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호천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그리스도교]] 문화권에서, 각각의 [[인간]]을 수호하기 위해 [[천국]]에서 파견된 [[천사]]. 한 사람마다 한 위씩 붙어있다.
[[그리스도교]] 문화권에서, 각각의 [[인간]]을 수호하기 위해 [[천국]]에서 파견된 [[천사]]. 한 사람마다 한 위씩 붙어있다.
==상세==
그리스도교적 수호천사는 [[유대교]]의 [[탈무드]]에 나오는 것이 기원이라고 본다. 꼭 유대교만이 아니라도 사람들을 지켜주는 영적 존재는 다른 종교관에서도 널리 있는 개념으로 [[그리스-로마 신화|그리스-로마 다신교]]에서도 자신의 가문을 지켜주는 신을 섬기거나 하는 일은 드물지 않았으며 조로아스터교에도 비슷한 것이 있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수호천사의 개념을 인정하는데, 매년 10월 2일을 수호천사 기념일로 정해 수호천사에 대한 공경을 권장하고 있으며,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발언으로 직접 인정되기도 했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수호천사의 성경적 근거로 일반적으로
----
----
[[분류:천사]]
[[분류:천사]]

2023년 12월 2일 (토) 13:26 판

수호천사.webp

개요

주님께서 당신 천사들에게 명령하시어 네 모든 길에서 너를 지키게 하시리라. 행여 네 발이 돌에 차일세라 그들이 손으로 너를 받쳐 주리라.
- 시편 91,11[1]
한 사람이 자신의 약함에도 불구하고 정직하게 선한 일을 행하려 하면 천사들이 그 모습을 보고 곧장 달려와 그 사람을 돕는다.
- 쇠렌 키르케고르
우리가 어디를 가든 천사들은 우리 곁을 날아다니며, 우리가 어디서 몸을 돌리든 천사들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빛 속에서 그들을 알아보지 못하며 그들에게 어떤 이름을 붙여야 할지도 모른다.
- 요한 미하엘 프리드리히 뤼케르트 (Johann Michael Friedrich Rückert, 1788 ∼1866)[2]

守護天使 / Guardian Angel

그리스도교 문화권에서, 각각의 인간을 수호하기 위해 천국에서 파견된 천사. 한 사람마다 한 위씩 붙어있다.

상세

그리스도교적 수호천사는 유대교탈무드에 나오는 것이 기원이라고 본다. 꼭 유대교만이 아니라도 사람들을 지켜주는 영적 존재는 다른 종교관에서도 널리 있는 개념으로 그리스-로마 다신교에서도 자신의 가문을 지켜주는 신을 섬기거나 하는 일은 드물지 않았으며 조로아스터교에도 비슷한 것이 있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수호천사의 개념을 인정하는데, 매년 10월 2일을 수호천사 기념일로 정해 수호천사에 대한 공경을 권장하고 있으며,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발언으로 직접 인정되기도 했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수호천사의 성경적 근거로 일반적으로


  1. 여담으로 내용은 광야의 유혹에서도 나오는데 악마가 예수에게 예루살렘 성전에서 뛰어내려 보라고 유혹할 때 이전 유혹에서 예수가 성경을 인용해 뿌리친 것에 대응해 이를 인용했다.(=뛰어내려도 천사들이 받쳐줄테니 안전할 거라는 뜻) 이에 예수는 주 하느님을 시험하지 말라고 하지 않았냐고 받아쳐 유혹을 뿌리쳤다.
  2. 프러시아의 시인,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