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191919><bgcolor=#321a88,#8f77e5><colcolor=#fff><:> {{{+1 '''주식회사 경문교통''' }}} <br/> 慶文交通株式會社 <br/> Kyungmun Transportation Co., Ltd. || ||<colbgcolor=#321a88,#8f77e5>'''대표이사'''|| 윤창현 || ||'''설립일자'''|| 1996년 9월 28일 || ||'''업종'''|| 시내버스 || ||'''보유대수'''||<:> 15대 (예비 3대) || ||'''본사'''|| 남천시 남천서로 246-1 (남선사 차고지)|| {{목차}} == 개요 == * [[http://www.kmtrans.co.kr/|경문교통 홈페이지]] 경문교통은 남천시를 연고로 한 시내버스 회사이다. 운행 노선으로는 3100번, 60번, 777번이 있다. == 역사 == 1996년 남천버스에서 남선사영업소와 신항영업소가 경문교통으로 분리되며 창립되었다. 이후 152번을 광역버스로 전환하고 60번을 신설하는 등 여러 변화를 거쳤다. == 운행 노선 == === 3100번 === ==== 노선 정보 ==== ||<-6><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0000><bgcolor=#ff0000> {{{#ffffff 남천시 직행좌석버스 3100번}}} || ||<-2> 기점 ||<width=300px> 남천시 남선사동(남선사차고지) ||<-2> 종점 ||<width=300px> 남천시 용원동(용원고등학교) || ||<|2><width=50px> 종점행 ||<width=50px> 첫차 || 05:15 ||<|2><width=50px> 기점행 ||<width=50px> 첫차 || 05:30 || || 막차 || 22:15 || 막차 || 23:00 [* 막차는 중간종료 후 용원동차고지에서 주박하며 다음날 첫차로 운행한다.] || ||<-2> 평일배차 || 20분 ||<-2> 주말배차 || 40분 || ||<-2> 운수사명 || 경문교통 ||<-2> 인가대수 || 7대(예비 1대) || ||<-2> 노선 ||<-4> 남선사차고지 - 대청이마트 - 버스터미널 - 금관로데오 - 대한통운 - (남천신항 지하차도 경유) - 남천신항 - 용원국제도시 - 용원e마트 → 이후 역순 || ==== 개요 ==== 경문교통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이다. ==== 특징 ==== * 1980년대부터 운행한 유서깊은 노선으로, 남천 신항 노동자 수송을 위한 버스에서 시작했지만 현재는 금관, 대청, 신항, 용원 등 남천시내 주요 지역을 빠르게 연결하는 주간선노선의 역할을 하고 있다. * 원래는 152번이라는 일반시내 노선이였지만 효율적 운영을 위해 수요가 많은 북부 구간 (금관, 대청, 남선사)을 일반시내버스 60번으로 분리하고 3100번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하였다. * 장거리 노선이지만 1회 운행 시간이 왕복 90분이고 1회 운행시간과 쉬는시간을 합치면 2시간밖에 되지 않아 운행 시간이 넉넉치 않기에 난폭운전과 신호위반이 잦다. * 전 차량 유니시티가 투입된다. * 북부 구간의 시내 이동 수요는 60번이 대부분 가져갔지만 장거리 이동 수요는 아직도 3100번의 몫이다. * 일부 차량은 용원동차고지에서 관리하며, 용원동행 막차는 용원동에서 주박 후 다음날 남선사행 첫차로 운행한다. === 60번 === ==== 노선 정보 ==== ||<-6><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33cc99><bgcolor=#33cc99> {{{#ffffff 남천시 일반시내버스 60번}}} || ||<-2> 기점 ||<width=300px> 남천시 남선사동(남선사차고지) ||<-2> 종점 ||<width=300px> 남천시 신항동 (화영아파트) || ||<|2><width=50px> 종점행 ||<width=50px> 첫차 || 05:00 ||<|2><width=50px> 기점행 ||<width=50px> 첫차 || 05:25 || || 막차 || 22:50 || 막차 || 23:15 [* 주말에는 막차가 22시 40분 경에 차고지에서 출발한다.] || ||<-2> 평일배차 || 10분 ||<-2> 주말배차 || 20분 || ||<-2> 운수사명 || 경문교통 ||<-2> 인가대수 || 6대(예비 1대) || ||<-2> 노선 ||<-4> 