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AIR ALPACA: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 로고 크기 = 500px
| 로고 크기 = 500px
| 정식명칭 = PF AIR ALPACA
| 정식명칭 = PF AIR ALPACA
| 국기 = 루마니아 왕국 국기.png <br> Kingdom of Yugoslavia flag.png
| 국기 = Kingdom of Yugoslavia flag.png
| 국기크기 = 20px
| 국기크기 = 20px
| 국가명 = 前 루마니아 <br> 現 유고슬라비아 왕국
| 국가명 = 現 [[유고슬라비아 왕국(식혜)|유고슬라비아 왕국]] <br>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 前 루마니아 왕국
| 설립일 = 확인되지 않음
| 설립일 = 확인되지 않음
| 기업규모 = [[대기업]]
| 기업규모 = [[대기업]]
| 창업주 = [[알파카]]
| 창업주 = [[알파카]]
| 업종 = 항공여객운수업
| 업종 = 항공여객운수업
| 본사위치 =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본사위치 = 유고슬라비아 [[자그레브(식혜)|자그레브]]
| 대표자 = [[MINJONG]]
| 대표자 = [[MINJONG]]
| 시가총액 =  
| 시가총액 =  
53번째 줄: 53번째 줄:
광동체는 도입을 하지 않다가 매각 되기 직전에 A330-900NEO를 도입하였다. 이후 PF에 인수된 이후 A330NEO를 승무원 교육 문제로 잠시 방치하면서 A350-900을 PF AIRWAYS로부터 구매하였고<ref>사실상 받아온 것이다.</ref> 승무원 교육이 끝난 이후 다시 A330NEO이 사용 기재로 복귀하였다. 이후 [[TAGORE AIR]], [[PF AIRWAYS]]와 삼자 빅딜을 체결함에 따라 가지고 있던 A330-900neo를 전부 타고르 항공으로 넘겼고 A350-900을 더 가져왔다.<ref>성공적인 기종 단일화</ref>
광동체는 도입을 하지 않다가 매각 되기 직전에 A330-900NEO를 도입하였다. 이후 PF에 인수된 이후 A330NEO를 승무원 교육 문제로 잠시 방치하면서 A350-900을 PF AIRWAYS로부터 구매하였고<ref>사실상 받아온 것이다.</ref> 승무원 교육이 끝난 이후 다시 A330NEO이 사용 기재로 복귀하였다. 이후 [[TAGORE AIR]], [[PF AIRWAYS]]와 삼자 빅딜을 체결함에 따라 가지고 있던 A330-900neo를 전부 타고르 항공으로 넘겼고 A350-900을 더 가져왔다.<ref>성공적인 기종 단일화</ref>


화물기는 B737-400F기종만 보유하였다. 알파카항공 시절부터 사용해 오던 여객기를 개조하여 사용하였다. 화물 사업을 적극적으로 할 것은 아닌 것으로 보여 협동체 화물기만 소량 운용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이전과 함께 해당 화물기들도 전부 처분되었다. 보잉제 항공기가 아닌 에어버스제 항공기로 새로 화물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화물기는 B737-400F기종만 보유하였다. 알파카항공 시절부터 사용해 오던 여객기를 개조하여 사용하였다. 화물 사업을 적극적으로 할 것은 아닌 것으로 보여 협동체 화물기만 소량 운용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이전과 함께 해당 화물기들도 전부 처분되었다. 아마도 화물은 접은것으로 보인다.
   
   
===현역 기재===
===현역 기재===
110번째 줄: 110번째 줄:




===정기 노선===
=== 국제선 ===
====유럽 노선====
====흑해권역 노선====
{| class="wikitable"
||<rowbgcolor=#f0d158> 국가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6><bgcolor=#f0d158> PF AIR ALPACA ([[파일:Kingdom of Yugoslavia flag.png|20px]] 자그레브발) 국제선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파일:Flag of Ukraine.svg|20px]] || 키예프 || 키예프 보리스폴 국제공항(KBP) || 모두 || A321neo || 100,101<br> (예비)102,103 ||
|-
|| [[파일:Flag of Ukraine.svg|20px]] || 오데사 || 오데사 국제공항(ODS) || 여객 || A220-300 || 104,105 ||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에버딘 || 에버딘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밸리카고</ref> || A321NEO || PAF800/PAF801<ref name="ICAO">ICAO 코드</ref>, PP800/PP801<ref name="IATA">IATA 코드</ref>
|| [[파일:Flag of Ukraine.svg|20px]] || 하르키우 || 하르키우 국제공항(HRK) || 여객 || A320neo || 106,107 ||
|-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런던 || 런던 히스로 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802/PAF803<ref name="ICAO"/>, PP802/PP803<ref name="IATA"/>  
|-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런던 || 런던 히스로 공항 || 화물 || B737-400F || PAF804/PAF805<ref name="ICAO"/>, PP804/PP805<ref name="IATA"/>
|-
|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프랑스 파리 ||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700/PAF701<ref name="ICAO"/>, PP700/PP701<ref name="IATA"/>
|-
| [[파일:스페인 국기.png|20px]]스페인 마드리드 ||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500/PAF501<ref name="ICAO"/>, PP500/PP501<ref name="IATA"/>
|-
| [[파일:스페인 국기.png|20px]]스페인 바르셀로나 || 바르셀로나 엘프라트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502/PAF503<ref name="ICAO"/>, PP502/PP503<ref name="IATA"/>
|-
|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이탈리아 사회 민주 공화국|이탈리아]] 로마 ||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550/PAF551<ref name="ICAO"/>, PP550/PP551<ref name="IATA"/>
|-
|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이탈리아 사회 민주 공화국|이탈리아]] 로마 ||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 화물 || B737-400F || PAF552/PAF553<ref name="ICAO"/>, PP552/PP553<ref name="IATA"/>
|-
|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 자그레브 프라뇨 투지만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880/PAF881<ref name="ICAO"/>, PP880/PP881<ref name="IATA"/>
|}


