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FF6600; max-width:450px; width:100%; float:right; text-align:1.05em" ! colspan="3" style="background:#FF6600 ; color:#fff" | {{글씨 크기|14|저어새}} (검은얼굴저어새)<br>Black-faced spoonbill |- | colspan="3"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저어새.webp|9900px]]</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FF9934 ; color:#000; width:27%" | 학명 | '''''Platalea minor'''''<br>(Temminck & Schlegel, 1849) |- ! colspan="3" style="background:#FF9A66 ; color:#000" | 분류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계 | [[동물계]]^^Animali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문 |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강 | [[새|조강]]^^Aves^^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하강 | 신악하강^^Neognathae^^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상목 | 신조상목^^Neoaves^^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목 | 사다새목^^Pelecaniformes^^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과 | 저어새과^^Threskiornithidae^^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아과 | 저어새아과^^Threskiornithinae^^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속 | 저어새속^^Platale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종 | '''저어새^^P. minor^^''' |} {{목차}} ==개요== [[사다새]]목 저어새과에 속하는 [[새|조류]]의 일종. 좁은 의미의 저어새는 위 사진의 저어새이며, 근연종으로는 [[노랑부리저어새]](Platalea leucorodia), 아프리카저어새(Platalea alba)가 있다. ==특징== 몸길이는 75cm 정도고 몸은 하얀색이며,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부리는 주걱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이 부리를 좌우로 저으면서 먹이를 찾는 습성이 있다. 이러한 습성 때문에 '저어새'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영어로는 --thaaaat bird-- 부리 모양을 본따 spoonbill이라고 한다. 얕은 바닷가나 갯벌, 갈대밭, 논 등에 서식하며, 물고기, [[개구리]], 수생곤충 등을 먹는다.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경계심이 강하다. 5월에 알 4~6개를 낳는다. [[한국]], [[중국]], [[일본]], [[홍콩]], [[대만]] 등에 분포한다. 전 세계적으로 5200여 마리밖에 남지 않은 멸종위기종 1급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노랑부리저어새와 함께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 제205호로 지정하여 보호받는다. 주요 서식지인 한반도 서해안의 갯벌이 [[시화호]], [[새만금]] 등 간척사업과 [[인천국제공항]], [[송도국제도시]] 건설 등의 매립으로 면적이 점차 줄어들면서 위협받는 종이다. <youtube>UAGnxMcKW0o</youtube> 갓 태어난 새끼 또한 주둥이가 비교적 넓고 납작하다. 위에 언급되었듯이 동아시아에 한정하여 분포하며, 여름 동안에는 전 세계 번식집단의 거의 대부분이 한반도 서해안의 무인도에서 번식한다.[* 지상에 둥지를 트는 새라서 쥐나 고양이 같은 지상 포식자가 없어야 번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국제적으로 나름 심각한 멸종위기종임에도 불구하고 서해안의 갯벌 지역에서는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다만 겨울에는 대만, 중국 등 남쪽으로 이동하여 월동하며, 최북단 월동장소는 제주도로 알려져 있다. 근연종인 노랑부리저어새는 한반도에서는 [[겨울철새]]로, 저어새와는 달리 겨울에 도래한다. 수도권에서 저어새를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장소는 [[인천광역시]]의 남동유수지이다. 원래 인천광역시 [[남동구]], [[연수구]] 일대는 상당한 면적이 갯벌을 매립한 지역인데, 이 때 홍수방지용으로 남겨 둔 유수지에서 2009년부터 저어새가 번식하고 있다. 원래 무인도에서나 번식하는 천연기념물 저어새가 도시 한가운데서 번식을 시작했으니 처음에는 상당한 이슈거리였다. 사실 이곳의 서식환경이 좋아서 찾아왔다기보다는 인근 갯벌이 대부분 매립된 후 저어새가 쉴 수 있는 곳이 그곳밖에 남지 않았다... 그 넓은 송도 갯벌을 다 메워 버렸으니... 언젠가 인천광역시의 시조(市鳥)를 두루미에서 저어새로 바꾸자는 제안이 나온 적이 있는데, 실상은 인천광역시가 저어새에게 전혀 도움이 안 되는 상황. 그 외에는 [[서울대공원]]에 전시해 놓은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가 있다. 과거에는 아프리카저어새도 보유했으나 폐사했다. ---- [[분류:저어새속]]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저어새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