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20px]] {{글씨 크기 (px)|12|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나방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FF6600; max-width:450px; width:100%; float:right; text-align:1.05em" ! colspan="3" style="background:#FF6600 ; color:#fff" | {{글씨 크기|14|나방}} (밤나비)<br>蛾 | Moth |- | colspan="3"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나방.jpg|9900px]]</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FF9934 ; color:#000; width:27%" | 학명 | '''''Heterocera''''' |- ! colspan="3" style="background:#FF9A66 ; color:#000" | 분류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계 | [[동물계]]^^Animali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문 | [[절지동물|절지동물문]]^^Arthropod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강 | [[곤충강]]^^Insect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목 | 나비목^^Lepidopter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미분류 | '''나방류^^Heterocera^^''' |} {{목차}} ==개요== '''곤충강 나비목에 속한 곤충 중 나비아목을 제외한 분류군 동물의 총칭'''. '[[나비]]'로 알려진 동물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은 곤충이다. 더듬이는 채찍, 깃, 빗살 모양이며 주로 밤에 활동한다. 전 세계에 총 43상과에 121과, 15,700여 속에 약 16만 종이 확인되었고 한국에는 1,500여 종이 있다. 나비목의 90%는 나방이며 상과, 과, 속, 종의 수 모두 나비보다<ref>상과 2개, 과 6개, 속 2,000개에 18,000여 종.</ref> 훨씬 많다. 나방중에 유명한 것이라면 [[산누에나방]]이나 [[누에나방]], 혹은 [[벌새]]와 같이 공중정지비행을 하며 꿀을 빠는 꼬리[[박각시]] 등이 있다. [[도롱이벌레]]로 알려진 애벌레도 사실은 주머니나방과의 [[애벌레]]. 도롱이벌레 암컷은 성충이 되어도 생식기능만 성숙하고 모습은 과변태를 한 듯한 상태이다. 화석상의 기록으로는 가장 오래된 나방 화석은 영국 도싯 주 1억 9천만년 전 쥐라기 초기에 형성된 차머스 머드스톤 지층(Charmouth Mudstone Formation)에서 발견된 아르케올레피스(Archaeolepis)이라는 멸종된 나방 화석이다. ==특징== ==생태== [[분류:나방]]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글씨 크기 (px)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나방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