||<-5><bgcolor=#f0d158>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fff 밀라노 발}}} ||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5><bgcolor=#f0d158>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fff 이탈리아 국내선}}} ||
||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 로마 ||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 모두 || A321neo || PAF1800/PAF1801<ref name="ICAO"/>, PP1800/PP1801<ref name="IATA"/>  ||
||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 베네치아 || 마르코 폴로 국제공항 || 여객 || A220-300 || PAF1802/PAF1803<ref name="ICAO"/>, PP1802/PP1803<ref name="IATA"/>  ||
||<-5><bgcolor=#333333>||
||<-5><bgcolor=#f0d158>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fff 프랑스 행}}} ||
||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 파리 ||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 || 모두 || A321neo || PAF1700/PAF1701<ref name="ICAO"/>, PP1700/PP1701<ref name="IATA"/>  ||
||<-5><bgcolor=#333333>||
||<-5><bgcolor=#f0d158> [[파일:스페인 국기.png|20px]]{{{#fff 스페인 행}}} ||
|| [[파일:스페인 국기.png|20px]] 바르셀로나 || 바르셀로나 엘 프라트 국제공항 || 모두 || A321neo || PAF1730/PAF1731<ref name="ICAO"/>, PP1730/PP1731<ref name="IATA"/>  ||
||<-5><bgcolor=#333333>||


====동북아시아 노선====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부쿠레슈티 발
{| class="wikitable"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 서울/인천 || 인천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0010/PAF0011<ref name="ICAO"/>, PP0010/PP0011<ref name="IATA"/>
|-
| [[파일:홍콩 국기.png|20px]]홍콩 || 홍콩국제공항<ref>첵랍콕 국제공항</ref>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0006/PAF0007<ref name="ICAO"/>, PP0006/PP0007<ref name="IATA"/>
|}


