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역사) |
||
151번째 줄: | 151번째 줄: | ||
== 역사 == | == 역사 == | ||
1356년에 나온 금인칙서는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할 때까지 제국의 기본 헌법이 되었다. 금인칙서에서는 강력한 공국이나 주교령을 다스리는 선거후 일곱 사람이 황제를 선출하도록 규정하였다. 15세기부터 제국에서 선출된 황제 제위는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합스부르크 왕가가 독차지하였다. | |||
1517년에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였던 마르틴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을 출간하여 로마 가톨릭교회의 신학과 관습에 대항하여 종교 개혁을 일으켰다. 마르틴 루터의 파문, 보름스 국회 심문, 농민전쟁, 에라스뮈스와의 ‘자유 의지론’을 둘러싼 논쟁을 통한 인문주의와의 결별 등을 거쳐 분리된 루터교회는 1530년 이후 독일 내 여러 나라들의 공식적 교회가 되었다.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간의 종교 분쟁으로 30년 전쟁이 일어났으며 그 결과 독일은 황폐화되었다. 독일에 있던 나라들의 인구는 30% 정도 줄어들었다. 1648년의 베스트팔렌 조약이 체결되면서 독일의 종교 전쟁은 종식되었으나, 신성 로마 제국은 사실상 수많은 독립 공국으로 갈라졌다. 1740년부터 합스부르크 제국와 프로이센 왕국간의 대립이 독일 역사의 주요 양상으로 나타난다. 1806년에 나폴레옹 전쟁으로 신성 로마 제국이 멸망하였다. | |||
===반동과 혁명=== | ===반동과 혁명=== | ||
반동과 혁명 (1815년 ~ 1870년) | 반동과 혁명 (1815년 ~ 1870년) |
2023년 4월 3일 (월) 22:51 판
개요
독일 제국은 1954년 이후 건국된 왕국이다.
독일은 유럽내에 지역패권국으로서, 파리부터, 모스크바까지 모두 독일의 강역및 국가판무관부가 위치해 있다.
과거 독일과 경쟁했던 러시아,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은 독일만큼의 경제와 패권을 갖추진 못했다. 수도는 베를린이다.
1910년, 독일제국의 최상급육군지휘부가 완전한 권력을 갖추기 시작하고, 1954년 8월에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8월 혁명으로 최상급육군지휘부가 해체되면서 독일연합왕국이 건국된다.
1955, 1962에 각각 프랑스 혁명정부와, 러시아 구국정부가 각각 무너지면서 사실상 독일을 견재 할 수 있는 국가는 스웨덴 뿐이다.
독일어가 월래는 그리 많이 쓰이는 언어는 아니지만, 독일제국 시절 대대적인 확장과, 동화로 유럽내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가 독일어가 되버렸다.
역사
1356년에 나온 금인칙서는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할 때까지 제국의 기본 헌법이 되었다. 금인칙서에서는 강력한 공국이나 주교령을 다스리는 선거후 일곱 사람이 황제를 선출하도록 규정하였다. 15세기부터 제국에서 선출된 황제 제위는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합스부르크 왕가가 독차지하였다.
1517년에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였던 마르틴 루터는 95개조 반박문을 출간하여 로마 가톨릭교회의 신학과 관습에 대항하여 종교 개혁을 일으켰다. 마르틴 루터의 파문, 보름스 국회 심문, 농민전쟁, 에라스뮈스와의 ‘자유 의지론’을 둘러싼 논쟁을 통한 인문주의와의 결별 등을 거쳐 분리된 루터교회는 1530년 이후 독일 내 여러 나라들의 공식적 교회가 되었다.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간의 종교 분쟁으로 30년 전쟁이 일어났으며 그 결과 독일은 황폐화되었다. 독일에 있던 나라들의 인구는 30% 정도 줄어들었다. 1648년의 베스트팔렌 조약이 체결되면서 독일의 종교 전쟁은 종식되었으나, 신성 로마 제국은 사실상 수많은 독립 공국으로 갈라졌다. 1740년부터 합스부르크 제국와 프로이센 왕국간의 대립이 독일 역사의 주요 양상으로 나타난다. 1806년에 나폴레옹 전쟁으로 신성 로마 제국이 멸망하였다.
반동과 혁명
반동과 혁명 (1815년 ~ 1870년)
1848년 3월 19일, 베를린에서 일어난 혁명 봉기
독일 연방 1815–1866. 프랑스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몰락하고 1815년에 빈 회의가 소집되었으며, 39개 주권국의 느슨한 연맹체인 독일 연방이 성립하였다. 왕정 복고를 놓고 이견이 나타나면서, 통합과 자유를 요구하는 자유주의 운동이 발흥하는데 일조하였다. 그러나 오스트리아의 정치가 메테르니히는 이러한 자유주의 운동을 탄압하였다. 독일 관세 동맹(Zollverein)은 독일 내 여러 나라들의 경제 통합을 크게 진전시켰다. 이 시기에 여러 독일인들은 프랑스 혁명의 이상에 경도되었으며 민족주의가 특히 지식인들 사이에서 힘을 얻게 되었다. 당초 검은색, 붉은색, 황금색은 독일 민족주의 운동의 상징이었으나, 나중에 독일 국기의 색이 된다.
유럽의 1848년 혁명으로 프랑스에서 공화정이 성립하자, 독일의 지식인들과 평민들도 혁명을 일으켰다. 처음에 군주들은 혁명주의자들의 자유주의 요구를 수용하였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황제 칭호를 받았으나 권력을 잃자 왕위를 거부하고 헌법을 제한하여 일시적으로 혁명 운동에 제동을 걸었다. 프로이센의 빌헬름 1세와 자유주의 세력이 강해진 의회는 1862년에 군제 개혁을 놓고 갈등하였다. 왕은 오토 폰 비스마르크를 프로이센의 총리로 임명하였다. 비스마르크는 1864년에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에서 덴마크를 무찔렀다. 1866년에는 프로이센이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에서 승리하여 비스마르크는 북독일 연방을 창설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과거 독일의 강대국이었던 오스트리아 제국은 여타 독일 국가들의 내정에 간섭하지 못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