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정계 입문 전== 1989년 12월 24일, 한성부 영등포구에서 태어났다. 이후 영등포초등학교, 영등포중학교를 다니다가 강남구로 이사한 뒤 경기고등학교에 진학했다. 2007년에 경희대학교 법학과에 조기입학하고 2011년 학사로 졸업했으며 사법연수원에서 이를 수료한 뒤 수원지법, 대구지법에서 차례로 근무하였다. 이후 한성고등법원에서 부장판사로 재직하던 중 이재명 당시 사회민주당 민의원 원내총무를 통해 정계에 발을 들이게 된다. ==정치 활동 이력== ===2023년 서초구 갑 재보궐선거=== 결국 이재명과 이재명계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잆어 한성 서초 갑 보궐선거에 사회민주당 당적으로 전략공천되고 2위였던 통합보수당의 김현수 후보를 4.2% 차이로 따돌리며 당선된다. ===제100대 민의원=== 2024년 100대 민원선에서는 한성 서초 갑에 출마하여 前 서초구청장 2위 한명희 후보를 1.7% 차이로 꺾고 아슬아슬하게 당선된다. 100대 민의원에서 사회민주당이 정권 탈환에 성공하고, 민의원 의원 281명의 지명과 귀족원의 격하권 불행사로 이재명이 의정대신에 취임하고 자신=도 의정부 특명담당대신에 선임된다. ===의정부 특명담당대신=== 제 1차 이재명 의정부에서 성평등·인권정책 담당 의정부 특명담당대신으로 선임됐고, 대신 취임 한달 뒤 "특명담당대신직과 여성가족대신직은 겹치는 소관이 많다, 둘 중 하나는 올해를 기해 사라져야 할 것"이라 말하면서 이재명 의정부 각료 중에선 처음으로 여성가족부 폐지를 주장하였으나 이재명 의정대신과 염강호 당시 행정안전대신 등의 설득으로 폐지는 실현되지 못하고 여성가족부 축소 정책만 발효되었다,(이후 이준석 의정부 때에 폐지) ===제 101대 민의원=== 101대 민원선에서는 이재명이 정치생활을 시작한 성남 판교에 출마해 야권단일화 후보인 김은혜 후보를 5.3% 차이로 꺾고 3선에 성공한다. 회기 중 10건의 법안을 법제사법위원회에 대표발의했으며, 대표적 안건은 성소수자차별금지에 관한 법안이 있으며, 법사위에 계류하다가 101대 민의원이 해산됨에 따라 자동 폐기되었다. ===제 102대 민의원=== 102대 민원선에서 성남 판교에서 4선에 성공했으나 결과적으로 사회민주당의 과반 확보가 실패하고, 이준석이 이끄는 통합보수당이 236석을 획득하고 反이재명을 표방하는 모든 원내정당과 연정을 구성함으로써 사회민주당이 야당으로 밀려났고, 이에 따른 책임으로 자신의 정치적 스승인 이재명이 총재직을 사임하면서 위기에 빠지게 된다. 그러나 살아남은 송영길의 도움으로 의총에서 44.9%, 2위 연주원 現 해양수산대신과 단 4표 차이, 1.9% 차이로 초신승을 거두면서 원내총무 재선에 성공한다. 평양특별시장 보궐선거에 출마설이 돌기도 했지만 출마설을 부정했다. ===제 103대 민의원=== 103대 민원선에서도 성남 판교에서 무난하게 5선을 성공하며 여의도의 진정한 정치 고문으로 거듭났다. 사회민주당이 90석을 추가로 얻으며 사회민주당이 대승을 거둔 103대 민원선 이후 이재명이 다시 사회민주당 총재로 복귀하는데 송영길 민의원 부의장과 함께 큰 역할을 해냈으며 이재명의 총재 등극 후, 부총재 겸 법무대신에 선임되었다. ===제147대 법무대신=== 2030년 법무대신에 임명되고 검경수사권 조정에 앞장서고 있으나, 검찰 각계각층의 반대로 쉽지는 않아보인다. 전의형/생애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