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FF6600; max-width:450px; width:100%; float:right; text-align:1.05em" ! colspan="3" style="background:#FF6600 ; color:#fff" | {{글씨 크기|14|해면}}<br>海綿 | Sponge |- | colspan="3"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GDpFwGX63ASOwcO4TvCVHQsh6 C3QiuAh2nzBWyrKq9N-qP3Nki4EX7nVhhQJMhLfNJO4CXUYKHvl3j8TrfNaZfSPJ 3y575qOESMEM6pkufaUv1s9 dbQJ2rWYuS sNyJ 9cJJZV6iBmZpod7yL6g.webp|9900px]]</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FF9934 ; color:#000; width:30%" | 학명 | '''''Porifera'''''<br>(Grant, 1836) |- ! colspan="3" style="background:#FF9A66 ; color:#000" | 분류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계 | [[동물계]]^^Animali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아계 | 측생동물아계^^Parazo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문 | '''해면동물문^^Porifera^^''' |} {{목차}} ==개요== 해면(海綿) 또는 영어로 스펀지(Sponge)는 해면동물문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이다. [[식물]] 같지만 사실 간단한 형태의 동물로, 많은 개체들이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어 살고 있는 개체의 집단이며, 각각의 개체들은 하나의 덩어리 내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수류를 일으켜 물속에 있는 식물 [[플랑크톤]] 등을 걸러먹으며, 놀랍게도 육식성 해면도 있다.[* Cladorhizidae과, Guitarridae과와 Esperiopsidae과 중 일부 종. 먹이가 부족한 심해 또는 해저동굴 같은 곳에 살며, 작은 갑각류나 동물을 잡아 먹는다. 나무위키에 항목이 있는 종은 [[탁구공나무해면]]과 그 근연종인 [[엘타닌 안테나]]의 정체 해면 같은 것이 있다.] 간단한 형태이니만큼 [[포유류]] 같은 복잡한 몸구조를 가진 동물에게는 불가능한 일들이 가능하다. 자르는 건 물론이고 아예 채로 걸러버려도 회복하는 등... [[계통분류학]]적으로 동물계 생물 중 인간과 가장 멀다. [[에디아카라기]]의 [[이카리아 와리우티아]] 이전 조상이 [[해파리]]와 유사하게 생겼다면 그 이전 조상은 해면같이 생겼다고 추측된다. 다시 말해 [[동물]]의 가장 초창기적인 모습이라고 보면 된다. 해면의 핵심이 되는 세포인 깃세포가 단세포 생명체 중 동물과 가장 유사한 [[깃편모충]]과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토노스기]]에 깃편모충에서 '오타비아 안티쿠아'(Otavia Antiqua) 같은 원시 해면 즉 동물로 처음 진화한 것으로 추정되며, [[크리오스진기]] 쯤 현대의 해면인 [[보통해면강 생물 목록|보통해면류]]가 등장했다. 그래서 현재는 [[감투빗해파리|빗해파리]]와 함께 최초의 동물 계통으로 보고 있다. ==구조== 해면에게는 진정한 의미의 조직이나 기관이 없어 감각, 신경, 운동능력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물로서 분류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은 갖추고 있다. 해면 세포의 구조나 구성 성분, 유전자를 다른 동물이나 식물에 비교하였을 때 동물에 더 가깝다는 점, 그리고 생산자가 아닌 소비자라는 점에서 [[동물]]로 분류된다 해면의 몸에는 여러 개의 구멍이 나 있다. 이를 소공이라 하며 체내로 물이 들어오게 한다. 