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덕왕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대조선국 왕비}} ||<width=100><#972000><-999> {{{+2 {{{#ffffff '''조선 인종의 계비''' }}}}}} || ||<width=100><#972000><-999> {{{+1 {{{#ffffff '''현덕왕후 |...)
 
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19번째 줄:
조선 제2대 국왕 [[대조선국 인종|인종]]의 계비이며 본관은 수원 백씨.
조선 제2대 국왕 [[대조선국 인종|인종]]의 계비이며 본관은 수원 백씨.


==[[파일:현재2.png|width=30]] '''왕세자빈 시절'''==
==[[파일:현재2.png|width=30]] '''나인에서 왕비까지 오르다'''==


2022년 11월 22일, 문경에서 태어난 정안왕후는 가난하게 자랐다. 가난하게 자란 정안왕후는 어릴때부터 매우 내성적인 성격이였고 그게 이유인지 '''30살이 될때까지 결혼하지 않았다.''' 그러던 2023년 1월 7일, [[휘빈이씨]]가 세자빈에서 폐위되고 [[신덕왕후]]는 세자빈 간택 단자를 올렸다. 이에 정안왕후는 신분을 바꾸고자 간택단자에 나갔고 그 결과 세자빈이 되었다.
2022년 11월 25일, 수원에서 태어난 현덕왕후는 어느정도 부유하게 자랐다. 그러다 20대가 될때 쯤 입궁하여 견습나인에서 왕세자의 지밀상궁까지 올랐다. 현덕왕후가 49세가 되던 2023년 2월 10일, 제조상궁이던 박혜연이 현덕왕후에게 '''왕세자를 꼬셔 평안하게''' 해드리라고 하여 지밀상궁 백씨는 당시 50대가 된 왕세자 [[대조선국 인종|인종]]을 꼬셨고 당일 태화당에서 왕세자의 승은을 입고 왕세자의 후궁인 소훈으로 봉작되었다. '''조선 최초의 승은후궁'''이다.


[[휘빈이씨]]를 잃은 원손 [[대조선국 성종|성종]]은 새어머니인 [[정안왕후]]를 잘 대해주었다고 한다. 정안왕후는 세자빈 시절, 국가의 주요 행사들을 바로바로 참석하긴했으나 의례와 전통을 익히지 못하여 윗전으로부터 여러 꾸중을 들었다. 전통을 익히지 못해 조정 대신들 앞에서 품위도 지키지 못해 왕실에 입장에선 골칫덩어리였다. 결국 정안왕후는 날이 갈수록 왕실의 삶이 힘들어졌고 '''정신병'''에 걸리고 만다.  
당일 [[대조선국 태조|태조]]가 훙서하고 2월 11일 왕의 후궁인 숙원으로 봉작되었다. 왕이던 [[대조선국 인종|인종]]이나 자신이나 이제 고령에 진입했기 때문에 아이를 볼수 없어 현덕왕후는 숙원 품계에서 더 승진하지 않았다. 그러던 2월 23일 [[정안왕후]]가 정신 질환을 견디지 못하고 훙서하며 [[선덕왕후]]의 사례때처럼 후궁이던 현덕왕후가 24일, '''조선의 왕비'''로 책봉된다. 고령의 나이로 왕비에 책봉된 그는 내명부를 안정스럽게 다스렸다.


==[[파일:현재2.png|width=30]] '''왕비 시절'''==
==[[파일:현재2.png|width=30]] '''왕대비 시절과 말년'''==


2023년 2월 10일, 시아버지 [[대조선국 태조|태조]]가 86세의 나이로 승하하고 남편 [[대조선국 인종|인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왕비가 되었다. 왕비가 된 이후 정신질환을 더욱 더 심해지며 이제 '''망상, 허언'''을 하기도 하였고 '''궁인의 뺨을 때리거나 폭언'''을 하기도 하였다. 이에 시어머니 [[신덕왕후]]와 남편 [[대조선국 인종|인종]]이 안되겠다고 생각하여 2023년 2월 23일, 교태전에 정안왕후를 '''유폐'''시켰다. 정신병이 극도로 심각해진 정안왕후는 결국 유폐된지 몇시간이 지나지 않아 교태전에서 '''빠이염'''이라는 유언을 남기고 향년 72세로 훙서하였다.
왕비로 재위한지 2주 정도 되던 2023년 3월 10일, 남편 [[대조선국 인종|인종]]이 훙서하고 왕대비가 되었다. 대왕대비던 [[신덕왕후]]와 조용히 자경전에서 여생을 보내다가 4월 11일 자경전에서 향년 85세로 훙서하였다.


