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령 인도(Rtyuitygr):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2번째 줄: 42번째 줄:
| 행정구역3 = 840구, 890현
| 행정구역3 = 840구, 890현
| 정치체제 = 전제군주제[* 명목상], [총독제
| 정치체제 = 전제군주제[* 명목상], [총독제
| 국가원수 = --찰스 3세--[* 명목상] , 베네딕트 레이몬드 후작
| 국가원수 = --찰스 3세--[* 명목상] , 베네딕트 레이몬드 백작
| 정부수반 = 베네딕트 레이몬드 후작
| 정부수반 = 베네딕트 레이몬드 후작
| 행정각료 명칭1 = 인도 총독
| 행정각료 명칭1 = 인도 총독
| 행정각료1 = 베네딕트 레이몬드
| 행정각료1 = 베네딕트 레이몬드
| 행정각료 명칭2 = 총독 보좌관[* 이 직위는 인도인만이 임명됨]
| 행정각료 명칭2 = 총독 보좌관
| 행정각료2 = 알리 모하메드
| 행정각료2 = 다니엘 데스몬드
| 행정각료 명칭3 = 군사부장
| 행정각료 명칭3 = 군사부장
| 행정각료3 = 에드워드 존슨
| 행정각료3 = 에드워드 존슨
65번째 줄: 65번째 줄:
| 시간대 = UTC+2
| 시간대 = UTC+2
| 도량형 = SI 단위
| 도량형 = SI 단위
| UN 가입여부 = 미가입
| UN 가입여부 = 가입
| UN 가입일 = -
| UN 가입일 = 1920년(국제 연맹 창설 원년 멤버)
| ccTLD = .BTIND
| ccTLD = .BTIND
| 국가코드 = IND
| 국가코드 = IND
91번째 줄: 91번째 줄:
[[영국령 인도(Rtyuitygr)/정치]] 문서 참조.
[[영국령 인도(Rtyuitygr)/정치]] 문서 참조.


== 역대 총독 ==
== 상징==
1대 캐닝 백작
=== 국기 ===
(1st Earl Canning)
||<width=300px> [[파일:인도 제국 국기.png]] ||
찰스 존 캐닝
=== 국장 ===
(Charles John Canning)
||<width=300px> [[파일:인도 제국 국장.png]] ||
1858. 11. 1.
 
1862. 3. 21.
== 총독부 관료 ==
8대 엘긴 백작
{{논설문 양식
(8th Earl of Elgin)
| 제목 = 인도 총독부 현직 관료
제임스 브루스
| 내용 = 인도 총독 베네딕트 레이몬드[* 델리의 레이몬드 백작]
(James Bruce)
총독 보좌관 다니엘 데스몬드[* 뭄바이의 데스몬드 백작]
1862. 3. 21.
군사부장 에드워드 존슨[* 카불의 존슨 백작]
1863. 11. 20.
경찰부장 헨리 프레데릭[* 이슬라마바드의 프레데릭 백작]
1대 막달라의 네이피어 남작
}}
(1st Baron Napier of Magdala)
로버트 코널리스 네이피어
(Robert Cornelis Napier)
1863. 11. 21.
1863. 12. 2.
윌리엄 토머스 데니슨 경
(Sir William Thomas Denison)
1863. 12. 2.
1864. 1 12.
1대 로런스 남작
(1st Baron Lawrence)
존 레어드 메어 로런스
(John Laird Mair Lawrence)
1864. 1. 12.
1869. 1. 12.
6대 마요 백작
(6th Earl of Mayo)
리처드 사우스웰 버크
(Richard Southwell Bourke)
1869. 1. 12.
1872. 2. 8.
존 스트레이치 경 [63]
(Sir John Strachey)
1872. 2. 9.
1872. 2. 23.
10대 네이피어 경
(10th Lord Napier)
프랜시스 네이피어[64]
(Francis Napier)
1872. 2. 24.
1872. 5. 3.
1대 노스브룩 백작
(1st Earl of Northbrook)
토마스 조지 베어링
(Thomas George Baring)
1872. 5. 3.
1876. 4. 12.
1대 리턴 백작
(1st Earl of Lytton)
에드워드 로버트 리튼 불워리튼
(Edward Robert Lytton Bulwer-Lytton)
1876. 4. 12.
1880. 6. 8.
1대 리폰 후작
(1st Marquess of Ripon)
조지 프레더릭 새뮤얼 로빈슨
(George Frederick Samuel Robinson)
1880. 6. 8.
1884. 12. 13.
1대 더퍼린과 아바 후작
(1st Marquess of Dufferin and Ava)
프레더릭 해밀턴템플블랙우드
(Frederick Hamilton
-Temple-Blackwood)
1884. 12. 13.
1888. 12. 10.
5대 랜스다운 후작[65]
(5th Marquess of Lansdowne)
헨리 찰스 키스 패티피츠모리스
(Henry Charles Keith Petty-Fitzmaurice)
1888. 12. 10.
1894. 10. 11.
9대 엘긴 백작
(9th Earl of Elgin)
빅터 알렉산더 브루스
(Victor Alexander Bruce)
1894. 10. 11.
1899. 1. 6.
1대 케들스턴의 커즌 후작[66]
(1st Marquess Curzon of Kedleston)
조지 너새니얼 커즌
(George Nathaniel Curzon)
1899. 1. 6.
1905. 11. 18.
4대 민토 백작
(4th Earl of Minto)
길버트 존 엘리엇머리킨마운드
(Gilbert John Elliot-Murray-Kynynmound)
1905. 11. 18.
1910. 11. 23.
1대 펜스허스트의 하딩 남작
(1st Baron Hardinge of Penshurst)
찰스 하딩
(Charles Hardinge)
1910. 11. 23.
1916. 4. 4.
1대 첼름스퍼드 자작
(1st Viscount Chelmsford)
프레더릭 네이피어 세시저
(Frederic John Napier Thesiger)
1916. 4. 4.
1921. 4. 2.
1대 리딩 후작
(1st Marquess of Reading)
루퍼스 아이작스
(Rufus Isaacs)
1921. 4. 2.
1926. 4. 3.
1대 핼리팩스 백작
(1st Earl of Halifax)[67]
에드워드 프레더릭 린들리 우드
(Edward Frederick Lindley Wood)
1926. 4. 3.
1931. 4. 18.
1대 윌링든 후작
(1st Marquess of Willingdon)
프리먼 프리먼토머스
(Freeman Freeman-Thomas)
1931. 4. 18.
1936. 4. 18.
2대 린리스고 후작
(2nd Marquess of Linlithgow)
빅터 알렉산더 존 호프
(Victor Alexander John Hope)
1936. 4. 18.
1943. 10. 1.
1대 웨이벌 백작
(1st Earl Wavell)
아치볼드 퍼시벌 웨이벌
(Archibald Percival Wavell)
1943. 10. 1.
1947. 2. 21.
1대 버마의 마운트배튼 백작[68]
(1st Earl Mountbatten of Burma)
루이 프랜시스 앨버트 빅터 니콜라스 마운트배튼
(Louis Francis Albert Victor Nicholas Mountbatten)
1947. 2. 21.
1947. 8. 15.