====동남아시아 노선====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부쿠레슈티 발
{| class="wikitable"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싱가포르 || [[창이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0062/PAF0063<ref name="ICAO"/>, PP0062/PP0063<ref name="IATA"/>
|-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쿠알라룸프르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0060/PAF0061<ref name="ICAO"/>, PP0060/PP0061<ref name="IATA"/>
|}
====아시아 노선====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부쿠레슈티 발
{| class="wikitable"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png|20px]]아프가니스탄 카불 ||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1000/PAF1001<ref name="ICAO"/>, PP1000/PP1001<ref name="IATA"/>
|}
====오세아니아 노선====
===부정기 노선===
====서유럽 노선====
====서유럽 노선====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부쿠레슈티 발
||<rowbgcolor=#f0d158> 국가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class="wikitable"
||<-6><bgcolor=#f0d158> PF AIR ALPACA ([[파일:Kingdom of Yugoslavia flag.png|20px]] 자그레브 착발) 국제선 ||
|-
|| [[파일:영국 국기.svg|20px]] || 런던 || 런던 리스로 공항(LHR) || 모두 || A350-900<br> A321neo || 1000,1001<br> 1002,1003<br> 1004,1005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파일:영국 국기.svg|20px]] || 버팅엄 || 버팅엄 공항(BHX) || 여객 || A321neo || 1006,1007 ||
|-
|| [[파일:영국 국기.svg|20px]] || 맨체스터 || 맨체스터 국제공항(MAN) || 모두 || A350-900<br> A320neo || 1008,1009<br> (예비)1010,1011 ||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글래스고 || 글래스고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806/PAF807<ref name="ICAO"/>, PP806/PP807<ref name="IATA"/>
|| [[파일:영국 국기.svg|20px]] || 리버풀 || 리버풀 존 레논 국제공항(LPL) || 여객 || A321neo || 1012,1013 ||
|-
|| [[파일:영국 국기.svg|20px]] || 글래스고 || 글레스고 국제공항(GLA) || 모두 || A321neo || 1014,1015<br> (예비)1016,1017 ||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에든버러 || 에든버러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808/PAF809<ref name="ICAO"/>, PP808/PP809<ref name="IATA"/>
|| [[파일:영국 국기.svg|20px]] || 에든버러 || 에든버러 국제공항(EDI) || 여객 || A321neo || 1018,1019 ||
|-
|| [[파일:네덜란드 국기.png|20px]] || 암스테르담 ||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AMS) || 모두 || A350-900<br> A321neo || 900,901<br> 902,903<br> (예비)904,905 ||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맨체스터 || 맨체스터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810/PAF811<ref name="ICAO"/>, PP810/PP811<ref name="IATA"/>
|| [[파일:네덜란드 국기.png|20px]] || 로테르담 || 로테르담-헤이그 국제공항(RTM) || 모두 || A321neo || 906,907 ||
|-
|| [[파일:네덜란드 국기.png|20px]] || 에인트호번 || 에인트호번 국제공항(EIN) || 모두 || A321neo || 908,909 ||
|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프랑스 리옹 || 리옹 생텍쥐페리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702/PAF703<ref name="ICAO"/>, PP702/PP703<ref name="IATA"/>  
||<-6><bgcolor=#f0d158> PF AIR ALPACA ([[파일:Kingdom of Yugoslavia flag.png|20px]] 베오그라드 착발) 국제선 ||
|-
|| [[파일:영국 국기.svg|20px]] || 런던 || 런던 리스로 공항(LHR) || 모두 || A321neo || 1020,1021<br> 1022,1023 ||
|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프랑스 니스 || 니스 코트다쥐르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704/PAF705<ref name="ICAO"/>, PP704/PP705<ref name="IATA"/>
|| [[파일:영국 국기.svg|20px]] || 맨체스터 || 맨체스터 국제공항(MAN) || 모두 || A321neo || 1024,1025<br> (예비)1026,1027 ||
|-
|| [[파일:영국 국기.svg|20px]] || 리버풀 || 리버풀 존 레논 국제공항(LPL) || 여객 || A320neo || 1028,1029 ||
|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프랑스 마르세유 || 마르세유 프로방스 국제공항 || 화물 || B737-400F || PAF706/PAF707<ref name="ICAO"/>, PP706/PP707<ref name="IATA"/>
|| [[파일:영국 국기.svg|20px]] || 글래스고 || 글레스고 국제공항(GLA) || 여객 || A320neo || 1030,1031 ||
|-
|| [[파일:영국 국기.svg|20px]] || 에든버러 || 에든버러 국제공항(EDI) || 여객 || A321neo || 1032,1033 ||
|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프랑스 툴루즈 || 툴루즈 블라냐크 국제공항<ref>툴루즈 출발에서 신규 항공기가 자주 들어온다. 반대로 부쿠레슈티 출발에선 퇴역 항공기가 자주 들어온다.</ref>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708/PAF709<ref name="ICAO"/>, PP708/PP709<ref name="IATA"/>
|-
| [[파일:네덜란드 국기.png|20px]]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600/PAF601<ref name="ICAO"/>, PP600/PP601<ref name="IATA"/>
|-
| [[파일:벨기에국기.png|20px]]벨기에 브리쉘 || 브뤼셀 자벤텀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610/PAF611<ref name="ICAO"/>, PP610/PP611<ref name="IATA"/>
|}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콘스탄챠 발
====중부유럽 노선====
{| class="wikitable"
||<rowbgcolor=#f0d158> 국가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6><bgcolor=#f0d158> PF AIR ALPACA ([[파일:Kingdom of Yugoslavia flag.png|20px]] 자그레브 착발) 국제선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파일:흑적금연방삼색기1.png|20px]] || 프랑크푸르트 ||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국제공항(FRA) || 모두 || A350-900<br> A321neo || 1500,1501<br> 1502,1503<br> (예비)1504,1505 ||
|-
|| [[파일:흑적금연방삼색기1.png|20px]] || 뮌헨 || 뮌헨 국제공항(MUC) || 모두 || A350-900<br> A321neo || 1506,1507<br> 1508,1509 ||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런던 || 런던 히스로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812/PAF813<ref name="ICAO"/>, PP812/PP813<ref name="IATA"/>
|| [[파일:흑적금연방삼색기1.png|20px]] || 퀄른 || 퀄른-본 국제공항(CGN) || 여객 || A321neo || 1510,1511 ||
