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34번째 줄: | 134번째 줄: | ||
== 국가 상징 == | == 국가 상징 == | ||
=== 국호 === | === 국호 === | ||
토무아의 국호는 고대 토무아어에서 유래했다. 고대 토무아어로 토무아는 ''' | 토무아의 국호는 고대 토무아어에서 유래했다. 고대 토무아어로 토무아는 '''자유를 가진 국가'''라는 뜻. | ||
|| 현재의 국호들|| | |||
|| 언어 || 표기 || 발음 || | || 언어 || 표기 || 발음 || | ||
|| 현대 토무아어 || Ttomua || 토무야 || | || 현대 토무아어 || Ttomua || 토무야 || | ||
141번째 줄: | 142번째 줄: | ||
|| 프랑스어 || Tomois || 토모아 || | || 프랑스어 || Tomois || 토모아 || | ||
|| 영어 || Tomua || 타뮤어 || | || 영어 || Tomua || 타뮤어 || | ||
토무아의 국호는 1963년 독립 전쟁 당시 [[토무아 독립 전쟁]]을 전개했던 토무아 독립운동가, 언어학자들이 붙인 국호이다. | |||
제일 먼저 토무아를 식민지배했던 독일은 과거엔 남쪽의 섬이라는 뜻으로 "슈딘즐" 라고 불렀으며, 그 다음으로 식민 지배를 이어간 프랑스는 프랑스를 이을 제2의 낙원이라는 뜻으로 "데지엠 파라디"라고 불렀다. | |||
156번째 줄: | 160번째 줄: |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나사우 전함.jpg|width=350]] || | ||<table align=center><bgcolor=#ffffff> [[파일:나사우 전함.jpg|width=350]] || |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003893><#003893> '''{{{#ffffff △ 토무아 해전 당시의 |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003893><#003893> '''{{{#ffffff △ 토무아 해전 당시의 메리디움 마레급 전함 }}}''' || | ||
자세한 내용은 [[토무아 왕국/역사]]문서로. | 자세한 내용은 [[토무아 왕국/역사]]문서로. |
2023년 7월 2일 (일) 15:05 판
토무아 왕국 Ttomua kragiua | |||||||||||||||||||||||||||||||||||||||||||||||||||||||||||
![]() |
![]() | ||||||||||||||||||||||||||||||||||||||||||||||||||||||||||
국기 | 국장 | ||||||||||||||||||||||||||||||||||||||||||||||||||||||||||
---|---|---|---|---|---|---|---|---|---|---|---|---|---|---|---|---|---|---|---|---|---|---|---|---|---|---|---|---|---|---|---|---|---|---|---|---|---|---|---|---|---|---|---|---|---|---|---|---|---|---|---|---|---|---|---|---|---|---|---|
Wwe ackt fuor Ttomua aund hixs mazestec thae krig 우리는 토무아와 국왕 폐하를 위해 행동한다 | |||||||||||||||||||||||||||||||||||||||||||||||||||||||||||
상징 | |||||||||||||||||||||||||||||||||||||||||||||||||||||||||||
국가 | 토무아의 노래 | ||||||||||||||||||||||||||||||||||||||||||||||||||||||||||
국화 | 자두꽃 | ||||||||||||||||||||||||||||||||||||||||||||||||||||||||||
국조 | 참수리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TK | |||||||||||||||||||||||||||||||||||||||||||||||||||||||||||
국가 코드 | |||||||||||||||||||||||||||||||||||||||||||||||||||||||||||
611, TMA, TTM | |||||||||||||||||||||||||||||||||||||||||||||||||||||||||||
국제 전화 코드 | |||||||||||||||||||||||||||||||||||||||||||||||||||||||||||
+771 |
개요
토무아 왕국, 줄여서 토무아는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섬 남부에 위치한 푸차하 섬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국가 상징
국호
토무아의 국호는 고대 토무아어에서 유래했다. 고대 토무아어로 토무아는 자유를 가진 국가라는 뜻.
현재의 국호들 | ||
언어 | 표기 | 발음 |
현대 토무아어 | Ttomua | 토무야 |
고대 토무아어 | tomuya | 토무야와 |
독일어 | Tomoa | 토모아 |
프랑스어 | Tomois | 토모아 |
영어 | Tomua | 타뮤어 |
토무아의 국호는 1963년 독립 전쟁 당시 토무아 독립 전쟁을 전개했던 토무아 독립운동가, 언어학자들이 붙인 국호이다. 제일 먼저 토무아를 식민지배했던 독일은 과거엔 남쪽의 섬이라는 뜻으로 "슈딘즐" 라고 불렀으며, 그 다음으로 식민 지배를 이어간 프랑스는 프랑스를 이을 제2의 낙원이라는 뜻으로 "데지엠 파라디"라고 불렀다.
국기
![]() |
△ 토무아 왕국의 국기 |
국장
![]() |
△ 토무아 왕국의 국장 |
역사
![]() |
△ 토무아 독립전쟁 |
![]() |
△ 토무아 해전 당시의 메리디움 마레급 전함 |
자세한 내용은 토무아 왕국/역사문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