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뤼베크 왕국]] {{틀:뤼베크 왕국 공식 문서}} {{틀:뤼베크 왕국 관련 문서}} {{목차}} ==개요== [[뤼베크 왕국]]의 정치에 관해 서술하는 문서이다. ==정치체제== [[뤼베크 왕국]]은 [[뤼베크 왕국/헌법|헌법]]에 의거하여 국왕이 행정부의 권력 일부를 가지고, 국민회의가 입법부의 권력을 가지고, 총리가 행정부 권력 일부를 가지고 양측을 견제하여 권력을 양분하며, 사법권은 3개의 권력주체 모두가 동등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헌군주제]]의 정치체제를 가지고 있다. ==총리== {{틀:역대 뤼베크 왕국 총리}} • 초대 총리인 [[광개수]]는 임기 종료 후 분탕질을 일삼아 여론이 악화되었으며, 이후 [[5.16 테러]]의 주동세력인 [[젤카슈네르 공화국]]과 [[캄보디아 공국]] 등의 반인류 세력과의 연관성이 밝혀지면서 추방당했다. • 제2대 총리인 [[코코넛]]은 정치인을 가장하고 잠입하여 [[뤼베크 왕국]]에 큰 피해를 준 [[5.16 테러]]의 '''테러범'''이며, [[캄보디아 공국]] 소속이다. 정황상 [[캄보디아 공국]]발 인구를 이용하여 부정선거를 자행, 총리에 당선된 것으로 보인다. ==국민회의== {{틀:역대 뤼베크 왕국 국민회의장}} • [[뤼베크 왕국]]의 의회인 국민회의는 원내 모든 정당들에 대해 총선을 거쳐 득표수에 비례하여 각 정당에 의석을 배분하는 '''비례대표제''' 형태의 의회이다.<br> • 의회 내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한 정당이 '''원내 제1당'''이 되며, 원내 제1당의 당수가 '''국민회의장'''이 되어 총리와 함께 부방장의 직책을 부여받게 된다.<br><br> '''볼드체''' : 원내 제1당 ===제1대 내각=== {{인용문|'''2024.04.08 ~ 2024.05.07'''}} [[뤼베크 왕국]] 역사상 '''내각 체제가 가장 많이 변경된 내각'''이다.<br> 하기<small>下記</small>된 4개의 내각 기간 동안 총리는 사회주의통일당의 [[광개수]]로 동일했다. ====제1대 제1내각==== {{인용문|'''2024.04.08 ~ 2024.04.12'''<br> 총리 : '''[[광개수]]'''<br> 원내 총 의석 : '''100석'''<br> • '''사회주의통일당 : 56석'''<br> • 군주당 : 35석<br> • [[무소속]] : 9석}} 제1대 총선 전 창당된 좌파 4개 정당(사회주의통일당, 지역방위노동자연맹, 소비에트 공산당, 뤼베크 노동당)이 연합하여 구성한 '''사회주의통일당'''이 과반수인 56석의 의석을 차지하며 원내 제1당이 되었다.<br> 그러나 4월 11일, 사회주의통일당 내 갈등으로 초대 총리 [[광개수]]의 뤼베크 지역방위노동자연맹이 사회주의통일당에서 탈퇴하게 되었다. 지역방위노동자연맹은 제1대 총선에서 총 5표를 득표하여 35석의 의석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되면 원내 제1당이 [[광개수]]의 지역방위노동자연맹과 [[에리히]]의 군주당으로 2개가 되어 버리는 모순이 발생하게 된다.<br> '''4.11 내각모순사건'''으로 명명된 이 사건으로 결국 내각 구성을 위한 재총선이 실시되었고, 이 선거로 제1대 제2내각이 구성되었다. ====제1대 제2내각==== {{인용문|'''"최종내각"'''<br> '''2024.04.12 ~ 2024.04.17'''<br> 총리 : '''[[광개수]]'''<br> 원내 총 의석 : '''100석'''<br> • '''군주당 : 49석'''<br> • 지역방위노동자연맹 : 21석<br> • 사회주의통일당 : 21석<br> • [[무소속]] : 9석}} 4.11 내각모순사건 이후 구성된 내각이다. 