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개요 == [[서풍: 라이히 세계관]] 의 국가 목록 == '''유럽''' == ===1.대독일국=== * '''집권이념:국가사회주의([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A%B0%80%EC%82%AC%ED%9A%8C%EC%A3%BC%EC%9D%98_%EB%8F%85%EC%9D%BC_%EB%85%B8%EB%8F%99%EC%9E%90%EB%8B%B9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신질서 의 주도자''' * '''국가 정신''' {{{ -아리아인 우얼주의 맹신 -식민지 블록 경제 -최초 이자 마지막 총통 }}} 지도자는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8F%8C%ED%94%84_%ED%9E%88%ED%8B%80%EB%9F%AC 아돌프 히틀러]. 제 2차 세계대전 에서 승리 하였지만 식민지 블록 경제,막대한 군사비용,SS와 국방군 의 대립 등 으로 경제난 이 찾아 오고 있다. 그 상황 에서 미국 과 독일 의 냉전 구도 가 점차 갖추어져 가니 지출 은 점차 늘고 부채는 느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히틀러 가 치매에 합병증 까지 걸려 병세 가 악화되자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C%9D%B8%EB%A6%AC%ED%9E%88_%ED%9E%98%EB%9F%AC 하인리히 힘러],[https://ko.wikipedia.org/wiki/%ED%97%A4%EB%A5%B4%EB%A7%8C_%EA%B4%B4%EB%A7%81 헤르만 괴링],[https://ko.wikipedia.org/wiki/%EC%9A%94%EC%A0%9C%ED%94%84_%EA%B4%B4%EB%B2%A8%EC%8A%A4 파울 요제프 괴벨스],[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B%A5%B4%ED%8B%B4_%EB%B3%B4%EC%96%B4%EB%A7%8C 마르틴 보어만] 이 총통직을 두고 경쟁중 이다. 1955년, 독일에서 제 2차 세계대전 승전 10주년 행사 당시 히틀러 와 여러 고위 나치 관료들이 모인 [https://namu.wiki/w/%EC%84%B8%EA%B3%84%EC%88%98%EB%8F%84%20%EA%B2%8C%EB%A5%B4%EB%A7%88%EB%8B%88%EC%95%84/%EA%B1%B4%EC%B6%95%EB%AC%BC?from=%EA%B2%8C%EB%A5%B4%EB%A7%88%EB%8B%88%EC%95%84%28%EB%82%98%EC%B9%98%20%EB%8F%85%EC%9D%BC%29%2F%EA%B1%B4%EC%B6%95%EB%AC%BC#s-2 국민대회당]이 누군가 의 테러로 폭파 하고 히틀러를 포함해서 , 마르틴 보어만 , [https://en.wikipedia.org/wiki/Joachim_von_Ribbentrop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등 나치고위 관직 및 히틀러 내각 대부분이 날라가고 국가는 혼란 상태에 빠진다. 괴링은 자신의 비서 가 새로지어진 게르마니아 의 도로 떄문에 길을 잃어 대회당 에 도착하지 못해 살았고 괴벨스 는 무너진 대회당 잔해 속에서 기적적으로 생존했다. 힘러 는 왜인지 대회당 에 가지 않고 자신의 직속부대,[https://ko.wikipedia.org/wiki/%EB%9D%BC%EC%9D%B8%ED%95%98%EB%A5%B4%ED%8A%B8_%ED%95%98%EC%9D%B4%EB%93%9C%EB%A6%AC%ED%9E%88 하이드리히] 와 함께 게르마니아 를 나가고 그후 친위대 소속의 군용 차량이 국민대회당 내부에 진입 하는것을 보았다는 목격담 만 있었다. 그후 생존한 [https://en.wikipedia.org/wiki/Lutz_Graf_Schwerin_von_Krosigk 루츠 슈베린 폰 크로지크] 가 '''라이히스탁 비상 행정부''' 를 형성 하고 차기 총통을 결정 하기 시작한다. 