|-
|| [[파일:흑적금연방삼색기1.png|20px]] || 뒤셀도르프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DUS) || 여객 || A321neo || 1512,1513 ||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에든버러 || 에든버러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814/PAF815<ref name="ICAO"/>, PP814/PP815<ref name="IATA"/>
|| [[파일:흑적금연방삼색기1.png|20px]] || 베를린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빌리브란트 국제공항(BER) || 여객 || A321neo || 1514,1515<br> (예비)1516,1517 ||
|-
|| [[파일:스위스의 깃발.svg|20px]] || 취리히 || 취리히 국제공항(ZRH) || 모두 || A321neo || 490,491 ||
| [[파일:영국 국기.svg|20px]][[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 맨체스터 || 맨체스터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816/PAF817<ref name="ICAO"/>, PP816/PP817<ref name="IATA"/>
|| [[파일:스위스의 깃발.svg|20px]] || 제네바 || 제네바 국제공항(GVA) || 모두 || A321neo || 492,493 ||
|-
|| [[파일:폴란드 국기.jpg|20px]] || 바르샤바 || 바르샤바 쇼팽 국제공항(WAW) || 모두 || A350-900<br> A321neo || 1600,1601<br> 1602,1603 ||
| [[파일:프랑스 제4제국 국기.svg|20px]]프랑스 파리 ||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710/PAF711<ref name="ICAO"/>, PP7010/PP711<ref name="IATA"/>
|| [[파일:폴란드 국기.jpg|20px]] || 크라쿠프 || 크라쿠프 요한 바오르 2세 국제공항(KRK) || 여객 || A321neo || 1604,1605 ||
|-
|| [[파일:폴란드 국기.jpg|20px]] || 그단스크 || 그단스크 레흐 바웬사 공항(GDN) || 모두 || A321neo || 1606,1607 ||
| [[파일:네덜란드 국기.png|20px]]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602/PAF603<ref name="ICAO"/>, PP602/PP603<ref name="IATA"/>
|| [[파일:폴란드 국기.jpg|20px]] || 카토비체 || 카토비체 보이치에흐 코르판티 공항(KTW) || 모두 || A321neo || 1608,1609 ||
|}
|| [[파일:폴란드 국기.jpg|20px]] || 브로츠와프 || 브로츠와프 미코와이 코페르니크 공항(WMI) || 모두 || A321neo || 1610,1611 ||
====중유럽 노선====
|| [[파일:폴란드 국기.jpg|20px]] || 포즈난 || 포즈난-와비카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 공항(POZ) || 모두 || A321neo || 1612,1613 ||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부쿠레슈티 발
||<-6><bgcolor=#f0d158> PF AIR ALPACA ([[파일:Kingdom of Yugoslavia flag.png|20px]] 베오그라드 착발) 국제선 ||
{| class="wikitable"
|| [[파일:스위스의 깃발.svg|20px]] || 취리히 || 취리히 국제공항(ZRH) || 모두 || A321neo || 494,495 ||
|-
|| [[파일:스위스의 깃발.svg|20px]] || 제네바 || 제네바 국제공항(GVA) || 모두 || A321neo || 496,497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파일:흑적금연방삼색기1.png|20px]]독일 프랑크푸르트 ||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400/PAF401<ref name="ICAO"/>, PP400/PP401<ref name="IATA"/>
|-
| [[파일:흑적금연방삼색기1.png|20px]]독일 뮌헨 || 뮌헨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402/PAF403<ref name="ICAO"/>, PP402/PP403<ref name="IATA"/>
|-
| [[파일:흑적금연방삼색기1.png|20px]]독일 슈투트가르트 || 슈투트가르트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404/PAF405<ref name="ICAO"/>, PP404/PP405<ref name="IATA"/>
|-
| [[파일:흑적금연방삼색기1.png|20px]]독일 라이프치히-할레 || 라이프치히-할레 국제공항 || 화물 || B737-400F || PAF406/PAF407<ref name="ICAO"/>, PP406/PP407<ref name="IATA"/>
|-
| [[파일:스위스의 깃발.svg|20px]]스위스 취리히 || 취리히 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490/PAF491<ref name="ICAO"/>, PP490/PP491<ref name="IATA"/>
|-
| [[파일:스위스의 깃발.svg|20px]]스위스 제네바 || 제네바 공항 || 여객 || B737-9MAX || PAF492/PAF493<ref name="ICAO"/>, PP492/PP493<ref name="IATA"/>
|-
| [[파일:폴란드 국기.jpg|20px]]폴란드 바르샤바 || 바르샤바 쇼팽 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480/PAF481<ref name="ICAO"/>, PP480/PP481<ref name="IATA"/>
|-
| [[파일:폴란드 국기.jpg|20px]]폴란드 그단스크 || 그단스크 레흐 바웬사 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482/PAF483<ref name="ICAO"/>, PP482/PP483<ref name="IATA"/>
|-
| [[파일:폴란드 국기.jpg|20px]]폴란드 카토비체 || 카토비체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484/PAF485<ref name="ICAO"/>, PP484/PP485<ref name="IATA"/>
|-
| 헝가리 부다페스트 || 부다페스트 리스트 페렌츠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470/PAF471<ref name="ICAO"/>, PP470/PP471<ref name="IATA"/>
|-
| 헝가리 데브레첸 || 데브레첸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472/PAF473<ref name="ICAO"/>, PP472/PP473<ref name="IATA"/>
|}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콘스탄챠 발
====북유럽 노선====
{| class="wikitable"
||<rowbgcolor=#f0d158> 국가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6><bgcolor=#f0d158> PF AIR ALPACA ([[파일:Kingdom of Yugoslavia flag.png|20px]] 자그레브 착발) 국제선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파일:Flag of Iceland.svg|20px]] || 레이캬비크 || 케플라비크 국제공항(KEF) || 모두 || A321neo || 550,551<br> 552,553 ||
|-
| [[파일:흑적금연방삼색기1.png|20px]]독일 프랑크푸르트 ||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408/PAF409<ref name="ICAO"/>, PP408/PP409<ref name="IATA"/>
|-
| [[파일:흑적금연방삼색기1.png|20px]]독일 뮌헨 || 뮌헨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410/PAF411<ref name="ICAO"/>, PP410/PP411<ref name="IATA"/>
|-
| [[파일:스위스의 깃발.svg|20px]]스위스 취리히 || 취리히 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494/PAF495<ref name="ICAO"/>, PP494/PP495<ref name="IATA"/>
|-
| [[파일:폴란드 국기.jpg|20px]]폴란드 바르샤바 || 바르샤바 쇼팽 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486/PAF487<ref name="ICAO"/>, PP486/PP487<ref name="IATA"/>
|-
| [[파일:폴란드 국기.jpg|20px]]폴란드 그단스크 || 그단스크 레흐 바웬사 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488/PAF489<ref name="ICAO"/>, PP488/PP489<ref name="IATA"/>
|}
 
