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대한제국]] {{틀:박정희 내각}}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430px; width:430px; border:2px solid #000; color:#000; float:right;" |- | colspan="2" style="color:#fff; background:#000; text-align: center;" | '''{{large|10.26 사태}}'''<br>十二六事件 | Assassination of Park Chung-hee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height:150px;" | <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김재규 10.26사건 재현.png]]</div>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height:5px; background:#000; color:#fff;" | <div style="margin: -4.5px -9px">▲ 체포된 김재규가 현장검증을 하는 모습.</div>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div style="margin: -4.5px -9px">{{#multimaps: 37.583589, 126.972417 |height=150px|zoom=15}}</div>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height:5px; background:#000; color:#fff;" | <div style="margin: -4.5px -9px">▲ 사건 발생 위치 |- ! width=23% style="background:#bc002d; color:#fff;" | 발생일 | 1979년 10월 26일 금요일 19시 40분 |- ! style="background:#bc002d; color:#fff;" | 유형 | '''살인''' |- ! style="background:#bc002d; color:#fff;" | 발생 위치 | 제국익문사 안전가옥 나동 2층 연회장 |- ! style="background:#bc002d; color:#fff;" | 가해자 | [[김재규]],박선호, 박흥주, 이기주, 유성옥, 김태원 |- ! style="background:#bc002d; color:#fff;" | 사망자 | [[박정희(대한제국)|박정희]], 차지철, 정인형, 안재송, 김용섭, 김용태, 박상범 |- ! style="background:#bc002d; color:#fff;" | 결과 | 박정희 내각총리대신 사망 차지철 총리 경호실장 사망 김재규 제국익문사 국장 체포 및 사형 김계원 총리 비서실장 체포 총리 경호원 4명 사망 |- ! style="background:#bc002d; color:#fff;" | 영향 | 유신 체제의 실질적 붕괴 12.12 군사반란 발발 한성의 봄 이후 신군부의 집권 |} {{목차}} {{문단정리}} =개요= 10.26 사건, 또는 10.26 사태는 1979년 10월 26일 저녁 7시 40분경, 한성부 종로구 궁정동의 제국익문사 안전가옥 나동건물 2층 연회장에서 김재규 제국익문사 국장 및 그의 부하 경호원들이 박정희 내각총리대신, 차지철 경호실장 외 4명을 권총 저격으로 살해한 사건으로, 내각총리대신 피살 사건이다. =어록= {{명언1| 나는 야수의 심정으로 유신의 심장을 쏘았다.| - 김재규, 사건 이후 공판에서 }} {{명언1| 박정희의 죽음은 한국사 최대의 비극이다. 마치 호랑이가 날개를 꺾인 것 같은.| - 김영삼 당시 자유당 총재, 10.26 소식을 전해 들은 직후. }} {{명언1| 고인께서 군인과 대통령으로서 보여주신 애국심은 열정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고인은 국토 구석구석, 국민 생활 속속들이 관심을 가지셨습니다. 삼천리 방방곡곡 나무 한 그루, 풀 한 포기에 이르기까지 그분의 마음이 닿지 않은 곳이 없습니다. 고인은 산업화와 경제 발전에 실로 빛나는 업적을 남기셨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충격적 사건에서 뼈아픈 교훈을 얻어야 합니다. 아집과 탐욕, 증오와 폭력을 우리 가슴속에서 씻어 내고 용서와 화해, 사랑을 채워 넣어야 합니다. 하느님이 원하시는 나라는 국민이 역사의 주인공이 되는 나라, 억압과 폭력의 공포가 없는 나라입니다. | - 김수환 추기경. 1979년 11월 2일 명동성당 박정희 대통령 추도 미사에서.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Color (원본 보기) 틀:Large (원본 보기) 틀:Resize (원본 보기) 틀:명언1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문단정리 (원본 보기) 틀:박정희 내각 (원본 보기) 10.26(대한제국)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