반면 몸체 가운데에 커다란 대공이 나 있으며, 이는 여러 개의 소공으로 빨아들인 물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출구 역할을 한다. 또한 소공은 서로 연결되어 수관계를 연결하는데, 일부 수관계 내부에는 독특한 편모 세포인 금세포가 줄 지어 나 있다. 이 세포의 편모가 외부의 물을 관 내부로 들여오는 수류를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금세포는 이러한 역할 말고도 물 속의 먹이를 여과하고 식세포 작용도 한다. ===수관계 구조에 따른 구분=== 골편이라고 불리는 작은 조각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해면질의 섬유를 잘 발달시켜서 골편을 가지지 않는 종류도 있다. 유성생식을 하기도 하지만 무성생식을 하는 종류도 있으며, 몸의 구조도 아스콘형, 시콘형, 류콘형의 3가지 기본형을 가지는 등 나름 크고 복잡한 분류군이다. 이 세 가지 유형은 체계의 복잡성과 효율성에 따라 후자로 갈수록 발전하는 양상을 보인다. 허나 이것이 진화적 또는 발생의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류콘형의 경우 해면 내에서 여러 차례 독립적으로 진화한 모습을 보였다. * 아스콘형 아스콘형은 세 가지 유형 중 가장 간단하고 작은 관 모양이다. 물은 표면의 작은 구멍을 통해 안쪽의 금세포가 있는 위강이라는 공간으로 들어온다. 금세포의 편모는 구멍을 통해 물을 내부로 끌어당기고, 1개의 대공으로 내보낸다. 아콘형 해면은 모두 석회해면강에 속한다. * 시콘형 시콘형은 아콘형에서 분화된 것으로서 대형화된 버전이라 볼 수가 있다. 단순한 형태의 아콘형과 달리 시콘형은 금세포층이 안팎으로 접혀 형성된 방사관 내부에 금세포가 늘어서 있다. 소공을 통해 들어온 물이 입수관으로 갔다가, , 전문이라는 측면의 소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시콘형의 위강 내부에는 아스콘형의 금세포가 아닌 상피세포가 들어있다. 시콘형 또한 석회해면강에 속한다. * 류콘형 세 가지 유형 중 가장 복잡하고 크기가 크다. 대부분의 류콘형은 다수의 대공을 가진 커다란 덩어리를 형성한다. 류콘형의 수많은 편모실은 입수관에서 흘러들어온 물로 가득 차게 되는데, 이 물은 출수관을 거쳐 대공을 통해 배출된다. 시콘 및 아콘형과 달리 위강은 없다. 대부분의 해면은 류콘형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이 석회해면강에 속하고 다른 강에도 속한다. ==생태== 무성생식과 유성생식 둘 다 한다. 유성생식을 하는 해면은 대부분 [[자웅동체]]이다. 정자는 금세포가 변형되어 생긴다. 일부 해면 종들의 경우 난자가 금세포나 원시세포에서 발생한다. 정자는 물로 방출되어 다른 개체의 수관계로 들어간다. 금세포가 정자들을 식포작용으로 포획한 후 운반세포로 변신해 중교를 거쳐 난자로 전달한다. 어떤 해면은 난생을 하기도 한다. 정자와 난자가 전부 바깥으로 배출되며 난자는 중교에 있는 정자에게 수정된다. 대부분의 해면에게서 접합자는 편모를 가진 유생으로 발생해 방출 후 수류를 따라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이후 유생은 자유유영을 하며 지낸다. 단단한 몸을 가졌으며 중실유생이라고 불린다. 편모를 가진 세포는 유생의 표면에서 바깥으로 향해 있다. 이 편모들은 유생이 해저에 착생하게 되면 안으로 이동해 편모실에서 금세포가 된다. 성체가 되면 단단한 곳에 고착해서 살아가는 것이 산호, 따개비, 굴 종류와 비슷한 양상이다. 무성생식의 경우 느슨한 조직의 특성 때문에 분절하거나 출아 후 떨어져 나가 새로운 해면이 되거나 군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일부 민물 해면과 바다 해면은 정기적으로 '아구'라는 내부의 싹을 형성하여 무성생식한다. 특히 주변 환경이 좋지 않을 경우 원시세포를 캡슐로 싼 휴면체인 아구가 생성되기도 하는데, 주변 상황이 좋아지면 아구의 난문이 열려 내부의 원시세포가 탈출하여 새 해면으로 발생한다. ---- [[분류:해면동물문]]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해면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