바로 다음날 [[대조선국 인종|인종]]의 후궁이던 [[현덕왕후]]가 바로 왕비로 책봉되었는데, 국상 기간중엔 그 누구도 책봉하지 않는게 원칙이다. 하지만 [[현덕왕후]]가 다음날 바로 왕비로 책봉된 것을 보면 왕실 가족들은 [[정안왕후]]의 죽음을 기다린 것으로 보인다. 전해져 내려오는 것에 따르면 [[정안왕후]]의 훙서 소식을 들은 왕족들은 별 반응이 없었다고 한다.
현덕왕후는 내명부 품계를 대부분 해본 인물이다. 최하위인 견습나인부터 시작하여 지밀상궁까지 올랐고, 왕세자의 후궁, 왕의 후궁, 왕비, 왕대비까지 올랐다. 하지만 세자빈은 해보지 않았다.


==[[파일:현재2.png|width=30]] '''가족 관계'''==
==[[파일:현재2.png|width=30]] '''가족 관계'''==
----
----
자식이 하나도 없어서 정안왕후의 핏줄은 사실상 없다.
자식이 하나도 없어서 현덕왕후의 핏줄은 사실상 없다.


==[[파일:현재2.png|width=30]] '''평가'''==
==[[파일:현재2.png|width=30]] '''평가'''==


・정안왕후는 왕후로써 성품은 좋다고 볼수 있으나 정신 질환이 있었다는게 안타깝다는 평가가 많다.
・현덕왕후는 성품과 인성이 매우 좋았다고 한다.

2023년 7월 26일 (수) 16:58 판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왕비
[ 펼치기 · 접기 ]
태조비
신덕왕후
태조비
왕후 심씨
이유비
왕후 민씨
이지비
왕후 목씨
조선 인종의 계비
顯德王后
어기.png
출생2022년 11월 25일
대조선국 수원 사저
사망2023년 4월 11일 (향년 85세)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자경전
후릉(厚陵)
재위기간2023년 2월 24일 ~ 2023년 3월 10일 (15일)
본관수원 백씨
부모없음
형제자매없음
배우자인종
자녀없음
종교유교
시호현덕왕후(顯德王后)

현재2.png 개요

조선 제2대 국왕 인종의 계비이며 본관은 수원 백씨.

현재2.png 나인에서 왕비까지 오르다

2022년 11월 25일, 수원에서 태어난 현덕왕후는 어느정도 부유하게 자랐다. 그러다 20대가 될때 쯤 입궁하여 견습나인에서 왕세자의 지밀상궁까지 올랐다. 현덕왕후가 49세가 되던 2023년 2월 10일, 제조상궁이던 박혜연이 현덕왕후에게 왕세자를 꼬셔 평안하게 해드리라고 하여 지밀상궁 백씨는 당시 50대가 된 왕세자 인종을 꼬셨고 당일 태화당에서 왕세자의 승은을 입고 왕세자의 후궁인 소훈으로 봉작되었다. 조선 최초의 승은후궁이다.

당일 태조가 훙서하고 2월 11일 왕의 후궁인 숙원으로 봉작되었다. 왕이던 인종이나 자신이나 이제 고령에 진입했기 때문에 아이를 볼수 없어 현덕왕후는 숙원 품계에서 더 승진하지 않았다. 그러던 2월 23일 정안왕후가 정신 질환을 견디지 못하고 훙서하며 선덕왕후의 사례때처럼 후궁이던 현덕왕후가 24일, 조선의 왕비로 책봉된다. 고령의 나이로 왕비에 책봉된 그는 내명부를 안정스럽게 다스렸다.

현재2.png 왕대비 시절과 말년

왕비로 재위한지 2주 정도 되던 2023년 3월 10일, 남편 인종이 훙서하고 왕대비가 되었다. 대왕대비던 신덕왕후와 조용히 자경전에서 여생을 보내다가 4월 11일 자경전에서 향년 85세로 훙서하였다.

현덕왕후는 내명부 품계를 대부분 해본 인물이다. 최하위인 견습나인부터 시작하여 지밀상궁까지 올랐고, 왕세자의 후궁, 왕의 후궁, 왕비, 왕대비까지 올랐다. 하지만 세자빈은 해보지 않았다.

현재2.png 가족 관계


자식이 하나도 없어서 현덕왕후의 핏줄은 사실상 없다.

현재2.png 평가

・현덕왕후는 성품과 인성이 매우 좋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