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FF6600; max-width:450px; width:100%; float:right; text-align:1.05em" ! colspan="3" style="background:#FF6600 ; color:#fff" | {{글씨 크기|14|순록}}<br>馴鹿 | Reindeer, Caribou |- | colspan="3"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순록 두마리.webp|9900px]]</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FF9934 ; color:#000; width:30%" | 학명 | '''''Rangifer tarandus'''''<br>([[Linnaeus]], 1758) |- ! colspan="3" style="background:#FF9A66 ; color:#000" | 분류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계 | [[동물계]]^^Animali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강 | [[포유강]]^^Mammali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목 | [[우제목]]^^Artiodactyl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과 | 사슴과^^Cervidae^^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속 | 순록속^^Rangifer^^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종 | '''순록^^R. tarandus^^''' |} {{목차}} ==개요== [[사슴과]]의 [[포유류]]. 최저 [[북아메리카]], [[유라시아]]보다 북쪽의 고위도 지방에 서식하며 추운 기후를 견딜 수 있도록 진화되었다. 무리 생활을 하며, 북쪽 지방 [[유목민]]들의 주요 방목 가축이다. 사슴 중에서 유일하게 인간에게 길들어져 가축으로 활용되기도 하는 종으로, 이 때문인지 馴(길들일 순) 자를 쓴다.[* 잘못 알려진 사실이다. 사슴 농장에서는 순록이 아닌 사슴을 키운다.] 수많은 아종이 있지만 보통 [[유라시아]] 순록과 산림 순록으로 나뉜다. 전자는 덩치가 좀 작고 암수 둘 다 뿔이 있으며(수컷이 좀 더 큰 뿔을 가졌다), 후자는 큰 덩치에 수컷만 뿔이 있다. ==특징== 주식은 [[지의류]]로, 발굽으로 얼어붙은 땅을 파내 이끼를 찾아 먹는다. [[루돌프]]처럼 순록의 코가 붉어지는 것은 혹한기의 툰트라에 적응하기 위해 독특하게 진화해온 것이니, 궁금하다고 굳이 만지지는 않는 것이 좋다. 여름이 되면 흡혈[[파리(곤충)|파리]]들이 순록의 코 부위에 알을 낳아[* 순록의 기관지가 기생 곤충의 알이 부화하기에 적당한 습도와 온도를 가지고 있다고.] 그 [[구더기]]들이 코는 물론이고 폐와 비강, 심지어는 기관지에까지 내려와 기생을 하기 때문에... 전문가들에 따르면 순록의 호흡기에서 최소 5종 이상의 [[기생충]]들이 살고 있다고 말한다. 계절에 따라 눈의 색깔이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북극에 사는 순록을 조사한 결과 눈의 색깔이 여름에는 금빛, 겨울에는 짙은 파란색을 띤다고 한다. 이런 현상의 이유는 안구 안쪽의 반사판[* 포유동물의 망막 뒤에 있는 작은 조직으로 망막과 시신경 사이에 빛을 반사해 야간에 더 잘 볼 수 있게 해준다. 야행성 동물들이 이런 능력을 갖추고 있다.]이 반사하는 빛의 파장이나 양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겨울에는 동공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압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반사판의 단백질 구조의 간격이 촘촘해지면서 눈 안으로 들어온 빛의 대부분이 망막 안의 시신경으로 산란, 시신경이 광자를 더 쉽게 붙잡게 되어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눈 밖으로 반사하는 결과로 이어져 겨울의 순록의 눈이 파랗게 바뀌고, 여름에는 반사판이 남는 빛을 모두 눈 밖으로 반사하기 때문에 여름의 순록의 눈이 노란 금빛으로 바뀐다고 한다. 다른 사슴류에 비해 코가 크고 귀가 짧으며, 목이 덜 올라간다. 얼핏 보면 [[소]]에 사슴뿔을 단 모습으로 보인다. ===[[천적]]=== 천적은 주로 [[시베리아호랑이]], [[유라시아스라소니]], [[캐나다스라소니]], [[늑대]], [[북극늑대]], [[북극곰]], [[불곰]][* [[유라시아불곰]], [[회색곰]] ], [[인간]]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울버린]]은 순록이 자주 다니는 길목을 기억해 두었다가 갑자기 덮치는 방식으로 사냥해서 끌고 가며 [[검독수리]]는 보통 사체나 새끼 순록, 쇠약해진 성체 순록을 잡아먹지만 성체 암컷 순록을 잡아먹은 적도 있다. ---- [[분류:순록속]]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순록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