그러나 4월 15일, 행정부 주도로 치러진 2차례의 국민투표를 통해 국민회의의 원내 총 의석 수를 '''200석'''으로 확장하는 것이 확정되면서 4월 16일 또다시 재총선을 진행, 4월 17일부터 총 의석 수가 200석이 된 제1대 제3내각이 구성되었다. ====제1대 제3내각==== {{인용문|'''"확장내각"'''<br> '''2024.04.17 ~ 2024.04.27'''<br> 총리 : '''[[광개수]]'''<br> 원내 총 의석 : '''200석'''<br> • '''군주당 : 76석'''<br> • 사회주의통일당 : 53석<br> • 지역방위노동자연맹 : 28석<br> • 자유민주당 : 17석<br> • 제국당 : 12석<br> • 다인민재당 : 5석<br> • [[무소속]] : 9석}} 원내 의석 확장 이후 구성된 내각으로, 제1대 제2내각 기간 중 새로 창당된 여러 정당들도 참여하였다.<br> 그러나 각각 12석, 5석의 의석을 확보한 제국당과 다인민재당의 당수들이 갑작스럽게 방을 나가면서 이 정당들이 차지한 의석 17석이 무효화되는 사건(4.24 17석 사건)이 발생하며 또다시 재총선을 실시, 제1대 제4내각이 구성되었다. ====제1대 제4내각==== {{인용문|'''"사개<small>些改</small>내각"'''<br> '''2024.04.27 ~ 2024.05.07'''<br> 총리 : '''[[광개수]]'''<br> 원내 총 의석 : '''200석'''<br> • '''군주당 : 80석'''<br> • 사회주의통일당 : 59석<br> • 지역방위노동자연맹 : 33석<br> • 자유민주당 : 19석<br> • [[무소속]] : 9석}} 4.24 17석 사건 이후 재총선을 통해 구성된 내각이다.<br> 내각의 명칭인 "사개내각"은 '''조금 사些''', '''고칠 개改'''를 사용하여 "조금 고쳐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제2대 내각=== {{인용문|'''2024.05.07 ~ 2024.05.16'''<br> 총리 : '''[[코코넛]]'''<br> 원내 총 의석 : '''300석'''<br> • '''포도당 : 129석'''<br> • 군주연합당<ref>[[에리히]]의 군주당이 우파 정당 몇개를 흡수, 합당하여 수립된 정당이다. 사실상 군주당과 동일한 정당이다.</ref> : 75석<br> • 사회주의통일당 : 56석<br> • 지역방위노동자연맹 : 20석<br> •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20석}} 2024년 5월 7일부로 혼란스러웠던 제1대 내각이 종료되고 제2대 총선을 실시하여 구성된 내각이다.<br> 제1대 제3내각 이후 또다시 원내 총 의석을 100석 확장하여 300석으로 구성되었다.<br> 신생 정당인 포도당이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강세를 유지해 온 [[캐탈린]]과 [[훈련교관]]의 사회주의통일당과 [[에리히]]의 군주연합당 등을 제치고 많은 표를 득표하여 순식간에 원내 제1당과 총리직을 독차지하자, 이에 대한 의문을 품은 국왕 [[제이]]를 주도로 한 행정정부 측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나 확실한 물증이 잡히지 않아 수포로 돌아갔다.<br> 결국 2024년 5월 16일, 국왕 [[제이]]의 예상대로 총리이자 국민회의장이 된 포도당의 '''[[코코넛]]'''이 [[뤼베크 왕국]] 역사상 최악의 테러로 기록된 '''[[5.16 테러]]'''를 일으키며 [[뤼베크 왕국]]에 궤멸적인 피해를 입혔다.<br> 이후 조사 결과 [[코코넛]]은 [[반인류]] 가상국가 [[캄보디아 공국]] 소속의 인물이었음이 드러났다. 참고로 해당 국가는 몇달 후 [[뤼베크 왕국]]과 [[인류제국군]]의 공격으로 멸망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뤼베크-캄보디아 전쟁]] 문서 참조. ===5.16 비상계엄 체제=== {{인용문|'''2024.05.16 ~ 2024.05.22'''<br> • 국가임시통수권자 : '''[[제이]]'''<br> • 원내 총 의석 : '''0석'''<ref>내각 긴급 해산</ref>}} 5.16 테러 직후 국왕 [[제이]]가 '''비상계엄령'''을 선포, 내각을 긴급 해산시키고 '''국가임시통수권자'''의 지위로 부방장을 모두 해제, 단독 방장이 되어 [[뤼베크 왕국]]의 복구를 이끌었다.