====남동유럽 노선====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부쿠레슈티 발
{| class="wikitable"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이탈리아 사회 민주 공화국|이탈리아]] 베네치아 || 베네치아 마르코 폴로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554/PAF555<ref name="ICAO"/>, PP554/PP555<ref name="IATA"/>  
|-
|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이탈리아 사회 민주 공화국|이탈리아]] 바리 || 바리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556/PAF557<ref name="ICAO"/>, PP556/PP557<ref name="IATA"/>
|-
| [[파일:Flag of Portugal.svg|20px]]포르투갈 리스본 || 리스본 포스텔라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540/PAF541<ref name="ICAO"/>, PP540/PP541<ref name="IATA"/>
|-
| [[파일:불가리아국기.svg|20px]]불가리아 소피아 || 소피아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890/PAF891<ref name="ICAO"/>, PP890/PP891<ref name="IATA"/>
|-
|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 베오그라드 니콜라 테슬라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896/PAF897<ref name="ICAO"/>, PP896/PP897<ref name="IATA"/>
|-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사라예보 || 사라예보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898/PAF899<ref name="ICAO"/>, PP898/PP899<ref name="IATA"/>
|-
| [[파일:Flag of Greece.svg|20px]]그리스 아테네 || 아테네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900/PAF901<ref name="ICAO"/>, PP900/PP901<ref name="IATA"/>
|-
| [[파일:터키 국기.png|20px]]터키 이스탄불 || 이스탄불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100/PAF101<ref name="ICAO"/>, PP100/PP101<ref name="IATA"/>
|}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콘스탄챠 발
====서아시아 노선====
{| class="wikitable"
||<rowbgcolor=#f0d158> 국가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6><bgcolor=#f0d158> PF AIR ALPACA ([[파일:Kingdom of Yugoslavia flag.png|20px]] 자그레브 착발) 국제선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파일:터키 국기.png|20px]] || 콘스탄티니예 || 이스탄불 국제공항(IST) || 모두 || A350-900<br> A321neo || 3000,3001<br> 3002,3003 ||
|-
|| [[파일:터키 국기.png|20px]] || 트라브존 || 트라브존 국제공항(TZX) || 여객 || A220-300<br> A320neo || 3006,3007 ||
|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이탈리아 사회 민주 공화국|이탈리아]] 로마 ||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558/PAF559<ref name="ICAO"/>, PP558/PP559<ref name="IATA"/>
|| [[파일:터키 국기.png|20px]] || 앙카라 || 에센보아 국제공항(ESB) || 여객 || A321neo || 3008,3009 ||
|-
| [[파일:State Ensign of Italy.svg|20px]][[이탈리아 사회 민주 공화국|이탈리아]] 베네치아 || 베네치아 마르코 폴로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560/PAF561<ref name="ICAO"/>, PP560/PP561<ref name="IATA"/>
|-
| [[파일:불가리아국기.svg|20px]]불가리아 소피아 || 소피아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892/PAF893<ref name="ICAO"/>, PP892/PP893<ref name="IATA"/>
|-
|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 자그레브 프라뇨 투지만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882/PAF883<ref name="ICAO"/>, PP882/PP883<ref name="IATA"/>  
|}
====북유럽 노선====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부쿠레슈티 발
{| class="wikitable"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파일:스웨덴의 국기.png|20px]]스웨덴 스톡홀름 || 스톡홀름 알란다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200/PAF201<ref name="ICAO"/>, PP200/PP201<ref name="IATA"/>
|-
| [[파일:스웨덴의 국기.png|20px]]스웨덴 예테보리 || 예테보리 란드베테르 공항 || 여객 || B737-9MAX || PAF202/PAF203<ref name="ICAO"/>, PP202/PP203<ref name="IATA"/>
|-
| [[파일:Kongeriket-Norge .png|20px]]노르웨이 오슬로 || 오슬로 가르데르모엔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1NEO || PAF220/PAF221<ref name="ICAO"/>, PP220/PP221<ref name="IATA"/>
|-
| [[파일:Kongeriket-Norge .png|20px]]노르웨이 스타방에르 || 스타방에르 솔라공항 || 여객 || B737-9MAX || PAF222/PAF223<ref name="ICAO"/>, PP222/PP223<ref name="IATA"/>
|-
| [[파일:덴마크 국기.png|20px]]덴마크 코펜하겐 || 코펜하겐 카스트럽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250/PAF251<ref name="ICAO"/>, PP250/PP251<ref name="IATA"/>
|-
| 핀란드 헬싱키 || 헬싱키 반타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290/PAF291<ref name="ICAO"/>, PP290/PP291<ref name="IATA"/>
|}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콘스탄챠 발
{| class="wikitable"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파일:스웨덴의 국기.png|20px]]스웨덴 스톡홀름 || 스톡홀름 알란다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204/PAF205<ref name="ICAO"/>, PP204/PP205<ref name="IATA"/>
|-
| [[파일:Kongeriket-Norge .png|20px]]노르웨이 오슬로 || 오슬로 가르데르모엔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224/PAF225<ref name="ICAO"/>, PP224/PP225<ref name="IATA"/>
|-
| [[파일:덴마크 국기.png|20px]]덴마크 코펜하겐 || 코펜하겐 카스트럽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20NEO || PAF252/PAF253<ref name="ICAO"/>, PP252/PP253<ref name="IATA"/>
|}
====동북아시아 노선====
====동북아시아 노선====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부쿠레슈티 발
||<rowbgcolor=#f0d158> 국가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class="wikitable"
||<-6><bgcolor=#f0d158> PF AIR ALPACA ([[파일:Kingdom of Yugoslavia flag.png|20px]] 자그레브 착발) 국제선 ||
|-
|| [[파일:태극기.png|20px]] || 서울(인천) || 인천국제공항(ICN) || 코드쉐어 || A330-900neo || TW6800,TW6801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파일:Flag of Japan.svg|20px]] || 도쿄 || 하네다 국제공항(HND) || 모두 || A350-900 || 8100,8101 ||
|-
|| [[파일:Flag of Japan.svg|20px]] || 오사카 || 간사이 국제공항(KIX) || 모두 || A350-900 || 8102,8103 ||
| [[파일:태극기.png|20px]][[대한국]] 부산 || 김해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0012/PAF0013<ref name="ICAO"/>, PP0012/PP0013<ref name="IATA"/>
|| [[파일:대부여국 국기.png|20px]] || 예성 || 예성 국제공항 || 모두 || A350-900 || 8150,8151 ||
|-
|| [[파일:대부여국 국기.png|20px]] || 삼산 || 삼산 국제공항 || 모두 || A350-900 || 8152,8153 ||
| [[파일:Flag of Japan.svg|20px]]일본 도쿄 || 하네다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0020/PAF0021<ref name="ICAO"/>, PP0020/PP0021<ref name="IATA"/>
|| [[파일:홍콩 국기.png|20px]] || 홍콩 || 홍콩 국제공항 || 모두 || A350-900 || 8190,8191 ||
|-
| [[파일:Flag of Japan.svg|20px]]일본 오사카 || 간사이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0022/PAF0023<ref name="ICAO"/>, PP0022/PP0023<ref name="IATA"/>
|-
| [[파일:중국 국기.png|20px]]중국 베이징 ||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ref>서우두 국제공항</ref>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0080/PAF0081<ref name="ICAO"/>, PP0080/PP0081<ref name="IATA"/>
|-
| [[파일:중국 국기.png|20px]]중국 상하이 || 푸동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0082/PAF0083<ref name="ICAO"/>, PP0082/PP0083<ref name="IATA"/>
|-
| [[파일:대부여국 국기.png|20px]][[대부여국]] 삼산 || 삼산 국제공항<ref>[[TAGORE AIR]]와 코드쉐어 되어 공항시설을 같이 쓴다.</ref>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0070/PAF0071<ref name="ICAO"/>, PP0070/PP0071<ref name="IATA"/>
|}
====동남아시아 노선====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부쿠레슈티 발
{| class="wikitable"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파일:타이 왕국 국기.png|20px]]태국 방콕 || 수완나품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3000/PAF3000<ref name="ICAO"/>, PP3000/PP3001<ref name="IATA"/>
|-
| [[파일:Flag of Vietnam.svg|20px]]베트남 하노이 ||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3010/PAF3011<ref name="ICAO"/>, PP3010/PP3011<ref name="IATA"/>
|-
| [[파일:싱가포르국기.jpeg|20px]][[말레이시아 연방(4관)|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0064/PAF0065<ref name="ICAO"/>, PP0064/PP0065<ref name="IATA"/>
|}
====아시아 노선====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부쿠레슈티 발
{| class="wikitable"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jpeg|20px]]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두바이 국제공항 || 여객, 화물<ref name="밸리카고"/> || A350-900 || PAF1050/PAF1051<ref name="ICAO"/>, PP1050/PP1051<ref name="IATA"/>
|}
====아프리카 노선====
[[파일:루마니아 왕국 국기.png|20px]]부쿠레슈티 발
{| class="wikitable"
|-
! 도착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 이집트 카이로 || 카이로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1010/PAF1011<ref name="ICAO"/>, PP1010/PP1011<ref name="IATA"/>
|-
|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 보르그엘아랍 국제공항 || 여객 || B737-9MAX || PAF1012/PAF1013<ref name="ICAO"/>, PP1012/PP1013<ref name="IATA"/>
|}
====오세아니아 노선====

