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개요== [[이슬람]]의 종파 중 하나. 한국 이슬람 중앙회에서는 '순니'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무함마드]]의 모범(순나)을 따르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영어]]로는 수니 이슬람(Sunni Islam), 수니파(Sunnite)[* '~ite'는 종교나 사상의 추종자, 어느 지역 출신자나 원주민, 부족 소속원 등을 가리키는 영어 접미사. 우리말로는 단어에 따라 파(派), ~사람 등으로 번역할 수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라고 한다. '''전 세계 무슬림의 약 83%'''가 소속된 이슬람 종파다.[* [[시아파]]가 17% 남짓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이 양대 종파 외에 작은 이슬람 교파들이 존재한다.] 2021년 기준으로 전 세계 무슬림의 수를 통상 19억 명으로 생각하므로 수니파 무슬림의 수는 약 15억 명 가량으로 추산된다.[* [[https://worldpopulationreview.com/country-rankings/muslim-population-by-country|출처]]] 이는 신자 수로 세계 최대의 단일종파인 [[가톨릭]]에 맞먹는 신자 수다.[* 다만 수니파는 중앙집권적 단일교단조직인 가톨릭교회와 달리 개신교처럼 개교회주의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데다 내부 분파도 다양하여 단일 종교조직이라고 분류하지 않는다.] 대한민국의 이슬람 [[모스크]]들도 기본적으로 수니파다. == 특징 == 이슬람에는 두 가지 경전이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쿠란]]이며 두 번째로는 무함마드의 언행을 기록한 전승록인 [[하디스]](Ahadith)를 들 수 있다. 하디스가 뭔지 이름이라도 알아야 수니파와 다른 파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는데 첫 번째로 이 교파는 이슬람의 교리와 관련하여 하디스에 바탕을 둔 근거가 없다면 인정하지 않는 '''고증학적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7세기 이슬람의 대분열 때 시아파가 [[알리]]와 그의 후손들만을 진정한 [[칼리파]]로 추종하면서 발생하였다면 수니파는 공동체에 의해 선출된 칼리파라면 '''쿠라이시 부족[* 무함마드가 속한 부족.]에 속하는 한''' [[무함마드]]의 혈통이 아니라도 칼리파가 되어도 상관 없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이런 주장에 의해 논란의 대상이 된 칼리파 지위는 대체로 수니파가 독점했으나 [[몽골]]의 [[바그다드]] 침공 당시 칼리파가 살해당하고 한동안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칼리파 자리를 겸임해 오다가[* 오스만 투르크 제국의 11대 술탄 [[셀림 1세]]가 [[이집트]]를 침공, 1517년부터 칼리프를 겸하게 되었다. 세계사 교과서에는 '이로써 술탄-칼리프제 확립'이라고 써 놓았지만 무슨 제도가 만들어지거나 고쳐지고 한 것이 아니고 그저 술탄이 칼리프를 겸하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가톨릭 식으로 말하면, '오스만 황제'가 '이집트 교황' 자리를 찬탈해 황제+교황이 된 거다.] 1924년 [[튀르키예]] 공화국에 의해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 튀르키예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6대 개혁 원칙('여섯 개의 화살'이라고 하며 케말 사후 '케말리즘'이라는 이름으로 정리되었다) 가운데 하나가 [[세속주의]]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또 하나는 [[공화주의]]였는데 [[공화제]]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6백 년 이상 술탄을 배출해 온 오스만 가문을 정계뿐 아니라 종교계에서도 쫓아낼 필요가 있었다.] 현재 수니파는 [[시아파]]와 함께 [[이슬람]]의 양대 종파이며[* 사실 이 두 교파 외에도 여러 교파가 있지만 저 두 종파가 가장 세력이 크다.] 이성을 통한 개인의 추론과 유추를 강조하는 시아파와 달리 하디스의 근거를 바탕으로 확립한 체계로 하위파라고 볼 수 있는 4대 법학파 역시 한발파를 빼면 차이가 크지 않은 편이다. ==분포== ==학파== ==극단적인 단체== ==오해== [[분류:수니파]]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목차 (원본 보기) 수니파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