<br> 이후 테러로 인해 급감한 활동률 복구와 국가 활성화를 위해 [[모의전]]이 개최되었다. ===뤼베크 왕립 모의전 체제=== {{인용문|'''2024.05.22 ~ 2024.06.10'''<br> • 최고운영자 : '''[[제이]]'''<br> • 부운영자 : '''[[권지용]]'''}} [[5.16 테러]] 이후 급감한 활동률과 줄어든 인구, 쇠락해가는 국가를 복구하고 되살리기 위해 국왕 [[제이]]의 주도로 개최된 모의전이다.<br> 제2차 세계대전 시즌과 샌드박스 시즌으로 구성된 총 2개의 시즌이 진행되었으며, 부운영자는 당시 [[뤼베크 왕국]]에 입국하여 있던 모의전 운영 경력이 있는 몇 안되는 사람들 중 하나였던 [[권지용]]이 맡았다.<br> 이후 6월 10일, 국민투표를 통해 모의전 폐회가 결정되며 모의전 체제가 종료되었다. ===임시국왕통치체제=== {{인용문|'''2024.06.10 ~ 2024.06.19'''<br> • 국가임시통수권자 : '''[[제이]]'''<br> • 원내 총 의석 : '''0석'''<ref>내각 공백 기간</ref>}} 모의전 체제가 종료되고 제3대 내각이 구성되기 전까지의 정치 공백 기간으로, 해당 기간 동안 국왕 [[제이]]가 '''국가임시통수권자'''로 국가를 임시 통치했다. ===제3대 내각=== {{인용문|'''2024.06.19 ~ 2024.09.02'''<br> 총리 : '''[[에리히]]'''<br> 원내 총 의석 : '''300석'''<br> • '''사회주의통일당 : 107석'''<br> • 군주연합당 : 86석<br> • 제1제당 : 22석<br> • [[무소속]] : 85석}} 약 일주일간의 정치공백기 이후 수립된 내각으로, [[뤼베크 왕국]] 역사상 '''[[무소속]] 의석이 2번째로 많은 내각'''이었다. 이는 [[5.16 테러]] 이후 정당과 정치인들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커졌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평가되었다.<br> 내각 기간 중 사회주의통일당의 당수이자 제3대 내각 상반기 국민회의장이었던 [[캐탈린]]이 정지당한 틈을 타 사회주의통일당 당원인 [[훈련교관]]이 국민회의장직을 차지하겠다고 선언하며 국민회의장이 교체되었다.<br> 내각 수립 며칠 후인 2024년 6월 19일, [[스페인 제국(카카오톡)|스페인 제국]]의 황제이자 뤼베크 왕국의 제3대 총리였던 '''[[에리히]]'''의 지원 하에 국왕 [[제이]]가 뤼베크 공국을 '''[[뤼베크 왕국]]'''으로 승격시킴을 선언하며 국왕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뤼베크 왕국 선포]] 문서 참조.<br> 그러나 이후 국왕 [[제이]]가 현생 등 여러 문제로 장기간의 잠수를 타게 되면서 얼떨결에 제3대 내각은 무려 '''2개월 반''' 동안 지속되었다. ===임시 국왕직속통치체제=== {{인용문|'''2024.09.02 ~ 2024.09.10'''<br> • 국가임시통수권자 : '''[[제이]]'''<br> • 원내 총 의석 : '''0석'''<ref>내각 공백 기간</ref>}} 긴 잠수상태에서 복귀한 국왕 [[제이]]가 무려 '''2개월 반'''동안 이어진 제3대 내각을 해산하고 제4대 내각을 구성하는 총선 전 공백기 동안 '''국가임시통수권자'''로서 [[뤼베크 왕국]]을 약 일주일간 통치한 기간이다. ===제4대 내각=== {{인용문|'''2024.09.10 ~ 2024.11.23'''<br> 총리 : '''[[에리히]]'''<br> 원내 총 의석 : '''300석'''<br> • '''군주연합당 : 96석'''<br> • 사회민주당 : 82석<br> • 뤼베크 중앙당 : 82석<br> • [[무소속]] : 40석}} 국왕 [[제이]]의 잠수기간 동안 사회주의통일당 등 많은 정당이 해체되면서 정치의 판도가 많이 바뀌었다.