라이히스탁 비상 행정부 에선 다음과 같은 후보를 내세우고 회의에 들어가게 된다. * 초대 총통이 신뢰 하고 믿어왔던 [https://ko.wikipedia.org/wiki/%EC%95%8C%EB%B2%A0%EB%A5%B4%ED%8A%B8_%EC%8A%88%ED%8E%98%EC%96%B4 알베르트 슈페어]. * SS 최고 책임자 인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C%9D%B8%EB%A6%AC%ED%9E%88_%ED%9E%98%EB%9F%AC 하인리히 힘러]. * 게슈타포 를 창설하고 초대 총통 의 신임을 받은 [https://ko.wikipedia.org/wiki/%ED%97%A4%EB%A5%B4%EB%A7%8C_%EA%B4%B4%EB%A7%81 헤르만 괴링]. * 선동 을 통해 국가 를 유지 시킨 [https://ko.wikipedia.org/wiki/%EC%9A%94%EC%A0%9C%ED%94%84_%EA%B4%B4%EB%B2%A8%EC%8A%A4 파울 요제프 괴벨스]. 그러나 어느 쪽을 선택 하든 반발 이 일어나고 결국 독일은 내전 상태에 빠지게 된다. ====1.1.슈츠슈타펠 국가 지도국==== * '''집권이념:밀교적국가사회주의(국가사회주의,무장친위대-힘러파)''' ====1.2.전독일 비상사태 위원회==== * '''집권이념:초국가주의(국가사회주의,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괴벨스파)''' ====1.3.독일 군사과도정부 ==== * '''집권이념:군정 국가사회주의(국가사회주의,국가사회주의,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괴링파)''' ====1.4.독일국 비상정부==== * '''집권이념:임시정부(전제주의,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히틀러파)''' 지도자는 [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B%A5%BC_%EB%90%98%EB%8B%88%EC%B8%A0 카를 되니츠] 또는 [https://en.wikipedia.org/wiki/Baldur_von_Schirach 발두어 폰 시라흐]. 라이히스탁 비상 행정부 를 이어 받은 국가 로 게르마니아 와 그 일대를 가지고 시작 한다. ====1.5.독립군==== =====1.5.1.폴란드 국내군===== * '''집권이념:과도정부(권위민주주의,국내군) =====1.5.2,베네룩스 해방 연합===== * '''집권이념:유럽사회주의(사회주의,레지스탕스 연합)''' =====1.5.3.체코 저항군===== * ''''집권이념;과도정부(권위민주주의) ===2.연합왕국=== * '''집권이념:인종국민주의(국가사회주의,판무관부)''' 독일이 영국을 멸망시킨후 세운 괴뢰국. 원래 브리튼 국가판무관부 가 들어설 예정 이었으나 괴링의 제안으로 영국인들 이 준명예 아리아인 자격을 따서 괴뢰국 으로 통치 되었다. 그후 친독일 성향의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B%93%9C%EC%9B%8C%EB%93%9C_8%EC%84%B8 에드워드 8세] 를 다시 앉혔다. 명목상으론 독립국 이나 사실산 독일의 군정관들 이 나라를 다스리고 있으며 차라리 독일 에 충성적인 에드워드 8세 에게 모든 권한을 넘겨 주자는 주장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2.1.스코틀랜드 조국 해방 위원회==== * '''집권이념:군사정부(전제주의,조국 해방 위원회)''' 독일 내전 당시 독립 전쟁을 벌이는 국가 로 지도자는 [https://en.wikipedia.org/wiki/Douglas_Wimberley 더글러스 윔벌리]. 원래 더글러스 윔벌리 는 스코틀랜드 의 독립 을 약속한 독일 의 약속을 승인하여 바다사자 작전 당시 항구 와 정부 청사 등을 점령 하고 독일군 이 상륙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으나 전쟁이후 그들의 요구 는 묵살 되었고 연합왕국 을 오히려 부활시켜 버리자 이에 분노해 스코틀랜드 조국 해방 위원회(SNLC) 를 결성해 저항중 이다. 독일 내전 이 발생하면 SNLC 소속 군대 가 글래스고 를 점령하고 점차 세력을 확장시켜 스코틀랜드 전체 를 해방시킨다. 스코틀랜드 가 무력으로 독립한 이후 더글러스 윔벌리 가 독재 정치를 펼치며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대학교 시위대 에게 총기 사용을 하는등 막장 으로 굴러가자 [https://en.wikipedia.org/wiki/John_MacCormick 존 맥코믹] 이 윔벌리 를 독일에 나라를 판 매국노 라며 몰아내고 스코틀란드 공화국 을 세울수도 있다. ====2.2.