2023년 9월 10일 (일) 17:02 기준 최신판

PF AIR ALPACA
PF AIR ALPACA
PF AIR ALPACA 로고.png
정식명칭 PF AIR ALPACA
원어명칭 PF AIR ALPACA
국가 Kingdom of Yugoslavia flag.png유고슬라비아 왕국
루마니아 왕국 국기.png 前 루마니아 왕국
설립일 확인되지 않음
기업규모 대기업
창업주 알파카
업종 항공여객운수업
본사위치 유고슬라비아 자그레브
대표자 MINJONG
시가총액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자본금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자산총액
-
부채총액
-
상장여부
-
상장시장
-
직원수
약 4,500여명


개요

알파카그룹에서 운영하던 알파카항공을 PF에서 인수하여 만들어진 항공사이다. 원래 알파카항공은 알파카그룹의 루마니아 지사[1]에 소속되어있던 항공사였어서 PF로 넘어간 이후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헨리 코안더 국제공항을 한동안 유지하다가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흑해 권역보다 지중해(발칸반도)권역을 더 집중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유고슬라비아의 베오그라드 니콜라 테슬라 국제공항과 자그레브 국제공항을 허브로 삼고 있으며 촘촘한 국내선과 함께 베오그라드 중심의 촘촘한 유럽권 항공망과 중장거리를 운용하는 자그레브발 항공편을 혼합적으로 구축할 것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초기 PF AIRWAYS처럼 MCC로 운영되었지만 점점 가격과 서비스를 낮추는 방식으로 현재는 알파카항공이 유럽권 LCC브랜드로 탈바꿈되었으며 주로 동유럽, 남유럽 출발 노선을 담당하고 변화하였다. 장거리 기재의 적극적 도입과 함께 HSC로 변화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IATA 코드는 PP, ICAO 코드는 PAF를 사용하고 있다. 콜사인은 ALPACA이다. MAWB(Master Air Way Bill)은 920를 사용한다.[2]

서비스

LCC인 PF AIR ALPACA는 비즈니스와 이코노미로 두가지의 좌석을 운용한다. 비즈니스 좌석은 160º로 누워서 비행할 수 있다고 한다.[3]

중단거리 노선의 경우 일반적인 LCC처럼 물만 제공해준다. 장거리 노선의 경우 1회의 기내식이 무료 제공되며 이는 PF AERO GOURMET에서 제작한다. 또한 사전에 메뉴를 신청할 수 있다.[4]

지연이 잦은 편이다. 항공기 돌려막기를 많이 하는편이며 이때문에 하나라도 지연되면 연결편이 모두 지연된다. 지연이 길어질 경우 라운지 이용권으로 돌려막는 경우도 많다.


