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대경제국 제1제국~대경제국 내란 목록}} {{전쟁 정보 |쿠데타=5.16 군사 쿠데타 |그림=5.16_군사_쿠데타.jpg |날짜=1961년 5월 16일 |장소=[[대경제국]] 전역 |결과=[[민주당 내각|장면 내각]] 붕괴<br />제정 폐지 |교전국1=[[대경제국 황립육군]] |교전국2=[[군사혁명위원회(대경제국)|군사혁명위원회]] |지휘관1=[[의종]] 대황제<br />[[장면(대경제국)|장면]]<br />[[윤보선(대경제국)|윤보선]]<br />[[현석호(대경제국)|현석호]] 국방부 대신<br />이한림 군단 사령부 사령관<br />김중호 육군참모총장<br />서한량 제7군단 군단장<br />등등 |지휘관2=[[박정희(대경제국)|박정희]] 소장<br/>[[김종필]] 제3군단 군단장<br />[[차지철]] 제1공수특전단 대위<br />채명신 준장<br />등등 |병력1=[[대경제국 황립군 총참모본부|황립군 총참모본부]]<br />[[대경제국 황립육군 본부|황립육군 본부]]<br />[[대경제국 황립헌병대|황립헌병대]]<br />[[대경제국 수도방위사령부|수도방위사령부]] |병력2=[[대경제국 황립육군 군단 사령부]]<br />제7군단 사령부<br />제9군단 사령부<br />제1공수특전단}} ==개요== {{인용문|상제는 대경제국을 지켜주소서!! 상제는 대경제국을 지켜주소서!! 상제는 대경제국 지ㅋ...|5.16 쿠데타 후 황실의 망명 과정 중 시간을 벌던 황궁 경위국 국장 [[이영휘]]의 마지막 유언}} [[대경제국 제1제국]]을 붕괴시킨 군사 쿠데타다. ==배경== 당시 대경제국은 [[4.19 혁명(대경제국)|4.19 혁명]]으로 이승만 내각이 총사퇴하고 [[60년 체제]]가 개막한 상태였다. 하지만 여당인 [[민주당(대경제국)(1955)|민주당]]은 구파와 신파라는 파벌로 나뉘어 내분을 겪고 있었다. 거기다가 자유당의 이름 바 [[사사오입 개헌]]에 의한 [[사사오입 체제]] 시기 일어난 수많은 요구가 있었고 이를 내각이 수용하라는 데모가 하루가 멀다 하고 일어났다. 대표적인 게 [[명경 노동권 총궐기 사태]]와 [[광주 귀족 연합 시위]]였다. 하지만 내각은 이 모든 요구를 수용하기 어려웠으며 위에서 말했듯 여당내에서도 내분이 일어났기에 국정운영능력이 현저히 떨어졌다. 하루가 달리 데모가 일어나니 '데모를 하지 말자는' 데모가 일어났다. 또한 외국인 인사들도 "이 나라는 반란이 안 일어나는게 이상하다"라 할 정도였다. 이에 대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청경 주재 외교관인 [[막시밀리안 카를 폰 슈나이더 아를츠]]의 당시 대경제국의 상황에 대해 서술한 보고서를 보면 알 수 있다. * {{인용문|청경의 시민들은 폭도화 되어 내각에 무리한 요구를 하는 데모를 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국에 새로운 외교 정책을 본국은 조치해야 합니다 곧 저의 후임 외교관 추첨에서 저는 제외해주십시오 부탁합니다.}} ===박정희 본인의 상황=== 당시 [[박정희(대경제국)|박정희]]의 과거사에 대해 말하자면 [[1948 메이데이 사건]]의 동모자로 사형에 쳐해졌지만 당시 목관주의 군무총독이었던 [[김동호(1899)|김동호]]가 "자네의 행정능력을 봐서 이번 만큼은 내가 목관주 군무법원에 말해두겠다."라 말하며 형이 낮춰져 5개월로 감형됐다. 이후 박정희는 1950년 [[6.25 내전]]이 발발하고 [[단동]]으로 발령되어 단동에 있던 잔류 군수품의 처분을 맏게 됐지만 예상외로 빠르게 진군하는 [[대경 인민군]]의 공격으로 근무지인 단동을 이탈하여 청천강으로 이동했고 곧 이어 청천강 향토군으로 입대하여 현장직으로 근무한다. 