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국(광영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50번째 줄: 50번째 줄:
 
4356년 7월 21일 '''민주화'''
 
4356년 7월 21일 '''민주화'''
 
4356년 7월 21일 '''임가은 총리 취임(민주정부)'''
 
4356년 7월 21일 '''임가은 총리 취임(민주정부)'''
4356년 7월 23일 '''쿠데타'''
+
4356년 7월 23일 '''김피타의 쿠데타'''
 
4356년 7월 23일 '''김피타 총리 취임(군사정부)'''
 
4356년 7월 23일 '''김피타 총리 취임(군사정부)'''
 +
4356년 7월 31일 '''국제연맹 설립'''
 
4356년 8월 8일 '''민주화'''
 
4356년 8월 8일 '''민주화'''
 
4356년 8월 8일 '''박수아 총리 취임(민주정부)'''
 
4356년 8월 8일 '''박수아 총리 취임(민주정부)'''
4356년 8월 27일 '''쿠데타'''
+
4356년 8월 27일 '''안나윤의 쿠데타'''
 
4356년 8월 27일 '''안나윤 총리 취임(군사정부)'''
 
4356년 8월 27일 '''안나윤 총리 취임(군사정부)'''
 
4356년 10월 24일 '''민주화'''
 
4356년 10월 24일 '''민주화'''
 
4356년 10월 24일 '''이하나 총리 취임(민주정부)'''
 
4356년 10월 24일 '''이하나 총리 취임(민주정부)'''
4356년 12월 2일 '''쿠데타'''
+
4356년 12월 2일 '''김지현의 쿠데타'''
 
4356년 12월 2일 '''김지현 총리 취임(군사정부)'''
 
4356년 12월 2일 '''김지현 총리 취임(군사정부)'''
 +
4356년 12월 9일 '''키보토스 독립 국가 연방 설립'''
 
|-
 
|-
 
|}
 
|}

2023년 12월 9일 (토) 22:06 판

대한국
大韓國

태극기(1884).png 대한국 국장.png
국기 국장
광명천지
상징
국가 애국가, 조국찬가
국화 오얏꽃(황실 및 국가), 무궁화(정부)
국조 참매, 까치
국목 소나무
위치
대한국 전도.png
한반도와 간도 및 구 부속도서
역사
4355년 8월 10일 건국

4356년 7월 21일 민주화
4356년 7월 21일 임가은 총리 취임(민주정부)
4356년 7월 23일 김피타의 쿠데타
4356년 7월 23일 김피타 총리 취임(군사정부)
4356년 7월 31일 국제연맹 설립
4356년 8월 8일 민주화
4356년 8월 8일 박수아 총리 취임(민주정부)
4356년 8월 27일 안나윤의 쿠데타
4356년 8월 27일 안나윤 총리 취임(군사정부)
4356년 10월 24일 민주화
4356년 10월 24일 이하나 총리 취임(민주정부)
4356년 12월 2일 김지현의 쿠데타
4356년 12월 2일 김지현 총리 취임(군사정부)
4356년 12월 9일 키보토스 독립 국가 연방 설립

지리
수도 경성도호부
최대도시 경성도호부
접경국 대만주제국, 대일본국, 중화민국, 광동국
인문환경
인구 전체인구 1억 7000만(가상)
334명(오픈채팅방)[1]
민족구성 한민족 97%, 기타 3%
국교 유교
종교 분포 유교 71%, 불교 16%, 천도교 10%, 기타 2%, 무종교 1%
공용어 한국어
지역어 제주어, 육진어, 일본어, 만주어, 러시아어, 북경어, 광동어
국방군 대한국 황군
주둔군 국제연맹 평화유지군 및 안보지원군
행정구역
도급 도, 도, 부
시급 시, 현, 군
읍급 읍, 면, 시(읍급시)
정치
정치체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간접민주주의, 양원제, 다당제[2], 선거인단제도[3], 단일국가[4], 군부독재, 군정체제
대황제
(국가원수)
광영제
내각총리대신
(정부수반)
김지현
정부요인 참정대신 이상규
내각관방대신 이상규[5]
참의원 의장
민의원 의장
여당 자유당
경제
경제체제 계획경제, 국가자본주의, 협동조합주의
화폐 공식화폐 대한국 원
화폐기호
단위
법정연호 광영[6], 단군기원[7][8]
시간대 UTC +9:00
도량형 미터법
외교
국제연맹 가입일 단기 4356년
기옥연방 가입일 단기 4356년 12월 9일
국가코드

국제전화코드
81
[[파일:|30px]]
  1. 현 카카오톡 가상국가 中 인구수 1위
  2. 사실상 일당우위제
  3. 국회의원이 선거인단(국가재건최고회의 혹은 민족주체회의)을 구성하나 사실상 의원내각제와 다른게 없다
  4. 연방제 도입 논의가 있기때문에 연방제를 실행할 가능성도 있다
  5. 겸직
  6. 광영제 이원의 연호 (광영19년 = 서기2023년)
  7. 단기 4356년 = 서기 2023년
  8. 과거엔 무조건 단군기원 사용을 강제했으나 현재는 광영 연호를 더 많이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