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유고슬라비아 왕국(식혜)]] {{틀:유고슬라비아 관련 문서}} {{목차}} =개요= 본 문서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식혜)|유고슬라비아]]의 공휴일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유고슬라비아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국경일 및 기타 공휴일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10개의 공휴일을 법으로 지정하고 있다. 예로부터 기독교의 영향이 강했던 까닭에<ref>특히 정교회</ref> 종교 관련 휴일이 많다. 대체 휴일 제도를 적용하고 있어서 공휴일이 토요일 혹은 일요일과 겹칠 경우, 그 바로 다음 비공휴일 하루를 반드시 대체공휴일로 지정한다. 입헌군주제 국가인 만큼 [[유고슬라비아 국왕(식혜)|국왕]]과 직계 왕족의 경조사가 있는 날이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다. 방계 왕족의 경조사는 공휴일로 지정되지 않는다. 최근의 예로는 1971년 10월 13일 [[알렉산다르 2세(식혜)|알렉산다르 2세]] 대관식, 1985년 9월 20일 알렉산다르 2세의 결혼식, 2017년 10월 7일 [[필리프 카라조르제비치(식혜)|필리프 왕세자]] 결혼식 등이 있다. =공휴일 목록=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893><#003893><width=280px> {{{#fff '''명칭'''}}} ||<width=120px><#003893> {{{#fff '''날짜'''}}} ||<#003893> {{{#fff '''설명'''}}} || || '''신년''' <br> {{{-1 Нова Година | Nova Godina}}} || 1월 1일 || || || '''신현대축일''' <br> {{{-1 Богојављење | Bogojavljenje}}} || 1월 6일 || 신현대축일 혹은 공현대축일은 유고슬라비아 내 [[세르비아 정교회(식혜)|정교회]], 가톨릭 교인 모두에게 기념되는 날이다. 가톨릭에서는 동방박사가 아기 예수에게 경배하러 간 것을 기념하는 날로, 또 하나의 성탄대축일로 여겨진다. 정교회에서는 예수가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은 것을 기념하는 날로, 많은 정교회 교인들이 이날 세례를 받는다. 마침 다음날인 1월 7일이 정교회 성탄절이라 성탄절 전야제도 겸해 기념한다.|| || '''정교회 성탄절''' <br> {{{-1 Божић | Božić}}} || 1월 7일 || 그레고리력을 교회력으로 채택하고 있는 서방 교회와는 달리 동방 교회 계열, 특히 정교회는 율리우스력을 교회력으로 채택하고 있다. 정교회의 성탄절은 율리우스력 12월 25일로, 이는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면 1월 7일이다. 이러한 까닭에 유고슬라비아 내 정교회 교인들은 율리우스력으로 12월 25일로 취급되는 1월 7일을 성탄절로 지킨다.|| || '''홀로코스트 현충일''' <br> {{{-1 Дан сећања на жртве холокауста <br> Dan sećanja na žrtve holokausta}}} || 4월 22일 ||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에 의한 홀로코스트, 대량 학살 및 기타 파시즘 희생자를 기리는 날. 매년 국가 단위의 추념식이 거행된다.|| || '''성금요일''' <br> {{{-1 Велики петак | Veliki petak}}} || 부활절 이틀 전 || 부활절 이틀 전 금요일로, 예수가 십자가형을 받은 날을 기념하는 날. 부활절 월요일까지의 부활절 연휴가 시작되는 날이다.|| || '''부활절''' <br> {{{-1 Васкрс | Vaskrs}}} || 4월 4일~<br>5월 8일 중 || 유고슬라비아 최대 명절. 정교회 교인들 사이에서는 성탄절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더 크게 기념된다. 이날 사람들은 빵, 계란, 햄, '포티카'라 불리는 케이크 등이 담긴 음식 바구니를 준비하고 천으로 덮은 다음, 성당으로 가져가 함께 나누며 축복한다. [[모라바 바노비나(식혜)|모라바]], [[다뉴브 바노비나(식혜)|다뉴브]], [[제타 바노비나(식혜)|제타]] 등 일부 지역에서는 불길을 뛰어 넘는 것이 관습이다.|| || '''부활절 월요일''' <br> {{{-1 Васкрсни понедељак | Vaskrsni ponedeljak}}} || 부활절 하루 후 || 부활절 월요일은 부활절 다음날로, 다뉴브 지역에서는 이날 남자가 여자에게 물을 붓는 관습이 있다. 이는 죄를 씻는 것을 의미한다. 또 남자가 여자에게 물을 더욱 많이 부을수록 프로포즈가 성공한다고 믿어서, 이날 많은 남자들이 연인에게 프로포즈를 한다.|| || '''노동절''' <br> {{{-1 Празник рада | Praznik rada}}} || 5월 1일<br>5월 2일 || 5월 1일부터 2일까지 이틀간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 '''통일절''' <br> {{{-1 Дан уједињења | Dan ujedinjenja}}} || 12월 1일 ||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시초가 되는 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의 성립을 기념하는 날.|| || '''성탄절''' <br> {{{-1 Божић | Božić}}} || 12월 25일 || 그레고리력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성탄절로, 주로 가톨릭 교인들에게 기념된다. 정교회 성탄절인 1월 7일과 더불어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어서 유고슬라비아는 성탄절 휴일이 두 번이다.|| =종교 공휴일= 엄밀히 말하면 공휴일은 아니지만, 개인의 종교에 따라 휴일을 가질 수 있도록 법으로 보장하는 날이다. 사실상 공휴일로 여겨지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정부기관, 관공서, 회사가 쉰다.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893><#003893><width=280px> {{{#fff '''명칭'''}}} ||<width=120px><#003893> {{{#fff '''날짜'''}}} ||<#003893> {{{#fff '''설명'''}}} || || '''성 사바 대축일''' <br> {{{-1 Савиндан | Savindan}}} || 1월 27일 || 정교회 관련 휴일로, 유고슬라비아의 모든 학교의 수호성인이자 세르비아 정교회 초대 총대주교 성 사바를 기리는 날이다.|| || '''모든 성인 대축일''' <br> {{{-1 Свих светих | Svi sveti}}} || 11월 1일 || 가톨릭과 정교회 관련 휴일로, 유고슬라비아는 가톨릭에서 기념하는 11월 1일을 따른다.|| || '''이드 알피트르''' <br> {{{-1 Рамазански Бајрам | Ramazanski Bajram}}} || 샤왈 1일 || 이슬람 관련 휴일로, 금식 기간인 라마단이 끝나는 날 사원에 모여 예배를 드리고 성대한 음식을 즐기는 날이다.|| || '''이드 알아드하''' <br> {{{-1 Курбански Бајрам | Kurbanski Bajram}}} || 두 알히자 10일 || 이슬람 관련 휴일로, 이슬람의 최대 행사인 핫지(성지순례)를 무사히 끝마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유고슬라비아 관련 문서 (원본 보기) 공휴일/유고슬라비아(식혜)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