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구조) |
편집 요약 없음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모음=== | ===모음=== | ||
||<|2><rowbgcolor=white,#1f2023> ||<-2> [[전설모음|{{{#373a3c,#ddd '''전설''' }}}]] ||<-2> [[근전설모음|{{{#373a3c,#ddd '''근전설'''}}}]] ||<-2> [[중설모음|{{{#373a3c,#ddd '''중설'''}}}]] ||<-2> [[근후설모음|{{{#373a3c,#ddd '''근후설'''}}}]] ||<-2> [[후설모음|{{{#373a3c,#ddd '''후설'''}}}]] || | |||
|| [[평순모음|{{{#373a3c,#ddd '''평''' }}}]] || [[원순모음|{{{#373a3c,#ddd '''원''' }}}]] || [[평순모음|{{{#373a3c,#ddd '''평''' }}}]] || [[원순모음|{{{#373a3c,#ddd '''원''' }}}]] || [[평순모음|{{{#373a3c,#ddd '''평''' }}}]] || [[원순모음|{{{#373a3c,#ddd '''원''' }}}]] || [[평순모음|{{{#373a3c,#ddd '''평''' }}}]] || [[원순모음|{{{#373a3c,#ddd '''원''' }}}]] || [[평순모음|{{{#373a3c,#ddd '''평''' }}}]] || [[원순모음|{{{#373a3c,#ddd '''원''' }}}]] || | |||
||<colbgcolor=white,#1f2023> [[고모음|{{{#373a3c,#ddd '''고'''}}}]] || i || || || || || || || || || u || | |||
|| [[근고모음|{{{#373a3c,#ddd '''근고'''}}}]] || || || ɪ || || || ||<-2> ʊ || || || | |||
|| [[중고모음|{{{#373a3c,#ddd '''중고'''}}}]] || e || || || || || || || || || o || | |||
|| [[중모음|{{{#373a3c,#ddd '''중'''}}}]] || || || || ||<-2> ə || || || || || | |||
|| [[중저모음|{{{#373a3c,#ddd '''중저'''}}}]] || ɛ || || || || ɜ|| || || || ʌ || ɔ || | |||
|| [[근저모음|{{{#373a3c,#ddd '''근저'''}}}]] ||<-2> æ || || || || || || || || || | |||
|| [[저모음|{{{#373a3c,#ddd '''저'''}}}]] || a || || || || || || || || ɑ || ɒ || | |||
===문법=== | ===문법=== | ||
===품사론=== | ===품사론=== | ||
사사어의 품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 총 아홉 가지다. | 사사어의 품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 총 아홉 가지다. | ||
===문장 구조=== | ===문장 구조=== |
2023년 1월 25일 (수) 23:13 판
사용 국가 | 없음 |
---|---|
사용 지역 | 없음 |
언어 인구 | 0명 |
어순 |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형용사-명사 후치사 사용 |
언어 계통 | 한국어족 사사어 사사어 |
공용어 및 표준 | |
표준 | 없음 |
언어 부호 | |
ISO 639-1 | sa |
ISO 639-2 | sa |
ISO 639-3 | ssa |
발음
자음
양순음 | 순치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
비음 | m | n̪ | n | |||||||||||||
파열음 | p | b | t̪ | d̪ | t | d | ɢ | |||||||||
탄음 | ɾ̪ | ɾ | ||||||||||||||
치찰음 | s̟ | s̺ s̻ | ||||||||||||||
비 치찰 마찰음 | θ | θ̱ | χ | ʕ | ||||||||||||
접근음 | ʋ̟ | j | ʁ̞ | |||||||||||||
설측 마찰음 | ɮ̪ | ɮ | ||||||||||||||
양순 경구개음 | 양순 연구개음 | |||||||||||||||
무 | 유 | 무 | 유 | |||||||||||||
접근음 | ɥ | w |
빨간색으로 표시된건 변이음이다.
모음
문법
품사론
사사어의 품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 총 아홉 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