== 교통 ==
== 교통 ==
인도는 거대한 아대륙을 통치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교통망이 매우 중요한 국가이다. 하지만 기술과 자본 관련 문제로 인해 모든 교통 기술이 빈약하다시피 해 철도에 올인되어있는 상태이다.
인도는 거대한 아대륙을 통치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교통망이 매우 중요한 국가이다. 하지만 기술과 자본 관련 문제로 인해 모든 교통 기술이 빈약하다시피 해 철도에 올인되어있는 상태이다.


자세한 내용은 [[영국령 인도(Rtyuitygr)/교통]] 문서를 참조.
자세한 내용은 [[영국령 인도(Rtyuitygr)/교통]] 문서 참조.

2023년 2월 4일 (토) 17:26 기준 최신판

인도
India[* 영어][* Crown rule in India나 Direct rule in India로도 불렸다. 굳이 Crown rule이나 Direct rule이라고 하는 이유는, 바로 Company rule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른 명칭으로는 British Raj나 Indian Empire로 불렸다. 현대 인도에서는 British Raj(ब्रिटिश राज)라고 부른다.]/ इंडिया[* 힌두어]/ ہند[* 우르드어]
인도 제국 국기.png 인도 제국 국장.png
국기 국장
Heaven's Light Our Guide
천국의 빛이 우리를 인도한다
상징
국가 하느님, 국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국화 없음
국조 없음
국목 없음
위치
인도 제국 위치2.png
역사
1858년 영국령 인도 성립

1936년 델리 협정 1968년 델리 - 런던 조약

지리
면적 438,317 km²
수도 델리
최대도시 델리
접경국
인문환경
인구 전체인구 41,179,358명
민족구성 인도인 90% 영국인 10%
인구밀도
출산율 5.23명
종교 이슬람,힌두교,가톨릭
종교 분포 이슬람 709%, 힌두교 20%, 가톨릭 10%
공용어 영어,힌디어
지역어 영어, 힌디어
군대 영국령 인도군
행정구역
1급 행정구역 1특별시, 6광역시, 2특별자치시, 1특별자치도, 12도
2급 행정구역 75시, 82군, 69자치구
3급 행정구역 840구, 890현
정치
정치체제 전제군주제 명목상, [총독제
국가원수 찰스 3세 명목상 , 베네딕트 레이몬드 백작
국가요인 정부수반 베네딕트 레이몬드 후작
인도 총독 베네딕트 레이몬드
총독 보좌관 다니엘 데스몬드
군사부장 에드워드 존슨
경찰부장 헨리 프레데릭
여당 인도 국민회의
경제
경제체제 시장경제
명목 GDP GDP
1인당 GDP
수출입액 수출액
수입액
외환보유액
신용 등급 없음
화폐 공식화폐 영국령 인도 루피
ISO 4217
단위
법정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2
도량형 SI 단위
외교
UN 가입 가입
UN 가입일 1920년(국제 연맹 창설 원년 멤버)
ccTLD
.BTIND
국가코드
IND
국제전화코드
+743
인도 제국 국장.png

개요

영국령 인도 혹은 인도 제국은 인도 아대륙에 위치한 영국의 식민지이다.

역사

| 인도 제국 국기.png

국장

인도 제국 국장.png

총독부 관료

인도 총독부 현직 관료
-
인도 총독 베네딕트 레이몬드 델리의 레이몬드 백작

총독 보좌관 다니엘 데스몬드 뭄바이의 데스몬드 백작 군사부장 에드워드 존슨 카불의 존슨 백작 경찰부장 헨리 프레데릭 이슬라마바드의 프레데릭 백작

교통

인도는 거대한 아대륙을 통치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교통망이 매우 중요한 국가이다. 하지만 기술과 자본 관련 문제로 인해 모든 교통 기술이 빈약하다시피 해 철도에 올인되어있는 상태이다.

자세한 내용은 영국령 인도(Rtyuitygr)/교통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