영국 구국 해방 전선==== * '''집권이념:협동조합주의(파시즘,구국 해방 전선)''' 지도자 이자 구국 해방전선을 이끄는 [https://en.wikipedia.org/wiki/Oswald_Mosley 오즈월드 모슬리]. 영국 이 독일에게 항복 한후 오스월드 모슬리 는 런던을 빠져나와 웨일즈 인근의 한 농장 에서 '영국 흑색군단' 을 창설하고 지역민들 에게 우호적으로 접근 하고 "독일을 브리튼섬 에서 몰아내고 신영국 을 건선 하자" 라는 구호 아래 많은 사람들은 선동 하며 지하정부 처럼 활동 했다. 이렇게 큰 군사조직을 만들수 있는건 전쟁후 SAS 와 코만도 같은 정예군들이 모슬리 에게 합류 하면서 이다. 코만도 와 SAS 영국을 해방시키는데 모슬리 를 이영하고 토사구팽 할 생각 인지라 영국 해방 이후 이들은 통제 하고 숙청 하는 이벤트 가 있다. ===3.동방 국가판무관부=== * '''집권이념:친위대 정부(국가사회주의,판무관부)''' 지도자는 [https://namu.wiki/w/%ED%94%84%EB%A6%AC%EB%93%9C%EB%A6%AC%ED%9E%88%20%EC%98%88%EC%BC%88%EB%A5%B8 프리드리히 예켈른]. 1948년, 벨라루스 에서 발생한 파르티잔 반란을 성공적으로 진압한 공로 로 후대 국가판무관장 으로 임명 되었다. ====3.1.벨라루스 중앙 라다==== * '''집권이념:인종국민주의(인종국민주의,중앙위원회)''' 지도자는 [https://en.wikipedia.org/wiki/Radas%C5%82a%C5%AD_Astro%C5%ADski 라다스와카즈카지미라비치 아스트로에스키]. 벨라루스는 중앙라다 까지 결성되고 게르마니아 에 대한 충성심을 보여주기 위해 여러 소련 인사들을 숙청 하기도 했으나 자치권도 간신히 유지 되었다. 독일 내전 이후 국가판무관부 에서 식민지인들 에 대해 학살을 자행하고 식량들을 빼았기 시작하자 학살을 진행하던 SS친위대 를 파르티잔 과 연합해 몰아내고 독립을 선포 했다. 독립 선포 이후 파르티잔을 이끌던 [https://en.wikipedia.org/wiki/Panteleimon_Ponomarenko 판텔리몬 포노마렌코] 이 쿠데타를 일으켜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을 수립할수 있다. ====3.2.라테비안 국민 국==== * '''집권이념:친위대 정부(국가사회주의,라테비언 해방 국민 의원회)''' 라트비아인들 로 구성된 무장친위대 세력으로 지도자는 [https://en.wikipedia.org/wiki/Vilis_Janums 빌리스 자넘스]. 라트비아의 SS친위대들은 주로 반공주의 와 소련에 대한 반감 으로 입대한 경향이 강했다. 처음에는 독일이 발트인들 에게 명예 아리아인 칭호를 붙여주고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라이히 의 경제 상황이 악화되어 가고 독일 내전 당시 국가판무관부 에서는 라트비아인들 을 탄압 하고 식량도 배급제 로 나눠줄 만큼 돌아가자 국가판무관부 를 배신하고 독립을 선언 한다. SS친위대로 구성된 만큼 힘러 가 접촉을 선언 했지만 라트비안 외인부대 는 냉담하게 거절 했다. 힘러 의 잔혹하고 극단적인 아리아인 우세주의 는 그들에게 좇게 보이진 않았다. 독일 내전 이후 독일 측 에서 재수복에 들어가는데 평화적으로 포섭할땐 말도 안되는 요구를 할것이다. SS세력이 이겼을 경우에는 힘러의 요구 를 거절 했으므로 무조건 선전포고 한다. ====3.3.에스토니아 소비에트 공화국==== 지도자는 [https://en.wikipedia.org/wiki/Dmitry_Medvedev_(partisan)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러시아의 모대통령 과 이름이 똑같다.-- ===4.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 '''집권이념:군정 국가사회주의(국가사회주의,판무관부)''' ====4.1.우크라이나 국민 연합==== * '''집권이념:군사정부(전제주의,우크라이나 민족 해방군)''' 지도자는 [https://en.wikipedia.org/wiki/Andriy_Atanasovych_Melnyk 안드리 멜니크]. ====4.2.자유 돈 코자크==== ====4.3.우크라이나 적군 연합==== ===5.