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다르 1세(식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4번째 줄: 24번째 줄:
 
|-
 
|-
 
| row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dd0000" | <center>'''재위'''</center>
 
| row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dd0000" | <center>'''재위'''</center>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003893" | [[유고슬라비아 왕국(식혜)|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의 국왕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003893" | {{글씨 색|#fff|[[유고슬라비아 왕국(식혜)|{{글씨 색|#fff||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의 국왕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1921년 8월 16일 ~ 1929년 10월 3일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1921년 8월 16일 ~ 1929년 10월 3일
 
|-
 
|-
52번째 줄: 51번째 줄: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dd0000;" | <center>'''어머니'''</center>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dd0000;" | <center>'''어머니'''</center>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몬테네그로의 류비카 공주(식혜)|몬테네그로의 류비카]]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몬테네그로의 류비카(식혜)|몬테네그로의 류비카]]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dd0000;" | <center>'''형제'''</center>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width: 25%; background: #dd0000;" | <center>'''형제'''</center>
90번째 줄: 89번째 줄:
 
알렉산다르는 부왕 [[페타르 1세(식혜)|페타르 1세]]가 오브레노비치 왕조에 밀려 망명객이던 시절인 1888년 12월 16일 몬테네그로 공국 [[체티네(식혜)|체티네]]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당시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은 정치적 망명 중이었고, 가족은 유럽 전역에 흩어져 있었기에 그는 세르비아로 돌아갈 수 없었다.
 
알렉산다르는 부왕 [[페타르 1세(식혜)|페타르 1세]]가 오브레노비치 왕조에 밀려 망명객이던 시절인 1888년 12월 16일 몬테네그로 공국 [[체티네(식혜)|체티네]]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당시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은 정치적 망명 중이었고, 가족은 유럽 전역에 흩어져 있었기에 그는 세르비아로 돌아갈 수 없었다.
  
1890년 어머니 [[몬테네그로의 류비카 공주(식혜)|류비카 공주]]가 남동생 안드레이를 낳다가 합병증으로 사망했을 때 알렉산다르는 겨우 두 살이었다. 그는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몬테네그로에서 보냈는데, 1894년 아버지 페타르 1세가 알렉산다르를 포함한 네 명의 자녀를 제네바로 데려갔다. 그곳에서 초등 교육을 마치고, 이후 그의 형 조르제와 함께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군사 교육을 받았다.
+
1890년 어머니 [[몬테네그로의 류비카(식혜)|류비카 공주]]가 남동생 안드레이를 낳다가 합병증으로 사망했을 때 알렉산다르는 겨우 두 살이었다. 그는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몬테네그로에서 보냈는데, 1894년 아버지 페타르 1세가 알렉산다르를 포함한 네 명의 자녀를 제네바로 데려갔다. 그곳에서 초등 교육을 마치고, 이후 그의 형 조르제와 함께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군사 교육을 받았다.
  
 
1903년, 형 조르제와 알렉산다르가 학교에 다니고 있을 때 세르비아에서는 오브레노비치 왕조의 국왕 알렉산다르와 드라가 왕비가 살해되는 [[5월 쿠데타(식혜)|5월 쿠데타]]가 발생했다. 그 덕분에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은 세르비아의 왕좌를 되찾았다. 알렉산다르의 아버지 페타르 1세는 58세의 나이에 세르비아의 국왕이 되었고, 조르제와 알렉산다르는 공부를 위해 세르비아로 돌아갔다. 알렉산다르의 15번째 생일 이후 페타르 1세는 그를 왕립군에 입대시켰다.
 
1903년, 형 조르제와 알렉산다르가 학교에 다니고 있을 때 세르비아에서는 오브레노비치 왕조의 국왕 알렉산다르와 드라가 왕비가 살해되는 [[5월 쿠데타(식혜)|5월 쿠데타]]가 발생했다. 그 덕분에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은 세르비아의 왕좌를 되찾았다. 알렉산다르의 아버지 페타르 1세는 58세의 나이에 세르비아의 국왕이 되었고, 조르제와 알렉산다르는 공부를 위해 세르비아로 돌아갔다. 알렉산다르의 15번째 생일 이후 페타르 1세는 그를 왕립군에 입대시켰다.

