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개요== 懺悔 [[불교]]에서 자신의 죄를 깨닫고 뉘우치는 것을 말함. [[천주교]]나 [[개신교]]를 비롯한 [[기독교]]에서는 '''[[회개]]''' 등으로 표현한다. 물론 참회라는 표현도 쓰긴 한다. 회심이란 표현도 있는데 엄밀히는 의미가 살짝 다르다. 참회라는 단어 중 '참'(懺)은 산스크리트 크샤마(kṣama)를 음역한 것으로 '뉘우치다', '참다'라는 뜻이고,<ref>[[힌디어]]에서는 "용서하소서"라는 뜻의 공손한 인사말로 사용된다.</ref> '회'(悔)는 이것을 의역한 것이다. 참회는 이번 생뿐만 아니라 시작없는 전생부터 지어온 [[카르마|악업]]을 뉘우치고 이를 정화함을 말하며 [[불교]]에서는 기독교의 원죄론 같은 개념이 없으므로 그 어떠한 극악한 죄라도 진정으로 뉘우치고 참회하면 그 죄가 소멸되어 구제받는다고 가르친다. 불교 내에서 가장 유명한 참회의 케이스는 부처님 당시 살인마였던 [[앙굴리말라]](Angulimala)가 자신의 죄를 참회하고 결국은 깨달음을 얻어 아라한의 경지에 이른 것<ref>원래는 선하고 현명한 수행자였으나 스승(바라문교의 사제)의 잘못된 꼬임에 넘어가 살인마가 되었다.</ref>과 자신의 [[아버지]]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한 아지타삿투(Ajithasattu)가 자신의 죄를 참회하고 부처님의 가장 큰 후원자로 나선 이야기 등이 있다.<ref>어떤 문헌에는 아버지를 죽이고, 부처님을 죽이려 했던 악업의 과보로 불타 죽었다는 이야기도 있다.</ref> 참회를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 혹은 필수적으로 1. 참회할 대상<ref>계율을 정하신 부처님과 자신의 죄로 피해를 입은 일체 중생들.</ref>을 알고 1. 죄를 지은 것을 강하게 후회하고 1. 죄를 다시는 짓지 않겠다고 결심하고 1. 절을 하거나 경전을 읽는 등, 치료제가 되는 행을 행한다 이 4가지가 모두 갖추어진 상태에서 참회해야만 진정으로 참회가 되고 업장이 소멸된다고 한다. 이를 4대치력(四大治力: 네 가지 치료하는(다스리는) 힘)이라 한다. 참회를 위한 방법은 여러가지로 전해지며, 보통 절을 하거나 독경을 읽는 방법으로 행해지는데, 옛날 [[중국]]과 [[인도]] 등에서는 몸에 채찍질을 하거나 손가락을 불태우는 등 극단적인 방법으로 참회를 했다는 기록이 전해온다. 이는 브라만교(힌두교)에서 "자신의 몸이 받는 고통만큼 자신의 업이 정화된다."라는 빠따스 요가(Patas Yoga)에서 차용된 듯 보인다. ~~이름부터 심히 고통스러워 보인다~~ ==타 종교에서== [[중세]] [[가톨릭]]에서도 자신의 몸에 고통을 주는 방식으로 보속을 행한 경우가 많았다. 사제들의 [[수호성인|주보성인]]인 성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는 자신의 몸을 쇠채찍으로 피가 나도록 후려치는 고행을 했고, 성 [[예로니모]]는 돌로 자신의 가슴팍을 치는 보속을 했다. [[일본]]에서는 [[고해성사]]를 참회라고 부르며, 고해성사실도 참회실이라고 한다. 아마도 일본에서 전통적으로 영향력이 컸던 불교의 용어를 다수 차용하여 가톨릭의 용어를 번역했기 때문인 듯 하다. [[분류:불교]][[분류:한자어]]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목차 (원본 보기) 참회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