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380px; border:2px solid #007eb5;" | style="background:#007eb5; color:#FFFFFF; text-align:center; border-bottom:none; line-height:24px;" colspan=2 | '''월본국민당 제1대 대표'''<br><big><big>'''오제훈'''</big></big> |- | style="background:#007eb5; padding:0px; border:none;" colspan=2 | [[파일:오제훈 이미지.png|link=]] |- ! style="background:#007eb5; color:#FFFFFF; width:20%;" rowspan=2 | 출생 | {{출생일과 나이|1987|1|4}} |- | {{국가|월본}} [[도유수도시]] |- ! style="background:#007eb5; color:#FFFFFF;" rowspan=2 | 재임기간 ! style="text-align:left;" | 월본국민당 대표 |- | 2021년 9월 11일 ~ 2021년 12월 9일 |- ! style="background:#007eb5; color:#FFFFFF;" | 학력 | ○○○대학원 석사 |- ! style="background:#007eb5; color:#FFFFFF;" | 약력 | 前 변호사 |} == 개요 == '''오제훈'''은 [[월본국민당]]의 제1대 대표이다. '국민의당'을 직접 창당하여 정계에 발을 디뎓고 [[민주우]]와 야권 연대를 거치며 지금의 [[월본국민당]]으로 합당하게 된다. 그러나 동시대에 월본에 유입되어 [[월본유신회]]로 정착한 [[Mirai]]와는 다르게 월본에서 은퇴해서 떠났다. == 생애 == 대학교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곧바로 25세의 어린 나이에 사법 고시에 합격하여 변호사가 되었다. 그 후 대학원을 다니며 석사, 박사 학위까지 취득하였다. 10여년의 변호사 시절 그는 억울한 사람들을 위주로 도맡아 변호인으로서 업무를 수행했다. 변호사 시절의 사건들과 민생에 대한 생각으로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정치를 해야겠다고 생각되어 정계에 입문하게 된다. == 정치 == 정계 입문 후 민주우와 연대하며 지지율을 끌어올렸다. [[제13대 월본 국회의원 선거|13대 총선]] 당시 [[자유민주당 (월본)|자유민주당]]의 장기 집권 상황을 비판하였고 [[사회민주당 (월본)|사회민주당]]과 신좌파연합 등 야당 또한 무용론을 주장했다. 당시 오제훈의 국민의당은 이런 구태정치를 타파하는 새로운 정치를 하겠다며 주장했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선 야권이 뭉쳐야 하는 야권 연대론을 적극적으로 표명했다. 이윽고 당시 [[새로운민주당]] 민주우와 회견을 통해 야권 연대에 합의했고 공동으로 공천안을 발표하겠다고 기자회견 하였다. 야권연대는 총 124석을 얻으며 자유민주당의 의석을 가뿐히 넘겼다며 오제훈과 민주우의 야권 돌풍은 다시 불씨가 일기 시작했다. 하지만 [[민주우]]가 정계 은퇴를 하며 정치적 기반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야권연대는 결국 민주우라는 주류 정치인의 기반 세를 얻기만 할 뿐 변화는 없었다는 여론이 있기도 하다. 이후 [[제14대 월본 국회의원 선거|14대 총선]]에서는 불출마하였고, 이어 12월 9일 정계를 은퇴하며 대표직을 [[여혜진]]에게 승계하였다. [[분류:월본]] [[분류:월본의 정치인]]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국가 (원본 보기) 틀:나이 (원본 보기) 틀:출생일 (원본 보기) 틀:출생일과 나이 (원본 보기) 오제훈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