남선사차고지 - 대청이마트 - 버스터미널 - 금관로데오 - 대한통운 - 화영아파트 → 이후 역순 || ==== 개요 ==== 경문교통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이다. ==== 특징 ==== * 152번이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된 후 152번 수요의 큰 비중을 차지하던 남천신항 지하차도 이북 구간을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운행한 것이 시초이다. * 남천시내버스 중에서도 수요가 많은 편에 속하고 배차간격도 10분 내외로 짧다. 남선사, 금관, 대청 지역 수요를 쓸어담는 노선. * 1회 운행 시간과 쉬는 시간을 합하면 1시간으로, 한 바퀴를 빨리 돌면 1시간 안에서 더 쉴 수 있는 탄력배차 노선이다. * 금관, 대청 지역 내 이동 수요도 많고 대한통운의 통근 수요도 많지만 주말에는 남선사시장, 등산로 관광객 수요 또한 많다. 주말 감차로 유명한 남천시내버스이지만 이러한 이유로 주말에도 20분 간격으로 자주 운행한다. * 모든 차량을 남선사 차고지에서 관리한다. * 남천시내버스에서 3번째로 일렉시티가 투입되었으며, 예비차 1대를 제외하고 전 차량이 전기버스로 대차되었다. === 777번 === ==== 노선 정보 ==== ||<-6><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33cc99><bgcolor=#33cc99> {{{#ffffff 남천시 일반시내버스 777번}}} || ||<-2> 기점 ||<width=300px> 남천시 신항동(현대아울렛) ||<-2> 종점 ||<width=300px> 남천시 동평동 (동평2동행정복지센터) || ||<|2><width=50px> 종점행 ||<width=50px> 첫차 || 06:00 ||<|2><width=50px> 기점행 ||<width=50px> 첫차 || 06:15 || || 막차 || 22:00 || 막차 || 22:15 || ||<-2> 평일배차 || 50분 ||<-2> 주말배차 || 50분 || ||<-2> 운수사명 || 경문교통 ||<-2> 인가대수 || 1대(예비 1대) || ||<-2> 노선 ||<-4> 신항현대아울렛 - 주공아파트 - 대림항 - 북곡낚시터 - 동평동 → 이후 역순 || ==== 개요 ==== 경문교통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이다. ==== 특징 ==== *1970년대부터 좌석버스로 운행되어온 오래된 노선이다. 2009년경 용원국제도시, 해양동 구간이 단축되며 일반좌석버스에서 일반시내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 신항, 대림항 지역과 동평동 지역을 잇는 노선이다. 얼핏 보면 존치 이유를 알기 어려우나 두 지역을 직선거리로 가장 짧게 이어준다는 점, 두 지역을 한번에 연결하는 노선이 없다는 점에서 여러모로 필요한 노선이다. 전 노선이 단독 구간이라 수요도 없지는 않다. * 전 차량 현대 뉴슈퍼에어로시티 좌석형 차량으로 운행하며, 대림항 차고지에서 관리한다. * 북곡낚시터 구간이 산지이며 길이 무척 험하다. 산복도로를 지나는 노선인 만큼 사고 위험성이 높아 입석 승차가 불가능하며 안전벨트 착용도 필수이다. 전 차량이 좌석형 차량인 이유를 알 수 있는 부분. * 도로 사정이 좋지 않으나 타 노선에 비해 탕수가 적고 운행 시간도 넉넉하여 고참들이 선호하는 노선이다. * 동절기 눈이 내리면 고속도로로 우회하여 운행한다. * 동평동행 막차는 동평동에서 중간종료한 후 대림항 차고지까지 고속도로로 공차회송한다. * 1회 운행 시간과 쉬는 시간을 합하면 50분으로, 한 바퀴를 빨리 돌면 50분 안에서 더 쉴 수 있는 탄력배차 노선이다. 한 바퀴 도는데 30분 정도 소요되어 쉬는시간이 많다. == 보유 차량 == * 현대 일렉시티 II 전기버스 * 현대 F/L 뉴 슈퍼 에어로시티 L 디젤 * 대우 NEW BS 106 뉴 로얄시티 디젤 == 논란 및 사건사고 == * 재생타이어 사용 논란이 있다. * 난폭운전, 과속, 신호위반이 잦은 회사이다. 킬문교통이라는 별명이 생길 정도. * 2015년 12월 16일 777번 산복도로 구간에서 빙판길 미끄러짐 사고가 일어나 1명이 사망하고 13명이 다쳤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목차 (원본 보기) 경문교통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