-lurk-for-kishida-170561 |"Japan's ruling conservatives have been returned to power, but amid voter frustration, challenges lurk for Kishida"]]. ''The Conversation''. 1 November 2021. Retrieved 13 November 2021. The main opposition, the centrist Constitutional Democratic Party, lost 13 seats, to end up with 96. Other smaller opposition parties only shifted slightly, with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dropping two to ten, and the centre-right Democratic Party for the People gaining three to reach 11.] ~ [[중도좌파]][* Sieg, Linda (26 August 2018). [[https://en.wikipedia.org/wiki/Constitutional_Democratic_Party_of_Japan#cite_note-9|"Japanese PM Abe seen headed for extended term despite policy doubts"]]. Reuters. Retrieved 21 October 2019.][* 중도좌파 ~ 좌파([[생츄어리#s-7.1|생추어리]]), 좌파([[요시다 다다토모]], 요시카와 하지메 등 사회민주당 탈당파 계열), 중도 ~ 중도우파([[에다 겐지]], [[와타나베 슈(정치인)|와타나베 슈]], [[류 히로후미]] 등 기타 보수파), 중도(신정권연구회, 화제회, 지세이카이), 등의 계파도 있지만 주류인 나라의 모습 연구회는 중도좌파로 분류된다. [[국민민주당(2018년)|구 국민민주당]] 주류파[* 다마키 유이치로 대표, 마에하라 세이지 등 잔류파는 구 국민민주당 해산 후 [[국민민주당(2020년)|신 국민민주당]]을 창당했다.]의 합당으로 나라의 모습 연구회 성향 자체도 중도화되었다.]|| ||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469C; border: 1px #00469C;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파란색 {{{-2 (#00469C)}}}}}}}}} || || '''주소''' ||[[도쿄도]] [[치요다구]] 히라카와초[br] 2-12-4 후지빌딩 3층[br](東京都千代田区平河町[br]2-12-4 ふじビル3F)[br][[도쿄도]] [[치요다구]] 나가타초 1초메 1-11-1[* 원래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시기 때부터 사용되던 [[국민민주당(2018년)|국민민주당]]의 본부였으나 신설 합당되면서 건물을 물려받았다.][br](東京都千代田区永田町 一丁目[br]1-11-1) || || '''대표''' ||[[이즈미 겐타]] ,,/ 7선 ([[중의원|중]], 43~49대),,|| || '''대표대행''' ||[[오사카 세이지]] ,,/ 5선 ([[중의원|중]], 44~45·47~49대),,|| || '''부대표''' ||[[공석]]|| || '''간사장''' ||[[니시무라 지나미]] ,,/ 6선 ([[중의원|중]], 43~49대),,|| || '''국회대책위원장''' ||[[마부치 스미오]] ,,/ 7선 ([[중의원|중]], 43~49대),, || || '''[[일본 참의원|{{{#00469c 참의원}}}]]''' ||<bgcolor=#aaa,#44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9c 17.9%, transparent 17.9%)" {{{#fff 45석[* 지역구 30석, 비례대표 15석] / 245석 (18.4%)}}}}}} || || '''[[중의원|{{{#00469c 중의원}}}]]''' ||<bgcolor=#aaa,#44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9c 20.6%, transparent 20.6%)" {{{#fff 96석[* 지역구 57석, 비례대표 39석] / 465석 (20.6%)}}}}}}|| || '''지방자치의회''' ||<bgcolor=#aaa,#44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9c 3.9%, transparent 3.9%)" {{{#fff 1,271석[* 도도부현과 시구정촌을 포함한 의석수다.] / 32,430석 (3.9%)}}}}}} || || '''당원 수''' ||100,267명^^(2021년 11월)^^|| || '''아시아 정당 조직''' ||아시아자유민주연맹^^(옵저버)^^|| || '''기관지''' ||입헌 민주|| || '''공식 사이트''' ||[[https://newparty.cdp-japan.jp/|[[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상하조합.svg|width=15%]]]]|| || '''SNS''' ||[[https://www.youtube.com/channel/UCghxR0rXQOH31bZwzTBY-y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6]]]] [[https://www.facebook.com/rikkenminshu/|[[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twitter.com/CDP2017|[[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4]]]] [[https://line.naver.jp/ti/p/%40rikken|[[파일:라인 아이콘.svg|width=22]]]]||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Color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일본 국회 원내 구성 (원본 보기) 틀:정당 정보 양식 (원본 보기) 틀:정당박스 (원본 보기) 입헌민주당(일본)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