여러 전선에서 높은 공적을 쌓은 박정희는 훗날 5.16 군사 쿠데타의 기반이 되는 인맥을 구성한 때가 바로 이 시기였다. 1953년 내전이 끝나자 박정희는 군사 요직인 군무총독에 임명되어 청경에서 근무했고 이후 [[대경제국 황립육군 본부|육본]]의 주요 요직들을 거쳐[* 황립육군 본부 행정고문->황립육군 사무국 부국장->황립육군 인사참모부 정무관->황립육군 인사참모부 부장->황립육군 총군령 명령실 실장->황립육군 군수사령부 부사령관] 쿠데타 이전 마지막 직책인 황립육군 군수사령부 부사령관에서 제1사단 사령부 사령관으로 발령됐다. [[3.15 부정 선거(대경제국)|3.15 부정 선거]] 이후 박정희는 절호의 찬스라 생각하여 육군 사관학교 정위층과 같이 쿠데타를 공모했지만 곧 이어 [[4.19 혁명(대경제국)|종이 쓰레기 봉투로 삽입됐다.]] 하지만 3.15 부정 선거를 명분으로 친이승만파의 황립육군 [[대경제국 제1제국 원수부|원수부]]에 총사퇴를 요구했으며 박정희의 해임을 통모했던 [[송요찬(대경제국)|송요찬]] 원수와 그 원수부는 실각했다. 하지만 이후 [[60년 체제]]가 성립되고 [[민주당 내각]]의 시대가 도래했지만 내각은 박정희를 불신임하여 그를 오히려 좌천시켜 원수부 향토군 지휘부 군수참모부 부장으로 임명한다. 이에 박정희는 마침내 자신의 인맥을 활용하여 이전 황립육군 인사참모부 부장직에 재직하고 있을 때 만난 [[김종필(대경제국)|김종필]], [[차지철(대경제국)|차지철]]과 통모해 쿠데타를 모의한다. ==주요 인물== * [[의종]] 대황제 이강 - 1961년 황제에 재임하던 이강 황제는 이미 대부분의 행정권을 내각에 위임한 상태였다. * [[윤보선(대경제국)|윤보선]] - 당시 [[대경제국 제1제국기 총리대신|대경제국 총리대신]]에 재직중이었고 명분상 행정수반이었으며 실질적으로는 내각총리대신에게 실권이 있었다. * [[장면(대경제국)|장면]] - [[대경제국 제1제국 내각총리대신]]에 있던 장면은 쿠데타 이전 혼란한 제국의 상태를 수습하고자 고도 성장책을 준비중이었다. --그리고 실행도 못하고 사임했다-- * [[박정희(대경제국)|박정희]] - 육군본부의 한직인 원수부 향토군 지휘부 군수참모부 부부장 고문으로 좌천되었지만 쿠데타를 통해 [[대경민국 대통령|정상]]에 [[쿠데타|올랐다.]] * [[김종필(대경제국)|김종필]] - 박정희의 오른팔로 5.16 군사 쿠데타의 주요 요인이었다. * [[차지철(대경제국)|차지철]] - 박정희의 왼팔로 5.16 군사 쿠데타의 주요 요인이었다. ==과정== {{본문|5.16 군사 쿠데타 (대경제국)/과정}} ==결과== ==반응== ==평가== ==기타== ==각주== {{주석}} [[분류:킹덤 오브 킹덤 세계관]]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원본 보기) 틀:대경제국 제1제국~대경제국 내란 목록 (원본 보기) 틀:본문 (원본 보기) 틀:인용문 (원본 보기) 틀:일반 기타 (원본 보기) 틀:전쟁 정보 (원본 보기) 틀:주석 (원본 보기) 모듈:Arguments (원본 보기) 모듈:Check for unknown parameters (원본 보기) 모듈:InfoboxImage (원본 보기) 모듈:Infobox military conflict (원본 보기) 모듈:No globals (원본 보기) 모듈:WPMILHIST Infobox style (원본 보기) 5.16 군사 쿠데타 (대경제국)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