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제국(Rtyuitygr)"의 두 판 사이의 차이

99번째 줄: 99번째 줄:
  
 
=== 근현대 ===
 
=== 근현대 ===
에티오피아의 근현대사는 테오드로스 2세에 의해서 시작된다. 대대적인 개혁이 이 시대때에 이루어졌다.그는 에티오피아를 부족국가에서 어였한 중앙집권국가로 만들었다. 그러나 테오드로스 2세의 근대화 작업은 그가 원했던만큼의 결실을 내지 못했다. 테오드로스 2세는 군사 공장을 설치하고 지방 군벌들을 억눌렀는데, 이 과정에서 지나치게 막대한 교회의 토지를 몰수하려 하자 교회의 반발을 겪으며 통제력이 심각하게 약화되었다. 또한 점차 에티오피아 지방에 마수를 뻗쳐오는 영국 역시 테오드로스 2세의 골치를 썩였다.
+
에티오피아의 근현대사는 테오드로스 2세에 의해서 시작된다. 대대적인 개혁이 이 시대때에 이루어졌다.그는 에티오피아를 부족국가에서 어였한 중앙집권국가로 만들었다. 그러나 테오드로스 2세의 근대화 작업은 그가 원했던만큼의 결실을 내지 못했다. 테오드로스 2세는 군사 공장을 설치하고 지방 군벌들을 억눌렀는데, 이 과정에서 지나치게 막대한 교회의 토지를 몰수하려 하자 교회의 반발을 겪으며 통제력이 심각하게 약화되었다.  
  
이미 테오드로스 2세는 당시 빅토리아 여왕과 편지를 주고받는 등 서구 열강 세력들과 교류를 하고 있었다. 그는 여왕에게 근대화를 위한 기술 인력 파견을 요청했는데, 영국이 기술 인력은 보내지 않고 쓸데없는 선교사 등만을 보내자 분노해 영국 사절단을 가두었다. 에티오피아를 집어삼키거나 영토를 빼앗을 기회를 노리고 있었던 영국은 이 기회를 틈타 로버트 네이피어 경이 이끄는 3만 명이 넘는 대군을 파견해 에티오피아를 침공했다. 평소 테오드로스 2세의 중앙집권적인 정책에 불만이 많던 지방 토후들과 교회들은 영국군에 협력했고, 테오드로스 2세는 고립무원의 상태에 처했다. 테오드로스 2세는 친히 군대를 이끌고 영국 군대를 내쫓으려 나갔으나 마그달라 지방에서 대패하고야 말았다. 테오드로스 2세는 수중에 4천도 안되는 병력 밖에 남지 않자 실의에 빠져 1868년 권총으로 자살하면서 생을 마감했다. 황제가 죽은 이후 영국군은 에티오피아의 수도 곤다르를 함락, 약탈했고 이 재물들을 운송하기 위해 15마리의 코끼리와 300마리가 넘는 당나귀들이 필요했을 정도라고 한다. 영국은 수단 남부를 차지하였고 이탈리아, 프랑스와 소말릴란드를 분할하였다. 그나마 영국이 에티오피아를 완전히 식민화하지 않았다는 점이 다행이었다.
+
또한 아프리카로 눈길을 돌리는 영국에 큰 위기를 느꼈는데, 이미 테오드로스 2세는 당시 빅토리아 여왕과 편지를 주고받는 등 서구 열강 세력들과 교류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영국이 요청한 기술 인력은 안보내고 선교사 무리만 잔뜩 보내서 자기네들 신들 믿으라 하니 에티오피아 입장에선 화가 나고도 남을 상황이였다.
  
이후 에티오피아 황위는 테클레 기요르기스 2세를 거쳐 요한네스 4세에게 넘어갔다. 요한네스 4세는 서구 열강들의 잠식에 맞서 에티오피아를 단결시키는 데에 총력을 다했으며, 오스만 제국 치하의 이집트와 전쟁을 치러 승리를 거두고 에리트레아 지역을 병합하는 등 여러 업적들을 남겼다. 그러나 이렇게 팽창적인 외교 정책을 펼치던 요한네스 4세는 수단의 무슬림 군대와 싸우던 중 갈라바트 전투에서 전사했고, 그의 뒤를 이어 1889년 즉위한 사람이 바로 메넬리크 2세였다.
+
이후 영국에 침략에 당시 수도였던 곤다르가 함락되고, 황제인 테오드로스 2세가 권총자살하며 에티오피아의 근현대사는 혼돈의 카오스로 빠지게 된다.
 +
 
 +
==== 메넬리크 2세 ====
 +
영국과의 전쟁에서 테오드로스 2세가 죽은후 즉위한 황제가 그 유명한 메넬리크 2세이다. 메넬리크 2세는 에티오피아를 명실상부 아프리카의 강국으로 만드는데에 일조했으며, 에티오피아의 전통적인 영토를 확장시켜, 에리트레아 지방을 에티오피아의 영토로 편입시켰다.
 +
 
 +
하지만 그런 메넬리크 2세도 시간 앞에선 장사없었는지, 말년이 되어 연로,쇠약해졌다. 결국 그는 자신의 외손자 이야수 5세를 후대 황제로 앉히고, 자신은 선황으로 물러났다.
 +
 
