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FF6600; max-width:450px; width:100%; float:right; text-align:1.05em" ! colspan="3" style="background:#FF6600 ; color:#fff" | {{글씨 크기|14|아시아치타}}<br>Asiatic Cheetah |- | colspan="3"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HdMhIVojkUTgyyl92tjEu7O7m73d3J8QQcL3Jkly_JqB7WYZyqtKoMOd1H4BguwSDiGI4IWPQlBJPlT7bp7s7hCJsm6Idt0PVtBB9ks_dHQYx7eSAbyqE5Sa3176rUZKgf0F_ijPGhzSaFmT0oyAVg.webp|100%]]</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FF9934 ; color:#000; width:30%" | 학명 | '''''Acinonyx jubatus venaticus'''''<br>(Griffith, 1821) |- ! colspan="3" style="background:#FF9A66 ; color:#000" | 분류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계 | [[동물계]]^^Animali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강 | [[포유강]]^^Mammali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목 | [[식육목]]^^Carnivor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과 | [[고양이과]]^^Felidae^^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속 | 치타속^^Acinonyx^^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종 | [[치타]] ^^A. jubatus^^ |} [목차] ==개요==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분포하는 [[치타]]. ==상세== 몸길이는 112~135cm이고 꼬리길이는 66~84cm이며 무게는 34~54kg으로 아프리카의 아종들보다 가늘고 무게는 가벼우며 약간 더 짧은 몸길이를 가지고 있다. 주로 [[페르시아다마사슴]], 어린 [[무플론]], 어린 [[우리알]], 새끼 [[베조아르아이벡스]], [[영양(동물)|영양]], 새끼 [[멧돼지]], [[새]] 등을 잡아먹으며 [[시리아불곰]], [[카스피호랑이]], [[아시아사자]], [[이란표범]][* [[페르시아표범]]이라고도 부른다.], [[줄무늬하이에나]], [[느림보곰]], [[늪악어]], [[스라소니]], [[인도늑대]], 카스피해늑대, [[유라시아늑대]], [[승냥이]], [[벵골호랑이]], [[인도표범]], [[눈표범]]과 대립하였다. [[멸종 위기 동물|멸종 위기 등급]]은 CR(위급)이며 모든 치타 종들 중 '''수가 가장 적다.'''[* 현재 기준 약 '''40~70마리'''.] 다른 치타들에 비해 갈기가 많은 것도 주요 특징이다. ==역사== 본래 치타의 원래 서식지는 [[아메리카]] 대륙으로 [[빙하기]] 때 [[베링 육교]]를 통해 아시아로 건너와 [[아프리카]]까지 이동했다. 즉 베링 육교와 아프리카 사이의 [[아시아]] 대륙에도 치타가 분포했고, 인간이 문명을 세우기 시작할 때까지만 해도 [[아라비아 반도]]에서부터 [[이란]], [[중앙아시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을 걸쳐 [[인도]]까지 광범위하게 아시아치타가 분포했다. 그러나 인간에 의해 점점 수가 줄어 인도에서는 20세기 들어서는 이미 매우 희귀하게 되었다. 결국 인도에서는 1950년대에 암컷 한 개체가 야생에서 관찰된 것을 마지막으로 멸종을 하게 되고, 아프가니스탄에서는 1950년대에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며, 1983년에 [[우즈베키스탄]]에서 마지막으로 관찰되었고, [[투르크메니스탄]]에서 또한 1984년에 사냥당한 개체를 마지막으로 멸종되었다. 이란에 서식하는 개체군만 아직 멸종되지 않았으나 1970년대에 200개체, 2001년에 76개체, 2013년에는 40~70개체 정도 남은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까지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다.[* 주타이쿤2의 동물백과사전은 2000년대 기준으로 대략 100마리 정도라고 표기했다.] 이는 [[밀렵]]보다는 [[로드킬]]로 인한 원인이 더 큰데, 실제로 사망개체 중 40% 이상이 로드킬에 의한 사망이었다. 또한 아이러니하게도 멸종위기종 이란표범과의 경쟁 역시 아시아치타의 멸종을 앞당기고 있다. 이 때문에 이란 정부에선 역사적으로도 많이 근연이 있기에 가장 아끼고 엄격하게 보호하는 동물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란은 치타를 보존할 자금이 마땅치 않다. 팔라비 왕조가 무너지고 반미, 반서방 성향의 이슬람 신정 국가로 바뀌게 되고, 핵개발 등으로 인하여 미국에게 온갖 제재를 받는 바람에 치타를 보존할 자금을 서서히 잃어가고 있다. ---- [[분류:치타]]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아시아치타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