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과학의 범위}} {{목차}} ==개요== {{{+1 言語學 / Linguistics}}} [[인간]]의 [[언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언어가 어떤 원리로 발생하고 변화하며 쓰이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인간이 "어떻게", 그리고 "왜"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지, 즉 "언어 능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언어학은 일반적으로 [[인문학]]으로 분류되지만 [[과학]]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꾸준한 논쟁이 있어왔다. 언어학계에서도 언어학을 과학으로 분류하고 과학으로서의 정체성을 갖추기 위해 노력한다. '''모든''' 언어학 교재에서 언어학의 정의에 "인간의 언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문구가 빠지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다. 특히 '관찰 → 가설 설정 및 수정 → 설명'에서 볼 수 있듯이 언어학의 방법론은 [[과학적 방법론]]을 따른다. '언어학' 내부의 다양한 이론들은 언어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만 동일할 뿐, 방법론에서는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가장 양 극단을 예로 들자면 한 극단에는 촘스키의 [[생성문법]]이 있고 다른 극단에는 [[역사비교언어학]]이 있다. 생성문법은 고도로 형식적이며 합리적('실증적'에 반대되는 의미)으로서 SMT (Strong Minimalist Thesis)[* SMT: Language is an optimal solution to interface conditions. ('언어'는 접면 조건에 대한 최적해이다.)]라는 공리를 중심으로 하는 연역법적 방법론으로 이론화되었다. 반면 근대언어학의 가장 오래된 분과인 [[문헌학]](philology)과, 20세기 이후 문헌학의 계통을 이어받은 비교역사언어학은 실증주의의 극단이다. 음 변화 추이의 연구와 언어계통규명이 비교역사언어학의 정수인데, 이것은 모두 옛 서적 자료의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다. [[분류:언어학]]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과학의 범위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언어학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