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 * '''집권이념:인종국민주의(파시즘,국민연합)''' ====5.2.노르만니 SS 사령부==== * '''집권이념:친위대 정부(국가사회주의,무장친위대)''' ===6.덴마크 보호령=== * '''집권이념:인종국민주의(파시즘,독일계 내각)''' 독일의 보호령 으로 독일 내전 때 독립 한다. ===7.프랑스국=== * '''집권이념:파시즘(프랑스 국민당)''' * 국가정신 {{{-무능한 정부 -독일에 종속된 경제 -레지스탕스 의 저항 }}} 지도자는 [https://ko.wikipedia.org/wiki/%EB%A7%89%EC%8B%AC_%EB%B2%A0%EC%9D%B4%EA%B0%95 막심 베이강]. ===8.이탈리아 왕국=== * '''집권이념:이탈리아 파시즘(파시즘,[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A%B0%80_%ED%8C%8C%EC%8B%9C%EC%8A%A4%ED%8A%B8%EB%8B%B9 국가 파시스트당])''' ===9.헝가리 왕국=== * '''집권이념:(전제주의,왕국 )''' * '''국가정신''' {{{-빈 협정 의 위협 -비어진 왕좌 -독일의 영향이 큰 경제 }}} ===10.모스크바 국가판무관부=== * '''군정 국가사회주의(국가사회주의,판무관부)''' 지도자는 [https://namu.wiki/w/%EC%98%A4%EB%94%9C%EB%A1%9C%20%EA%B8%80%EB%A1%9C%EB%B3%B4%EC%B8%A0%EB%8B%89 오딜로 글로보츠닉]. ====10.1.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 '''집권이념:군사정부(전제주의,자유 러시아 군단)''' ====10.2.모스크바 공화국==== * '''집권이념:군사정부(전제주의,모스크바 평의회)''' 지도자는 [https://namu.wiki/w/%EB%B8%8C%EB%A1%9C%EB%8B%88%EC%8A%AC%EB%9D%BC%ED%94%84%20%EC%B9%B4%EB%AF%BC%EC%8A%A4%ED%82%A4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10.3.적색 군단==== * '''집권이념:군사사회주의(권위사회주의,소베이트 인민 해방군)''' 지도자는 [https://generals.dk/general/Bunkov/Stepan_Mikhailovich/Soviet_Union.html 스테판 분코프]. ====10.4.펜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집권이념:스탈린주의(권위사회주의,펜자 공산당)''' 지도자는 [https://ko.wikipedia.org/wiki/%EA%B2%8C%EC%98%A4%EB%A5%B4%EA%B8%B0_%EB%A7%90%EB%A0%8C%EC%BD%94%ED%94%84 게오르기 말렌코프]. ====10.5.볼가 독일국==== * '''집권이념:민주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볼가 인민당)''' ====10.6.아돌프부르크 해군 정부==== * '''집권이념:군사정부(잔제주의,크릭스마리네)''' 지도자는 [https://namu.wiki/w/%EB%B9%8C%ED%97%AC%EB%A6%84%20%EB%A7%88%EB%A5%B4%EC%83%AC 빌헬름 마르샬]. ====10.7.브랸스크 국민 국==== * '''집권이념:초국가주의(국수주의,척살대)'' 지도자는 [https://en.wikipedia.org/wiki/Andrey_Dikiy 안드레이 디키]. ====10.8.스몰랜스크 연맹==== * '''집권이념:군사정부(전제주의)''' 지도자는 [https://en.wikipedia.org/wiki/Ivan_Serov 이반 셰로프]. ===11.타우리다 총괄판무관부=== * '''군정 국가사회주의(국가사회주의,판무관부)''' ===12.핀란드 공화국=== ===13.캅카스 국가판무관부=== * '''군정 국가사회주의(국가사회주의,판무관부)''' =='''아메리카'''== ===1.미합중국=== * '''집권이념:자유보수주의(보수민주주의,공화당)''' 지도자는 [https://en.wikipedia.org/wiki/Thomas_E._Dewey 토머스 E. 듀이]. 서풍: 라이히 세계관/국가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