보유 기재

구 알파카항공 시절에 협동체로 B737-300, B737-400을 사용하였고 이후 교체로 B737-800을 일부 교체하였다. B737-300,-400을 상당히 오래 사용하였으며 교체가 상당히 늦어졌고 이마저도 -800이다. -8MAX로도 충분히 변경하였을수 있지만 이는 의문이다. PF에서 인수한 이후에는 기존 B737시리즈를 일부처분하였고 일부는 화물기로 개조하였다. 에어버스사의 A321-200을 3대를 임시로 사용하였다가 A320NEO, A321NEO를 도입하였다. 또한 B737-9MAX도 사용하였다.[5] 결국 유고슬라비아 이전과 함께 보잉제 기종을 전부 처분하였다. PF의 정비를 담당하는 PF AVIATION TECH에서의 정비 곤란으로 골치 썩이던 문제를 모두 해결했다고 볼 수 있다.

광동체는 도입을 하지 않다가 매각 되기 직전에 A330-900NEO를 도입하였다. 이후 PF에 인수된 이후 A330NEO를 승무원 교육 문제로 잠시 방치하면서 A350-900을 PF AIRWAYS로부터 구매하였고[6] 승무원 교육이 끝난 이후 다시 A330NEO이 사용 기재로 복귀하였다. 이후 TAGORE AIR, PF AIRWAYS와 삼자 빅딜을 체결함에 따라 가지고 있던 A330-900neo를 전부 타고르 항공으로 넘겼고 A350-900을 더 가져왔다.[7]

화물기는 B737-400F기종만 보유하였다. 알파카항공 시절부터 사용해 오던 여객기를 개조하여 사용하였다. 화물 사업을 적극적으로 할 것은 아닌 것으로 보여 협동체 화물기만 소량 운용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이전과 함께 해당 화물기들도 전부 처분되었다. 아마도 화물은 접은것으로 보인다.

현역 기재

퇴역 기재

등록기호 제작사 기종 비고
YR-APA 보잉 B737-300 노후화로 퇴역
YR-APB 보잉 B737-300 노후화로 퇴역
YR-APC 보잉 B737-300 노후화로 퇴역
YR-APD 보잉 B737-300 노후화로 퇴역
YR-ARM 보잉 B737-400 노후화로 퇴역
YR-ARN 보잉 B737-400 노후화로 퇴역
YR-OOZ 보잉 B737-800 PF 인수 직후 기종 정리 명분으로 처분
YR-OZA 에어버스 A321-200 경영 안정화 이후 매각
YR-OZB 에어버스 A321-200 경영 안정화 이후 매각
YR-OZC 에어버스 A321-200 경영 안정화 이후 매각
YR-PAA 에어버스 A330-900NEO TAGORE AIR로 매각
YR-PAB 에어버스 A330-900NEO TAGORE AIR로 매각
YR-PAC 에어버스 A330-900NEO TAGORE AIR로 매각
YR-PAD 에어버스 A330-900NEO TAGORE AIR로 매각
YR-PAE 에어버스 A330-900NEO TAGORE AIR로 매각

운항 노선

국내선

PF AIR ALPACA (Kingdom of Yugoslavia flag.png 유고 본사) 국내선
출발지도착지기종운항횟수
베오그라드(BEG)자그레브 국제공항(ZAG)A220-300, A320neo,
A321neo, A330-900neo
일 16회
베오그라드(BEG)자다르 공항(ZAD)A220-300, A320neo일 2회
베오그라드(BEG)스플리트 공항(SPU)A220-300, A320neo, A321neo일 6회
베오그라드(BEG)두브로브니크 공항(DBV)A321neo일 4회
베오그라드(BEG)사라예보 국제공항(SJJ)A320neo, A321neo일 6회
베오그라드(BEG)류블라냐 공항(LJU)A320neo, A321neo일 4회
베오그라드(BEG)니시 페타르 1세 공항(INI)A220-300일 2회
베오그라드(BEG)스코페 공항(SKP)A220-300일 2회
자그레브 국제공항(ZAG)자다르 공항(ZAD)A220-300, A320neo일 2회
자그레브 국제공항(ZAG)스플리트 공항(SPU)A220-300, A320neo일 5회
자그레브 국제공항(ZAG)두브로브니크 공항(DBV)A320neo, A321neo일 5회
자그레브 국제공항(ZAG)사라예보 국제공항(SJJ)A220-300, A320neo일 4회
자그레브 국제공항(ZAG)니시 페타르 1세 공항(INI)A220-300일 2회


국제선

흑해권역 노선

국가도시공항취급기종편명
PF AIR ALPACA (Kingdom of Yugoslavia flag.png 자그레브발) 국제선
Flag of Ukraine.svg키예프키예프 보리스폴 국제공항(KBP)모두A321neo100,101
(예비)102,103
Flag of Ukraine.svg오데사오데사 국제공항(ODS)여객A220-300104,105
Flag of Ukraine.svg하르키우하르키우 국제공항(HRK)여객A320neo106,107