2022년 12월 20일 (화) 21:15 판

유고슬라비아 국왕 휘장.png
유고슬라비아 국왕
[ 펼치기 · 접기 ]
유고슬라비아 왕국 제2대 국왕
알렉산다르 1세
Александар I

Kralj aleksandar1.jpg
왕호
알렉산다르 1세
Александар I
출생
1888년 12월 16일
몬테네그로 공국 체티네
사망
1934년 10월 9일 (45세)
프랑스 마르세유
묘소
세르비아 토폴라 오플레나츠 세인트 조지 성당
재위
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의 국왕 1921년 8월 16일 ~ 1929년 10월 3일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국왕
1929년 10월 3일 ~ 1934년 10월 9일
이름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Александар Карађорђевић
가문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배우자
루마니아의 마리야
자녀
페타르 2세, 토미슬라브, 안드레이
아버지
페타르 1세
어머니
몬테네그로의 류비카
형제
옐레나, 밀레나, 조르제, 안드레이
종교
세르비아 정교회

Dbcd788fe1209602450ffda36606dc24.jpg

공식 초상화

개요

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의 국왕(1921~1929)이자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제2대 국왕. 남슬라브 민족을 통합해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세워 통일왕 알렉산다르(Александар Ујединитељ)라고도 불린다.

작위

Kingdom of Yugoslavia coat of arms.pngRoyal Monogram of King Alexander I Yugoslavia.png
국왕 문장모노그램
  • 세르비아의 알렉산드르 2세 카라조르제비치 전하 Његово Светло Височанство кнез Александар II Карађорђевић од Србије (1888년 12월 16일 ~ 1903년 6월 15일)
  • 세르비아의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왕자 전하 Његово Краљевско Височанство Принц Александар Карађорђевић од Србије (1903년 6월 15일 ~ 1909년 3월 27일)
  • 세르비아의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왕세자 전하 Његово Краљевско Височанство Принц Престолонаследник Александар Карађорђевић од Србије (1909년 3월 27일 ~ 1918년 12월 1일)
  • 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의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왕세자 전하 Његово Краљевско Височанство Принц Престолонаследник Александар Карађорђевић од СХС (1918년 12월 1일 ~ 1921년 8월 16일)
  • 슬로벤-크로아트-세르브 왕국의 알렉산다르 1세 카라조르제비치 국왕 폐하 Његово Величанство краљ Александар I Карађорђевић од СХС (1921년 8월 16일 ~ 1929년 1월 6일)
  •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알렉산다르 1세 카라조르제비치 국왕 폐하 Његово Величанство витешки краљ Александар I Карађорђевић од Југославије (1929년 1월 6일 ~ 1934년 10월 9일)

생애

어린 시절

알렉산다르는 부왕 페타르 1세가 오브레노비치 왕조에 밀려 망명객이던 시절인 1888년 12월 16일 몬테네그로 공국 체티네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당시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은 정치적 망명 중이었고, 가족은 유럽 전역에 흩어져 있었기에 그는 세르비아로 돌아갈 수 없었다.

1890년 어머니 류비카 공주가 남동생 안드레이를 낳다가 합병증으로 사망했을 때 알렉산다르는 겨우 두 살이었다. 그는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몬테네그로에서 보냈는데, 1894년 아버지 페타르 1세가 알렉산다르를 포함한 네 명의 자녀를 제네바로 데려갔다. 그곳에서 초등 교육을 마치고, 이후 그의 형 조르제와 함께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군사 교육을 받았다.

1903년, 형 조르제와 알렉산다르가 학교에 다니고 있을 때 세르비아에서는 오브레노비치 왕조의 국왕 알렉산다르와 드라가 왕비가 살해되는 5월 쿠데타가 발생했다. 그 덕분에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은 세르비아의 왕좌를 되찾았다. 알렉산다르의 아버지 페타르 1세는 58세의 나이에 세르비아의 국왕이 되었고, 조르제와 알렉산다르는 공부를 위해 세르비아로 돌아갔다. 알렉산다르의 15번째 생일 이후 페타르 1세는 그를 왕립군에 입대시켰다.

왕세자가 되다

본래 차남이라 왕위를 계승할 가능성이 낮았으나, 원래 왕세자였던 형 조르제가 부왕과 의견 대립이 심한데다 정신질환 때문에 폭력적인 성격이었고 결정적으로 시종을 죽이는 바람에 엄청난 추문을 불러일으켜 왕세자에서 폐위당하자, 1909년 알렉산다르가 대신 왕위 계승자로 지명되었다.

제1차 발칸 전쟁을 앞두고 알렉산다르는 외교관 역할을 맡아 소피아를 방문했다. 그곳에서 발칸 반도에서 오스만을 몰아내기 위한 발칸 동맹에 대해 불가리아의 차르 페르디난드와 만났다. 그러나 불가리아와 세르비아 모두 마케도니아 지역에 대한 입장 차이로 경쟁을 하고 있었기에 페르디난드와의 회담은 불발되었다.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대전

국왕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