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언어}} ||||<table align=right><:> {{{+3 '''ᠮᠤᠩᠭᠣᠯ ᠬᠡᠯᠡ / Монгол хэл'''}}} || ||||<:> {{{+1 '''몽골어'''}}} || ||<:> 주요사용국 ||<#ffffff> '''[[몽골]], [[중국]]''' || ||<:> 원어민 ||<#ffffff> '''약 560만 명''' || ||<:> 어족 ||<#ffffff> '''몽골어족[br]오이라트-할하[br]할하-부랴트[br]몽골어'''|| ||<:> 문자 ||<#ffffff> [[키릴 문자]], [[몽골 문자]] || ||||<:> '''언어 코드''' || ||<:> ISO-639-1 ||<#ffffff> '''MN''' || ||<:> ISO-639-2 ||<#ffffff> '''MON''' || ||<:> ISO-639-3 ||<#ffffff> '''MON, KHK, MVF''' || ||<-2> '''주요 사용 지역''' || ||<-2> 아시아(몽골) || {{목차}} ==개요== 몽골어는 [[몽골]]과 [[중국]]의 [[내몽골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인구의 대부분이 공용어로 [[중국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소수민족인 몽골족의 모어는 몽골어이기 때문에 대부분 공공장소에서 병기하고 있다. 이외에도 [[다우르족]], [[동향족]], [[보안족]], [[투족]] 등이 몽골계 언어를 쓴다.]에서 쓰이는 언어이다. 화자 수는 500만 명 정도로, [[몽골어족]]에 속한다.[* [[키르기스스탄]]은 [[튀르크]]계 국가로 몽골어 화자는 없으며 [[키르기즈어]]는 [[튀르크어족]] 계통의 언어로 [[카자흐어]]와 유사하다.] 간단히 몽어(蒙語)라고도 한다. 몽고어(蒙古語)라고도 부른다. 독립국 몽골에서는 [[할하]] 부족의 방언이었던 [[https://en.wikipedia.org/wiki/Khalkha_Mongolian|할하 몽골어]]가,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서는 [[차하르]] 부족의 방언이었던 [[https://en.wikipedia.org/wiki/Chakhar_Mongolian|차하르 몽골어]]가 표준방언으로 제정되어 있다. 할하 몽골어와 차하르 몽골어는 [[방언연속체]]에 속한 언어라서 [[부랴트어]]와는 어느 정도 대화가 통하는 편이다. ==각주== {{각주}} [[분류:개별 언어]]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색 (원본 보기) 틀:언어 (원본 보기) 틀:일반 기타 (원본 보기) 모듈:Check for unknown parameters (원본 보기) 몽골어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