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대조선국 추존국왕}} {{분류:대조선국 왕세자와 왕세손}} ||<width=100><#972000><-999> {{{+2 {{{#ffffff '''조선 추존 국왕''' }}}}}} || ||<width=100><#972000><-999> {{{+1 {{{#ffffff '''효종 | 孝宗''' }}}}}} || ||<width=100><#202359><-999> {{{+2 {{{#ffffff '''조선 이연의 왕세자''' }}}}}} || ||<width=100><#202359><-999> {{{+1 {{{#ffffff '''효문세자 | 孝文世子''' }}}}}}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999> [[파일:어기.png]] || ||<-3><#202359> {{{#ffffff 출생}}} || 2023년 5월 19일 [br] {{{-1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자선당 }}} || ||<-3><#202359> {{{#ffffff 사망}}} || 2023년 8월 5일 (향년 45세) [br] {{{-1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자선당 }}} || ||<-3><#202359> {{{#ffffff 묘}}} || '''효경원(孝慶園) → 경릉(慶陵)''' || ||<-3><#202359> {{{#ffffff 본관}}} || 전주 이씨 || ||<-3><#202359> {{{#ffffff 휘}}} || 행(緈) || ||<-3><#202359> {{{#ffffff 부모}}} || 친부 덕흥군, 친모 [[정순 공주]], 양부 [[대조선국 명종|명종]], 양모 [[의정왕후]] || ||<-3><#202359> {{{#ffffff 형제자매}}} || 경원대군 || ||<-3><#202359> {{{#ffffff 배우자}}} || 대비 심씨 || ||<-3><#202359> {{{#ffffff 자녀}}} || 장남 이황 || ||<-3><#202359> {{{#ffffff 종교}}} || 유교 || ||<-3><#202359> {{{#ffffff 신장}}} || 188cm || ||<-3><#202359> {{{#ffffff 봉작}}} || '''진평군(晉平郡)''' || ||<-3><#202359> {{{#ffffff 추존 전 시호}}} || '''효문세자(孝文世子)''' || ||<-3><#202359> {{{#ffffff 묘호}}} || '''효종(孝宗)''' || ||<-3><#202359> {{{#ffffff 시호}}} || '''영문장무장선광인대왕(榮文章武莊善廣仁大王)''' || '''조선의 왕세자이자 조선의 추존 국왕.'''묘호는 '''효종(孝宗)'''이며 시호는 '''영문장무장선광인대왕(榮文章武莊善廣仁大王)'''이고, 휘는 행(緈)이다. [[정순 공주]]의 장남이며, [[대조선국 명종|명종]]과 [[의정왕후]]의 양자이다 ==[[파일:현재2.png|width=30]] '''생애'''== 2023년 5월 19일 오후 11시 30분, [[정순 공주]]와 덕흥군 사이에서 동생 경원대군과 함께 쌍둥이로 태어났다. 당시 국왕이던 [[대조선국 성종|성종]]이 진평군으로 봉작하였다. 이후 조용하게 살아가던 그는 아버지 덕흥군과 남동생이던 당시 경원군과 함께 조용히 궁에서 살았다. 그러던 7월 1일, [[대조선국 성종|성종]]이 승하하고 할아버지 이연이 왕위에 올랐다. 7월 16일, 33세가 되던해 청송 심씨와 혼례를 맺었다. 하지만 진평군은 어디까지나 방계 왕족에 속하였다. 후계자 문제로 논쟁이 지속되던 가운데 7월 24일 친모인 [[정순 공주]]가 사망하며 더욱 붉어졌다. '''결국 최초로 양자 시스템'''이 이용되어 진평군은 '''주상 이연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8월 1일 '''왕세자로 내정'''되었다. 왕세자로 내정된 이후 8월 5일 왕세자 책봉식이 예정되어있었는데, 당일 갑자기 몸이 안 좋아지며 심한 고뿔로 인해 오후 9시 향년 45세로 '''훙서'''하였다. 차기 왕위계승자가 고뿔로 인해 사망한 사례는 [[조선 왕조]] 창건자인 [[대조선국 태조|태조]]의 형인 [[이벽]] 이후 약 1년만이다. 세자의 죽음으로 약 50년의 일생을 함께 보낸 경원대군과 덕흥군이 특히 슬퍼하였다고 한다. 다행히 당일 세자빈이던 의빈 심씨가 '''원손을 회임'''하고 있었기 때문에 '''후계자는 온전히 보전'''되었으며 이후 8월 17일, 자신의 아들인 세손 이황이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8월 17일, 자신의 아들인 이황은 왕위에 오른뒤 효문 세자를 '''효종(孝宗)'''으로 추존하며 '''영문장무장선광인대왕(榮文章武莊善廣仁大王)'''라는 시호를 내렸다. 효문 세자의 무덤인 효경원은 경릉으로 옮겨졌다. ==[[파일:현재2.png|width=30]] '''가족 관계'''== ---- ||<tablebordercolor=#972000; width=600px; table align=center><#972000><:> {{{#ffffff '''자녀'''}}} ||<#972000><:> {{{#ffffff '''이름'''}}} ||<#972000><:> {{{#ffffff '''출생'''}}} ||<#972000><:> {{{#ffffff '''배우자/자녀'''}}} || ||<#E6FFFF> 1남 ||<#E6FFFF> 이황 ||<#E6FFFF> 2023년 8월 6일 ||<#E6FFFF> X <br> X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대조선국 왕세자와 왕세손 (원본 보기) 분류:대조선국 왕세자와 왕세손 (원본 보기) 분류:대조선국 추존국왕 (원본 보기) 효문 세자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