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언어}} ||||<table align=right><:> {{{+3 '''العربية'''}}} || ||||<:> {{{+1 '''아랍어'''}}} || ||<:> 주요사용국 ||<#ffffff>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시리아]], [[요르단]]등[* 아프리카 이북 지역들도 이슬람권의 영향을 많이 받아 아랍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이집트]], [[수단]], [[튀니지]], [[리비아]], [[알제리]], [[모로코]], 등이 있다.]''' || ||<:> 원어민 ||<#ffffff> ''' 약 3억 5,000만 명''' || ||<:> 어족 ||<#ffffff> '''아프리카아시아어족[br]셈어파[br]서셈어군[br]중부셈어[br]남서셈어[br]아랍어'''|| ||<:> 문자 ||<#ffffff> [[아랍 문자]] || ||||<:> '''언어 코드''' || ||<:> ISO-639-1 ||<#ffffff> '''AR''' || ||<:> ISO-639-2 ||<#ffffff> ARA || ||<-2> '''주요 사용 지역''' || ||<-2> 북아프리카(이집트, 알제리, 모로코), 중동(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예멘), 동아프리카(에리트레아, 소말리아) || <youtube>f4IMe7CJNYQ</youtube> 아랍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2조[*이 사람은 [[팔레스타인]] 출신이며, 표준 아랍어를 구사하고 있다.][* 한국어 해석: 모든 사람은 인종, 피부색, 성, 언어, 종교, 정치적 또는 기타의 견해, 민족적 또는 사회적 출신, 재산, 출생 또는 기타의 신분과 같은 어떠한 종류의 차별이 없이, 이 선언에 규정된 모든 권리와 자유를 향유할 자격이 있다. 더 나아가 개인이 속한 국가 또는 영토가 독립국, 신탁통치지역, 비자치지역이거나 또는 주권에 대한 여타의 제약을 받느냐에 관계없이, 그 국가 또는 영토의 정치적, 법적 또는 국제적 지위에 근거하여 차별이 있어서는 아니된다.] {{목차}} ==개요== '''아랍어'''는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를 비롯한 [[중동]] 지역에서 주로 쓰이는 언어로,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에 속한다. [[형태론]]적으론 어근을 바탕으로 [[접사]]들을 끼워넣어 단어와 문장을 만드는 [[굴절어]]에 속한다. 모어 화자 수는 [[관화|만다린]](표준중국어), [[영어]], [[스페인어]], [[힌디어]] 다음으로 많은 세계 5위이다.[* 다만 실제로는 아랍어 화자들의 모어는 암미야(아랍어 방언)이고 푸스하(현대 표준 아랍어)는 제2언어다.] ==각주== [각주] [[분류:개별 언어]]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목차 (원본 보기) 틀:색 (원본 보기) 틀:언어 (원본 보기) 아랍어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