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인민민주독재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일종으로서,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에 명기되어있다. 인민민주주의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처럼, 국민이 국가 지도자를 직접 뽑는 것은 아니나 인민들에게 하급 단위 인민대표를 직접 뽑을 선거권이 있고, 법에 따라 국가통치에 참여할 권리가 있으며, 모든 정책 및 법률 입안과 집행을 통해 민의가 실제로 구현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 인민민주독재의 동의어 == * 중국에서는 [[인민민주전정]]이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전정이라 함은 전제 정치의 약자이다. * 북한에서는 [[인민민주주의독재]]라고 한다. 개념은 거의 같으며, 아래 서술될 [[무산계급독재]]보다는 중국의 인민민주독재와 더 가까운 개념이다. == 프롤레타리아 독재와의 차이 == 인민민주주의는 [[무산계급독재]]의 일종으로 여겨지나, 실질적으로는 다른 부분이 존재한다. 노동자는 분명 인민이 맞으나, 모든 인민은 노동 계습이 아니다. 인민은 모든 무산 계급 뿐만이 아닌 모든 피지배 계층을 포괄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 중국에서의 사용 == 중국은 헌법에서 인민민주주의 국가임을 명시하고 있으며, 시 주석은 베이징에서 열린 중앙 인민대표대회 공작회의에서 연설을 통해 "민주를 실현하는데는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천편일률적일 수 없다"며 중국의 인민대표대회 제도가 '전 과정의 인민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중요한 제도적 장치라고 주장했다.이른바 전 과정 인민민주는 '중국에 선거를 통한 정권교체의 기회가 없고, 사실상의 공산당 일당 독재 체제'라는 자유민주 진영의 대 중국 공세에 맞서 만든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인민민주독재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