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대경제국 환구단.jpg|섬네일|오른쪽|황국제제가 선포된 환구단]] ==개요== [[대경국]]이 [[대경제국 제1제국]]으로 교체되는 결정적 사건이다. 다른 말로 황국제제가 선포된 1890년의 간지인 '경인'을 따와 [[경인제제]]라 부르기도 하고 '황국칭제', '경인칭제'라는 말도 사용된다. ==선포 배경== 당시 대경국은 [[철종(킹덤 오브 킹덤)|철종]] 사후 즉위한 [[안종]]의 치세 하에 안정기에 돌입한 상태였다. 몇차례 군사 원정으로 국경선을 명확히 하고 [[정종(22대)(대경국)|정종]] 시절부터 시작된 근대화 노력이 거의 완성되가던 시점이였다. 하지만 동시에 서구 열강들이 점차 중국에서 틀을 다지고 일본이 본격적으로 동아시아 전쟁판에 들어오기 시작하자 안종은 현재 형식적인 [[옹나라]]와의 조공관계(속국관계)를 청산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에 안종은 총리 [[유백산]]으로 하여금 이에 대한 대안을 찾도록 한다. ==선포 준비 과정== 총리 유백산은 [[경유23년학성회의]]을 통해 칭제론(稱帝論)을 선포하고 이에 대한 근거 25조항을 정립한 다음 [[대경국 학공회의|학공회의]]를 열어 지식인들과 정치인들이 긍정적 반응을 보이자 실무 작업을 위해 1888년, 총리 직속기구로 '민의수의관(民意受議館)'을 설치하여 칭제론을 설파하며 공론화를 시켜나가고 외국인 영국과 프랑스에 지식인을 초청하여 이 문제를 논의하게 한다. 1889년, 유백산 총리는 [[이백근]] 전권대신을 통해 안종에게 칭제를 제안한다. 안종은 칭제를 승인하고 이를 위한 환구단 건설을 명령했으며 환구단에 막대한 인력이 동원되서 1890년에 완공된다([[대경제국 환구단|환구단]]). 안종은 영국과 프랑스, 일본의 외교관을 칭제식에 초청하였고 베이징에 칭제에 대한 공문을 보낼 준비까지 완료하였으며 1890년 6월 8일에 식이 거행된다. ==선포== {{인용문|짐(朕)이 생각하건데, 현재의 천자(天子)는 그 기치(旗幟)를 상실(喪失)하고 그 도(度)를 이미 한참 지나쳤다. 이에 짐(朕)은 상제(上帝)의 근심을 없앨 진택(眞澤)을 받은 천자(天子)라는 상제(上帝)의 칙유(勅諭)를 받들고자 함에 오늘 천지신명(天地神明)과 상제(上帝)께 이 제단을 바치어 무궁(無窮)토록 제사(祭祀)를 지낼 것이니라. 조정(朝廷)의 만조백관(滿朝百官)들과 모든 만신민(萬臣民)은 새롭고 진정한 상제의 택(澤)을 받은 천자(天子)가 상제(上帝)도 탄복(歎服)할 국사(國事)을 가꾸어 자손만대(子孫萬代)가 영원토록 누릴 수 있는 광영(光榮)을 만끽할 것이다.|황국제제 선포식 거행 中 조서 낭독문}} 환구단에서의 예식은 [[고려(킹덤 오브 킹덤)|고려]]와 [[조선(킹덤 오브 킹덤)|조선]]의 천지신명에게 바치는 제사의 예식을 복원한 것으로 조선 왕실의 예법으로서 편찬된 [[조선왕실오례의]]를 많이 참고하였다. 실무 기관은 [[대경제국 제1제국기 궁내부|궁내부]] 예하 관서인 '환구단 사제서'[* 오늘날 환구단 사제서와 비슷한 역할을 가졌다.] 및 국무대신 직속의 '칭제실무간국'과 총리대신에 '칭제실무진행심의회'가 맡았으며, 이외에 연회와 후에 열린 다과회는 궁내부의 예식원과 서양전례관, 프랑스에 초청한 [[장 리브잉 지 메디]] 신부가 맡았다. 이와 동시에 중국 베이징에 칭제에 대한 모든 정보를 써내어 전보로 보낸다. ==초청된 주요 인사== ==반응== ===내부=== * 대경제국 제1제국 의정원 - 기념 결의문을 의결하고 당분간 정쟁을 중단하였다. ===대외=== * [[옹나라]] - 당연히 용납할 수 없다는 반응이었다. 황국제제 당일 이 소식을 알게 된 [[이홍장(킹덤 오브 킹덤)|이홍장]]은 즉각 반발 성명문을 내며 열강의 동조를 얻으려 했지만 방향을 선회하여 [[베이징 헌장]]을 체결하여 황국제제를 인정하고 협력관계를 도모한다.--츤데홍장-- * [[제국주의기 일본(킹덤 오브 킹덤)|일본 제국]] - 일본은 애매모호한 성명을 했다가 주재영사를 공사로 승격시키고[* 하지만 황국제제 단행연도 1890년 이전인 1883년에 일본 외무성은 일찍이 청경 주재 '영사'가 아닌 '공사'로 부르던 경우가 많았으며 공식문서 일부에서도 공사라고 쓴 적이 있다.] 축하 사절을 보낸다. --그리고 결과가 [[대 일본 전쟁]]-- * [[영국(킹덤 오브 킹덤)|영국]] - 영국도 일본처럼 주재영사를 공사로 승격시키고 축하 사절단을 보낸다. * [[프랑스 제3공화국(킹덤 오브 킹덤)|프랑스 제3공화국]] - 프랑스는 주재영사로 하여 축하 서신을 보냈으며 이후 공식적으로 사절단을 보내 축하하였다.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축하 사절로 보내고 주재공사를 특별공사(사실상 대사)로 승격시킨다. * [[미국(킹덤 오브 킹덤)|미국]] - 축하 서신을 보낸걸 제외하고는 없다. * [[독일제국(킹덤 오브 킹덤)|독일제국]] - 축하 서신을 보내고 이후 외교 목적 성격의 축하 사절을 보낸다. * [[러시아 제국(킹덤 오브 킹덤)|러시아 제국]] - 축하 성명을 한 것을 제외하고 없다. * [[스페인 제2왕국(킹덤 오브 킹덤)|스페인 왕국]] - 축하 서신을 보냈다. * [[미 연합왕국]] - 축하 서신을 보내고 이후 축하 사절을 보낸다. ==파급 효과== ==기타== ==각주== {{주석}} [[분류:킹덤 오브 킹덤 세계관]]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원본 보기) 틀:인용문 (원본 보기) 틀:일반 기타 (원본 보기) 틀:주석 (원본 보기) 모듈:Check for unknown parameters (원본 보기) 황국제제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