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개요== 孫子 / Grandchildren[* 남자일 경우 grandson, 여자일 경우 granddaughter] 본인 [[자녀]]의 자녀이다. 남자아이는 손자, 여자아이는 손녀로 부르지만 오늘날에는 여자도 남자처럼 손자로 칭하고 있다. 또 딸의 자식은 외손자이다. 물론 이 경우도 그냥 손자라고 부를 수도 있다.[* 보통 60대가 되면 대부분 손자를 보게 된다.] 그러므로 할머니, 할아버지한테는 우리가 손자이고 우리 어머니가 [[딸]] 혹은 [[며느리]]이며, 우리 아버지는 [[아들]] 혹은 [[사위]]이다. 세상에서 제일 귀여운 생물이 자식인 줄 알았던 생각을 수정하게 만드는 존재. 얼음장 같은 사람의 마음도 풀어지게 하는 지상 최고의 귀여운 생물체다.([[할아버지]], [[할머니]] 또는 증조부모 한정)[* 하지만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아이를 낳아만 놓고 자기 부모에게 맡겨 놓고 자신들은 일하러 다니는 젊은 부모가 늘면서, [[육아]] [[스트레스]]를 고스란히 떠안게 되는 경우가 많아 꼭 그렇지만도 않은 듯하다. 이런 조부모 입장에서는 어쩌다 몇 달이나 몇 주에 한번 [[할아버지]], [[할머니]]를 보러 와서 재롱을 피울 때나 귀여운 거지, 안 그래도 나이 들어서 체력도 떨어지는데 매일같이 와서 온갖 말썽을 피우고 다니면 있는 정도 다 떨어진다. 최근에는 미운 7살, 손주가 웬수라는 할아버지, 할머니들도 많아서 부모, 자식 간 고부 간 갈등의 큰 원인이기도 하다. 하지만 순하고 고분고분하고 잘 웃고 낯 안 가리고 음식 안 가리는 손자라면 그만큼 이쁘고 사랑스러운게 없기도 하다.] 손자가 결혼하는 걸 볼 수 있다면 그만한 행복이 없다고도 한다. 옛날에는 결혼을 일찍 하다 보니 빠르면 40대에도 손자를 볼 수 있어서 손자가 결혼하는 걸 볼 수 있는 경우가 흔했지만,[* 이론상 인간 기준으로는 30살부터 볼 수 있다. 자신도 10대 중반에 자녀를 봤고 그 자식이 한 10대 중반에 애를 낳는다면 그렇다. 그러나 10대 중반은 거의 없기에 10대 후반쯤부터 본다 쳐도 30대 중후반이긴 하다.] 최근에는 손자를 보려면 빨라야 50대, 보통 60대가 되고 늦으면 70대, 그 손자가 결혼하려면 80~100살 이상이 되어야 하다 보니 손자가 결혼하는 걸 직접 보는 경우는 상당히 드물다.[* 장손 혹은 장손이 아니더라도 손자 중 가장 맏이의 경우에는 그래도 간간이 있는 편이다.] 하지만 대대로 속도위반을 하거나 장수하면 증손까지 보기도 하며 '''매우 드물게 현손까지 보기도 한다!'''[* 하지만 보통 현손과의 나이차이는 '''한 세기'''는 기본적으로 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현손을 보려면 일반적으로는 110세 이상 장수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4대 모두(고조부모-증조부모-조부모-부모) 대대로 1회 이상의 [[속도위반]]까지 겹쳐가며 일찍 자녀를 낳아야 한다.][* 심지어 5대 모두 속도위반을 해서 '''내손'''이나 '''곤손'''까지 본 경우도 있었다.] 손주라고 쓰이기도 한다. 이것은 한자 표현인 자(子)가 방언으로써 보통 '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은데 손자(孫子)와 손녀(孫女)의 구별에서 아들을 의미하는 경향이 강한 손자대신 손주라는 사투리를 표준어로 인정한 듯하다. 이에 따라 2011년 8월 31일 표준어 규정 개정에 의해 '손자/손녀의 총칭'이라는 뜻으로 표준어로 인정되었다. 손자의 자식은 증손, 손자의 손자, 증손의 자식은 현손(玄孫)이 된다.[* 물론 4대 위의 직계조상을 고조라는 말에 대응한 고손 혹은 고손자라는 말도 쓰인다. 특히나 손자의 손자를 일컫는 말인 현손이 사실 익숙하지 않은 단어라 고손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직계조상에 대한 높임으로써 [[高|'''높을''' 高]] 자를 붙인다는 점을 볼 때 고손이라는 단어가 적절하지 않아 이렇게 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증손까지는 혹 보고 죽을 수도 있지만 현손쯤 되면 대대로 매우 일찍 결혼한 케이스가 아닌 한, 100살이 넘어서 기네스북에 오를 정도 나이까지 살지 않으면 못 보고 죽는 게 일반적이다. 한마디로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손(孫) - 증손(曾孫) - 현손(玄孫) - 내손(來孫) - 곤손(昆孫) - 잉손(仍孫) - 운손(雲孫)[* 구름같이 멀어진 자손이라는 뜻으로, 8대 이후의 손자도 모두 운손이라 한다.] 순이다. 한편 [[자식]], [[며느리]], [[사위]] 등은 미워해도 정작 그들이 낳은 손자는 끔찍하게 아끼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인물이 [[프란츠 2세]]로 비록 사위인 [[나폴레옹 1세]]와는 천하에 둘도 없을 원수지간이었지만, 정작 나폴레옹 1세의 아들이자 자신의 외손자인 [[나폴레옹 2세]]는[* [[나폴레옹 2세]]의 어머니이자 [[나폴레옹 1세]]의 두번째 황후가 프란츠 2세의 딸 [[마리 루이즈]]였다.] 무척 아끼고 사랑하였다. [[분류:가족]]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목차 (원본 보기) 손자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