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6090D0; max-width:450px; width:100%; float:right; text-align:1.05em" ! colspan="3" style="background:#6090D0 ; color:#fff" | {{글씨 크기|14|진핵생물}}<br>眞核生物 | Eukaryota |- | colspan="3"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진핵계통.webp|100%]]</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6090D0 ; color:#000; width:30%" | 학명 | '''Eukaryota'''<br>(Chatton, 1925) |- ! colspan="3" style="background:#A0E9F8 ; color:#000" | 분류 |- ! colspan="2" style="background:#C9FAFF ; color:#000" | 미분류 | [[생물|세포성 생물]] |- ! colspan="2" style="background:#C9FAFF ; color:#000" | 상역 | 네오무라상역 ^^Neomura^^ |- ! colspan="2" style="background:#C9FAFF ; color:#000" | 역 | '''진핵생물역^^Eukaryota^^''' |} {{목차}} ==개요== '''진핵생물역'''(眞核生物域, Eukaryota)은 세포 구조가 진핵세포로 이루어진 [[생물]]을 분류하는 최상위 계통이다. 진핵세포는 핵막이 있는 핵과 세포 소기관을 가진 세포로, 일반적으로 [[동물]]이나 [[식물]], [[버섯]] 등 대다수의 다세포 생물은 이러한 형태의 세포를 갖고 있다. 진핵생물의 범위는 매우 넓어 [[원생생물]]이나 [[조류(수중생물)|조류]](藻類, [[남조류]] 제외) 같은 생물을 포함한다. 진핵세포가 아닌 세포를 원핵세포라 하며, 진핵생물이 아닌 나머지 생물은 [[원핵생물]]이라고 하는데, [[고균]]이나 [[세균]] 같은 것들이 포함되며 핵막이 없다. ==생물학적 특징== 진핵생물은 세균과 고균에 속하는 원핵생물과 달리 일반적으로 다분화된 세포소기관을 가지고 있다. 또한 DNA가 선형 구조이기 때문에 [[복제(생물학)|복제]]를 거듭할수록 DNA의 길이가 짧아지는 말단 복제 누락 문제(end replication problem)를 필연적으로 겪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말단에 [[텔로미어]]가 존재하여 암호화 영역의 손상을 막는 역할을 하지만 결국 이게 다 닳으면 유전자에 직접적인 손상이 가해지기에[* 대신 부모의 텔로미어가 말단 복제 누락 문제로 인해 짧아지더라도 수정 후 텔로머레이스에 의해 복구되기 때문에 대가 이어질수록 DNA가 짧아지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사람에서 텔로머레이스를 암호화하는 DNA는 일반적으로 배아 형성 후 영원히 비활성화되며, 이것이 어떤 이유로 활성화될 경우 암세포 형성에 관여할 수 있다.] 노화가 일어난다. 즉 모두 [[필멸자]]인 셈이다.[* 세균은 DNA가 원형 구조라서 이 문제로부터 자유로우며, 따라서 이론상 무한히 증식할 수 있다. 어찌보면 세균이야말로 진정한 불멸자인 셈이다.] 다만 [[홍해파리]]처럼 '''[[불사조|늙으면 스스로 다시 젊어지는]]''' 예외가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진핵생물은 크게 4~8개의 계(Kingdom)로 나누며 통상적으로는 동물계(Animalia), 식물계(Plantae), 곰팡이계(또는 균류, Fungi) 그리고 나머지로 분류한다. 이 나머지는 하나의 기준으로 묶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아서 과거에는 [[원생생물]]이라는 계로 분류하였다. 하지만 그 기준의 정의가 너무 넓다보니[* 동물, 식물, 균류가 아닌 그 나머지 잡다한 생물들] 정확한 분류군은 아니었다. 시간이 흘러 [[분자생물학]]과 [[계통분류학]]의 발전에 따라 이 개념은 폐기되고, 원생생물로 묶여있던 수 많은 생물들이 DNA 분석과 대조를 통해 새로운 분류군으로 떨어져 나갔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분류군이 새롭게 탄생했다. * 원시색소체생물(Archaeplastida): 녹조류, 홍조류, 회청조류, 육상 식물을 아우르는 '''넓은 의미의 [[식물]].''' 색소체가 될 광합성 세균을 직접 집어삼켜 색소체의 막이 2개뿐인 부류다. * [[SAR 상군]](SAR Supergroup): 부등편모조류(다시마나 톳같은 갈조류가 여기로 분류된다), 피하낭류, 리자리아류. 텔로미나류를 더해 TSAR가 되거나 착편모조류 등을 더해 유색피하낭류(Chromalveolata)를 구성하기도 한다. * 엑스카바타(Excavata): 대표적으로 [[유글레나]]가 속하는 원시적인 편모충류 등의 집합. 그러나 최근 다계통군인 것으로 밝혀져 분류군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이 있다. * 아메바류(Amoebozoa): [[아메바]]와 [[점균류]] 등이 속한다. * [[후소무생물]]류(Obazoa): 아메바류의 친척으로 이들 중 후편모생물(Opisthokont)에 [[균류]], [[동물]], [[깃편모충]] 등이 포함된 분류군. 채튼의 2계분류(1937년)에 따라 생물을 분류하면 원핵세포생물계과 진핵세포생물계로 크게 분류된다. 원핵생물은 세포 내에 핵막이 존재하지 않고 유전물질이 세포질에 퍼져있는 반면, 진핵생물는 핵막이 존재하여 세포질과 분리된 핵 속에 유전물질이 들어있다. 그러므로 진정한 핵이 있는 생물(eu-: 진정한, -karyo-: 핵)이라는 뜻으로 진핵생물(Eukaryote)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진핵생물을 이루는 세포를 진핵세포라고 부른다. 최초의 진핵생물 탄생 시기는 논란이 많지만 빠르면 거대 고리 스테롤이 발견된 [[신시생대]]에 탄생한것으로 보이며 화석적 증거로는 [[리아시아기]]에 [[그리파니아]]가 논란은 있지만 최초의 진핵생물 화석으로 추정된다. 또한 보수적으로 본다 해도 아무리 늦어도 [[오로시리아기]] 시대인 약 18억 5천만 년 전 최초의 진핵생물이 등장한것으로 보인다. ---- [[분류:진핵생물역]]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진핵생물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