서유럽 노선

국가도시공항취급기종편명
PF AIR ALPACA (Kingdom of Yugoslavia flag.png 자그레브 착발) 국제선
영국 국기.svg런던런던 리스로 공항(LHR)모두A350-900
A321neo
1000,1001
1002,1003
1004,1005
영국 국기.svg버팅엄버팅엄 공항(BHX)여객A321neo1006,1007
영국 국기.svg맨체스터맨체스터 국제공항(MAN)모두A350-900
A320neo
1008,1009
(예비)1010,1011
영국 국기.svg리버풀리버풀 존 레논 국제공항(LPL)여객A321neo1012,1013
영국 국기.svg글래스고글레스고 국제공항(GLA)모두A321neo1014,1015
(예비)1016,1017
영국 국기.svg에든버러에든버러 국제공항(EDI)여객A321neo1018,1019
네덜란드 국기.png암스테르담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AMS)모두A350-900
A321neo
900,901
902,903
(예비)904,905
네덜란드 국기.png로테르담로테르담-헤이그 국제공항(RTM)모두A321neo906,907
네덜란드 국기.png에인트호번에인트호번 국제공항(EIN)모두A321neo908,909
PF AIR ALPACA (Kingdom of Yugoslavia flag.png 베오그라드 착발) 국제선
영국 국기.svg런던런던 리스로 공항(LHR)모두A321neo1020,1021
1022,1023
영국 국기.svg맨체스터맨체스터 국제공항(MAN)모두A321neo1024,1025
(예비)1026,1027
영국 국기.svg리버풀리버풀 존 레논 국제공항(LPL)여객A320neo1028,1029
영국 국기.svg글래스고글레스고 국제공항(GLA)여객A320neo1030,1031
영국 국기.svg에든버러에든버러 국제공항(EDI)여객A321neo1032,1033

중부유럽 노선

국가도시공항취급기종편명
PF AIR ALPACA (Kingdom of Yugoslavia flag.png 자그레브 착발) 국제선
흑적금연방삼색기1.png프랑크푸르트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국제공항(FRA)모두A350-900
A321neo
1500,1501
1502,1503
(예비)1504,1505
흑적금연방삼색기1.png뮌헨뮌헨 국제공항(MUC)모두A350-900
A321neo
1506,1507
1508,1509
흑적금연방삼색기1.png퀄른퀄른-본 국제공항(CGN)여객A321neo1510,1511
흑적금연방삼색기1.png뒤셀도르프뒤셀도르프 국제공항(DUS)여객A321neo1512,1513
흑적금연방삼색기1.png베를린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빌리브란트 국제공항(BER)여객A321neo1514,1515
(예비)1516,1517
스위스의 깃발.svg취리히취리히 국제공항(ZRH)모두A321neo490,491
스위스의 깃발.svg제네바제네바 국제공항(GVA)모두A321neo492,493
폴란드 국기.jpg바르샤바바르샤바 쇼팽 국제공항(WAW)모두A350-900
A321neo
1600,1601
1602,1603
폴란드 국기.jpg크라쿠프크라쿠프 요한 바오르 2세 국제공항(KRK)여객A321neo1604,1605
폴란드 국기.jpg그단스크그단스크 레흐 바웬사 공항(GDN)모두A321neo1606,1607
폴란드 국기.jpg카토비체카토비체 보이치에흐 코르판티 공항(KTW)모두A321neo1608,1609
폴란드 국기.jpg브로츠와프브로츠와프 미코와이 코페르니크 공항(WMI)모두A321neo1610,1611
폴란드 국기.jpg포즈난포즈난-와비카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 공항(POZ)모두A321neo1612,1613
PF AIR ALPACA (Kingdom of Yugoslavia flag.png 베오그라드 착발) 국제선
스위스의 깃발.svg취리히취리히 국제공항(ZRH)모두A321neo494,495
스위스의 깃발.svg제네바제네바 국제공항(GVA)모두A321neo496,497

북유럽 노선

국가도시공항취급기종편명
PF AIR ALPACA (Kingdom of Yugoslavia flag.png 자그레브 착발) 국제선
Flag of Iceland.svg레이캬비크케플라비크 국제공항(KEF)모두A321neo550,551
552,553

서아시아 노선

국가도시공항취급기종편명
PF AIR ALPACA (Kingdom of Yugoslavia flag.png 자그레브 착발) 국제선
터키 국기.png콘스탄티니예이스탄불 국제공항(IST)모두A350-900
A321neo
3000,3001
3002,3003
터키 국기.png트라브존트라브존 국제공항(TZX)여객A220-300
A320neo
3006,3007
터키 국기.png앙카라에센보아 국제공항(ESB)여객A321neo3008,3009

동북아시아 노선

국가도시공항취급기종편명
PF AIR ALPACA (Kingdom of Yugoslavia flag.png 자그레브 착발) 국제선
태극기.png서울(인천)인천국제공항(ICN)코드쉐어A330-900neoTW6800,TW6801
Flag of Japan.svg도쿄하네다 국제공항(HND)모두A350-9008100,8101
Flag of Japan.svg오사카간사이 국제공항(KIX)모두A350-9008102,8103
대부여국 국기.png예성예성 국제공항모두A350-9008150,8151
대부여국 국기.png삼산삼산 국제공항모두A350-9008152,8153
홍콩 국기.png홍콩홍콩 국제공항모두A350-9008190,8191
  1. 현재는 루마니아에서 철수하였다.
  2. 모회사인 PF AIRWAYS는 902를 쓴다.
  3. 광동체 항공기인 A350-900기종에서만 가능하다.
  4. 선택할 수 있는 종류가 몇 없다.
  5. PF계열 항공사 중에서는 최초의 보잉 MAX계열이었다.
  6. 사실상 받아온 것이다.
  7. 성공적인 기종 단일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