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 경제]][[분류:한자어]] '''국채'''(國債, National Debt)란 국가가 발행한 채권으로서 국가가 세입으로 부족한 자금을 조달하고 미래에 정해진 시점에서 일정한 이자와 원금을 지급하기로 약혹한 증권이다. 다른말로 '''국고채'''라고 한다. 예를들어 국고채권, 국민주태채권, 외화표시, 외국환평형기금 채권 등이 있다. == 공채 == '''공채'''(公債, public debt) 국가가 국채 이외에 재원조달을 목적으로 발행하는 채권이다. 즉 공채란 국가회계실체에 포함되는 민간기금이 관련 법률에 따라 발행한 채권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중소기업창업및진흥기금채권,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채권, 구조조정기금채권 등이 있다. == 회계처리 == 재정상태표상에 국채를 표시할 때에는 액면금액으로 기록하며, 국채할인발행차금 및 국채할증발행차금을 별도로 각각 표시한다. 국채할인발행차금과 자기국채는 국채의 차감항목이고 국채할증발행차금은 국채의 가산항목이다. 국채발행 시 발생하는 인쇄비, 수수료 등의 발행비용은 별도의 비용으로 처리하지 않고 국채의 발행금액에서 차감한다. === 국채할인발행 및 국채할증발행 === 국채는 발행시 국채의 액면이자율과 시장이자율의 차이로 인하여 할인 또는 할증발행된다. 국채할인발행차금과 국채할증발행차금은 국채발행시부터 최종상환시까지의 기간에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상각 또는 환입하고 동 상각 또는 환입액은 국채이자에 가감한다. ==== 국채할인발행차금 ==== 액면이자율 < 시장이자율, 국채 발행시 실수령액(발행금액)이 액면금액 경우 그 차액보다 작을경우 국채를 할인발행하면서 생긴 차액을 '''국채할인발행차금'''으로 회계처리한다. ==== 국채할증발행차금 ==== 액면이자율 > 시장이자율, 국채 발행시 실수령액(발행금액)이 액면금액 경우 그 차액보다 클경우 국채를 할증발행하면서 생긴 차액을 '''국채할증발행차금'''으로 회계처리한다. 국채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