 +
==== 이야수 5세 ====
 +
성군 메넬리크 2세의 뒤를 이은 이야수 5세는 에티오피아 황제 중에서도 망군이였다. 이야수 5세는 메넬리크 5세가 붙혀준 정치 실력이 좋은 고관들을 무시하고, 자신의 충동적인 성격으로 정치를 해나갔고, 에티오피아 국민의 공분을 사게된다.
 +
 
 +
이야수 5세는 그런 상황에서 자신의 입지를 보전키 위해 노력은 커녕 그나마있던 자신의 지지층을 무너트리는 최악의 실수를 하게 되는데, 바로 '''에티오피아 정교회가 국교인 국가이자,이슬람과 대립이 심한 국가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하기'''였는데, 이 실수를 통해 있던 지지층도 무너진다.
 +
 
 +
이야수 5세는 그걸로도 부족했는지 당시 벌어졌던 1차 세계대전에서 동맹국의 편을 들어 참전하려 하는 행보를 보였고, 결국 협상국이였던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등의 서구 열강의 지원을 받은 황실과 정교회, 군대에 의해 이야수 5세는 폐위된다.
 +
 
 +
==== 자우디투 여제 ====
 +
메넬리크 2세의 딸이였던 자우디투가 이야수 5세의 뒤를 이어 에티오피아의 느구서 너거스트, 즉 황제로 즉위했다. 자우디투는 즉위 직후, 쫒겨난 이야수를 동정한건지, 아니면 단순히 자비로운 황제 이미지 메이킹이였는지 모르지만 이야수를 유페만 하고 다른 처벌은 하지않았다.
 +
 
 +
자우디투는 이후 에티오피아를 이끌다, 종합적인 지병으로 사망하고, 하일레 셀라시에에게 황위를 물려주게 된다.
 +
 
 +
==== 하일레 셀라시에 ====

2023년 2월 18일 (토) 00:41 판

에티오피아 제국
የኢትዮጵያ ንጉሠ ነገሥት መንግሥተ

에티오피아 제국 국기.png 에티오피아 제국 국장.png
국기 국장
ኢትዮጵያ ፡ ታበጽ ፡ እደዊሃ ፡ ሃበ ፡ እግዚአብሔር
에티오피아는 하나님을 향해 그 손을 들리로다
상징
국가 에티오피아여 행복하라
국화 칼라디움
국조 사자
국목 없음
위치
800px 에티오피아 제국 지도.png
역사
1270년 건국

1894-95년 이탈리아와 전쟁
1931년 헌법 제정
1936년 이탈리아 강점
1941년 이탈리아 강점에서 해방
1974년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 퇴위
1975년 메넬리크 3세 즉위

지리
면적 2,149,690km²
수도 아디스아바바
최대도시 아디스아바바
접경국 소말리아,케냐,수단 등등
인문환경
인구 전체인구 124,076,226명
민족구성 오로모인 (34.5%) 암하라인 (26.9%) 티그라이인 (6.2%) 소말리인 (6.1%)
인구밀도 92.7명/km²
출산율 4.15명
종교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종교 분포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43.5%) 개신교 (18.6%) 이슬람교 (33.9%) 토착 신앙 (2.6%)
공용어 암하라어,그으즈어
지역어 암하라어, 그으즈어
군대 에티오피아 제국군
행정구역
1급 행정구역 주 12개[1]
2급 행정구역 특별시
3급 행정구역 자유 경제 구역[2]
정치
정치체제 입헌군주제[3]
국가원수 메넬리크 3세
국가요인 정부수반 메넬리크 3세
느구서 너거스트 메넬리크 3세
여당
경제
경제체제 자본주의
명목 GDP GDP
1인당 GDP
수출입액 수출액
수입액
외환보유액
신용 등급 매우 높음
화폐 공식화폐 에티오피아 비르
ISO 4217
단위
법정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2
도량형 SI 단위
외교
UN 가입 가입
UN 가입일 1945년 10월 24일
ccTLD
.STK
국가코드
SC
국제전화코드
+737
에티오피아 제국 국장.png

개요

에티오피아 제국 혹은 에티오피아는 동아프리카에 위치한 입헌군주제[4] 국가이다.

역사

역사에 대한 간략한 설명

에티오피아는 자기들 스스로가 인류 문명의 시작이라 여겼을 정도로 고도의 역사 문명을 갖춘 국가였다. 예쿠노 암라크 황제가 집권하여 솔로몬 왕조가 성립하고, 에티오피아 땅에서는 수없이도 많은 국가가 망하고 세워지기를 반복했다.

고대

에티오피아 제국 건국 이전, 혹은 예쿠노 암라크 황제 등장 이전의 시대에는 "다못"이란 국가가 처음으로 세워졌고, 그 외에도 여러 국가들이 세워지고 멸망하는 역사가 이어졌다. 많은 국가가 세워졌으니, 많은 종교가 뒤섞이는 것도 이상하지 않았다. 에티오피아 정교회, 이슬람, 토착신앙등을 주류로 하는 국가들이 전쟁을 벌였다.