<br> 이후 [[제이]]의 현생이 바빠짐에 더해 [[제이]]가 [[인류제국군]]에 입대하고, [[컨트리볼계]]와의 전쟁에 참전하는 등 [[뤼베크 왕국]]에 신경쓸 여력이 줄어들자 이 내각 또한 [[제이]]가 가접하는 시기인 2024년 11월 23일까지 약 '''2개월 반'''이라는 긴 기간동안 이어졌다. ===국왕 단독 통치체제=== {{인용문|'''2024.11.23 ~ 2025.5.12'''<br> • 국가총괄통수권자 : '''[[제이]]'''<br> • 원내 총 의석 : '''0석'''<ref>국민회의 기능 정지</ref>}} [[제이]]가 현생으로 인해 반가접한 이후 총리와 국민회의 시스템이 사실상 사라지고 [[제이]]가 [[뤼베크 왕국]]을 단독으로 유지했다.<br> 당시 [[뤼베크 왕국]]에 있던 유이한 부방장은 [[인류제국군]] 제1군단 [[다크 엔젤|"다크 엔젤"]] 제2중대장이자 [[제이]]의 상관인 '''[[아즈라엘]]'''과 [[뤼베크 왕국]]의 왕위 계승 서열 1위이자 페마른 대공인 '''[[게오르크|게오르크 아우구스트 대공]]'''이었다. 이후 2025년 5월 2일 국가 재개장 후 5월 12일 제5대 내각이 수립되며 체제가 종료되었다. ===제5대 내각=== ====제5대 제1내각==== {{인용문|'''2025.05.12 ~ 2025.05.30'''<br> 총리 : '''[[연누]]'''<br> 원내 총 의석 : '''300석'''<br> • '''군주연합당 : 86석'''<br> • 광명천도당 : 65석<br> • 뤼베크 자유당 : 22석<br> • [[무소속]] : 127석}} 2025년 5월 2일 [[뤼베크 왕국]] 재개장 이후 동년 5월 12일 시작된 내각 체제이다.<br> '''원외정당'''인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소속 총리와 '''사상 최다 무소속 의석'''이라는 특이한 기록을 2개나 보유한 내각이기도 하다. 상기된 '''사상 최다 무소속 의석'''이라는 기록 때문에, 제9대 국민회의장 [[에리히]] 등을 중심으로 [[뤼베크 왕국/헌법|중앙헌법]] 제12조 5항에 명시된 무소속 총선 참여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후 이 주장이 받아들여지며 2025년 5월 30일 무소속 의석이 임시로 폐지되고, 각 정당에 분배되며 제5대 제2내각이 수립된다. ====제5대 제2내각==== {{인용문|'''2025.05.30 ~ 현재'''<br> 총리 : '''[[연누]]'''<br> 원내 총 의석 : '''300석'''<br> • '''군주연합당 : 149석'''<br> • 광명천도당 : 112석<br> • 뤼베크 자유당 : 39석}} 제5대 제1내각에서 [[무소속]] 의석이 최다 의석을 차지하자, 기존 비례대표제 중심의 [[무소속]] 의석을 임시로 폐지하고 의석을 재배분하여 수립된 내각이다.<br>이후 [[뤼베크-김아론제국 전쟁]] 등으로 인해 내각이 장기 유지되고 있다. ==둘러보기== {{틀:뤼베크 왕국 관련 문서}} ==각주==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Small (원본 보기) 틀:각주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뤼베크 왕국 공식 문서 (원본 보기) 틀:뤼베크 왕국 관련 문서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색 (원본 보기) 틀:역대 뤼베크 왕국 국민회의장 (원본 보기) 틀:역대 뤼베크 왕국 총리 (원본 보기) 틀:인용문 (원본 보기) 틀:일반 기타 (원본 보기) 모듈:Check for unknown parameters (원본 보기) 뤼베크 왕국/정치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