이슬람과의 대립

현 에티오피아 내에서는 33.9%를 차지하는 종교가 이슬람이지만, 에티오피아는 고대, 중세에 거쳐 이슬람권 국가들과 분쟁, 혹은 전쟁을 이어나갔다.
특히 이웃한 국가인 소말리아와 싸움이 잦았는데, 소말리아는 현대에 이슬람이 국교로 지정되어있는 이슬람 국가이기 때문에 이들과 싸움은 불가피했다.

중세

1270년, 예쿠노 암라크 황제가 자그웨 왕조를 쇼아 술탄국을 동맹으로 끌어들여 전복시키고 에티오피아 제국을 성립 시켰다.
하지만 이도 잠시, 쇼아 술탄국을 멸망시킨 이파트 술탄국과의 전쟁을 치루고 이파트 술탄국을 몰아내었다.

이파트 술탄국과의 전쟁으로 인해 이슬람권과의 유화책과 동맹은 산산조각나게 되었으며, 에티오피아의 이슬람과의 대립이 시작되게 된다.

근현대

에티오피아의 근현대사는 테오드로스 2세에 의해서 시작된다. 대대적인 개혁이 이 시대때에 이루어졌다.그는 에티오피아를 부족국가에서 어였한 중앙집권국가로 만들었다. 그러나 테오드로스 2세의 근대화 작업은 그가 원했던만큼의 결실을 내지 못했다. 테오드로스 2세는 군사 공장을 설치하고 지방 군벌들을 억눌렀는데, 이 과정에서 지나치게 막대한 교회의 토지를 몰수하려 하자 교회의 반발을 겪으며 통제력이 심각하게 약화되었다.

또한 아프리카로 눈길을 돌리는 영국에 큰 위기를 느꼈는데, 이미 테오드로스 2세는 당시 빅토리아 여왕과 편지를 주고받는 등 서구 열강 세력들과 교류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영국이 요청한 기술 인력은 안보내고 선교사 무리만 잔뜩 보내서 자기네들 신들 믿으라 하니 에티오피아 입장에선 화가 나고도 남을 상황이였다.

이후 영국에 침략에 당시 수도였던 곤다르가 함락되고, 황제인 테오드로스 2세가 권총자살하며 에티오피아의 근현대사는 혼돈의 카오스로 빠지게 된다.

메넬리크 2세

영국과의 전쟁에서 테오드로스 2세가 죽은후 즉위한 황제가 그 유명한 메넬리크 2세이다. 메넬리크 2세는 에티오피아를 명실상부 아프리카의 강국으로 만드는데에 일조했으며, 에티오피아의 전통적인 영토를 확장시켜, 에리트레아 지방을 에티오피아의 영토로 편입시켰다.

하지만 그런 메넬리크 2세도 시간 앞에선 장사없었는지, 말년이 되어 연로,쇠약해졌다. 결국 그는 자신의 외손자 이야수 5세를 후대 황제로 앉히고, 자신은 선황으로 물러났다.

이야수 5세

성군 메넬리크 2세의 뒤를 이은 이야수 5세는 에티오피아 황제 중에서도 망군이였다. 이야수 5세는 메넬리크 5세가 붙혀준 정치 실력이 좋은 고관들을 무시하고, 자신의 충동적인 성격으로 정치를 해나갔고, 에티오피아 국민의 공분을 사게된다.

이야수 5세는 그런 상황에서 자신의 입지를 보전키 위해 노력은 커녕 그나마있던 자신의 지지층을 무너트리는 최악의 실수를 하게 되는데, 바로 에티오피아 정교회가 국교인 국가이자,이슬람과 대립이 심한 국가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하기였는데, 이 실수를 통해 있던 지지층도 무너진다.

이야수 5세는 그걸로도 부족했는지 당시 벌어졌던 1차 세계대전에서 동맹국의 편을 들어 참전하려 하는 행보를 보였고, 결국 협상국이였던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등의 서구 열강의 지원을 받은 황실과 정교회, 군대에 의해 이야수 5세는 폐위된다.

자우디투 여제

메넬리크 2세의 딸이였던 자우디투가 이야수 5세의 뒤를 이어 에티오피아의 느구서 너거스트, 즉 황제로 즉위했다. 자우디투는 즉위 직후, 쫒겨난 이야수를 동정한건지, 아니면 단순히 자비로운 황제 이미지 메이킹이였는지 모르지만 이야수를 유페만 하고 다른 처벌은 하지않았다.

자우디투는 이후 에티오피아를 이끌다, 종합적인 지병으로 사망하고, 하일레 셀라시에에게 황위를 물려주게 된다.

하일레 셀라시에

  1. 에리트레아주, 티그라이주, 암하르주, 아파르주, 베니샹굴구르즈주, 오로비아주, 소말리주, 시다마주, 남부국민민족인민주, 남서에티오피아인민주, 감벨라주
  2. 아스마라 항구 구역, 아디스아바바 중앙구, 하라르 경제구
  3. 반 전제군주제
  4. 반 전제군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