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표범: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FF6600; max-width:450px; width:100%; float:right; text-align:1.05em" ! colspan="3" style="background:#FF6600 ; color:#fff" | {{글씨 크...)
 
34번째 줄: 34번째 줄:


==개요==
==개요==
학명은 ''Panthera uncia''. 우리말로는 눈표범. 설표(雪豹)라고도 한다. 서식지는 [[몽골]], [[티베트]], [[중국]], [[아프가니스탄]], [[네팔]], [[부탄]], [[중앙아시아]], [[바이칼 호]], [[러시아]]의 일부 지역이다. 일부는 [[인도]]와 [[파키스탄]]에서도 서식한다.


일단 이름은 [[표범]]이지만, 표범과 엄연히 다른 종이고 실제로는 [[호랑이]]와 먼 친척이다. 현생 표범속의 조상뻘에 해당한다.[* 조상뻘이지 절대 조상은 아니다. 그럼에도 조상뻘에 해당하는 이유는 표범속에 속하는 공통조상의 고향이 히말라야다.] 표범속 공통조상의 화석의 모습이 [[http://ecotopia.hani.co.kr/176987|참고 기사]]를 보면 알겠지만 현재의 눈표범과 거의 흡사한 편이다. 과거 ''Panthera'' 속이었다가 두개골이 [[치타]]와 비슷하고 [[https://www.youtube.com/watch?v=Y-LTMyg5WAw|포효를 하지 못한다는 점]]을 들어 ''Uncia'' 속으로 따로 분류했는데, 후일 이뤄진 유전학적 연구에 의해 호랑이와의 공통점이 발견되어 최근엔 다시 표범속으로 분류하는 추세다. 실제로 [[멸종 위기 동물|IUCN의 레드 리스트]]에서의 표기가 ''Panthera uncia''로 변경되었고 많은 매체에서도 다시 ''Panthera''로 표기하고 있다고 한다. [[갈색하이에나]]와 비슷한 케이스. 최근에 다시 표범속이라고 확정되고 호랑이와 가장 가깝다고 드러났다. 고양이과 포유류 중 호랑이와 함께 '프루스텐'[* prusten. 호랑이가 내는 일종의 콧바람 같은 소리. 서구권 동물원 사육사들은 대체로 프루스텐 보다는 Chuffing(처핑)이라고 많이 부른다. 글로 묘사하면 추후후훅 정도이다. 상대를 해칠 의사가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고 친한 개체간 인사로도 활용된다. 소설 '[[파이 이야기]]'에서 묘사된 바 있다.]이 가능한 두 종 중 하나다. 그리고 얼굴 모양을 봐도 표범보다는 호랑이와 더 비슷하다.
----
[[분류:눈표범]]
[[분류:눈표범]]

2023년 12월 20일 (수) 02:00 판

눈표범
雪豹(설표) | Snow leopard
100%
학명 Panthera uncia
(Schreber, 1775)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고양이과Felidae
표범속Panthera
눈표범 P. uncia

개요

학명은 Panthera uncia. 우리말로는 눈표범. 설표(雪豹)라고도 한다. 서식지는 몽골, 티베트, 중국, 아프가니스탄, 네팔, 부탄, 중앙아시아, 바이칼 호, 러시아의 일부 지역이다. 일부는 인도파키스탄에서도 서식한다.

일단 이름은 표범이지만, 표범과 엄연히 다른 종이고 실제로는 호랑이와 먼 친척이다. 현생 표범속의 조상뻘에 해당한다. 조상뻘이지 절대 조상은 아니다. 그럼에도 조상뻘에 해당하는 이유는 표범속에 속하는 공통조상의 고향이 히말라야다. 표범속 공통조상의 화석의 모습이 참고를 보면 알겠지만 현재의 눈표범과 거의 흡사한 편이다. 과거 Panthera 속이었다가 두개골이 치타와 비슷하고 포효를을 들어 Uncia 속으로 따로 분류했는데, 후일 이뤄진 유전학적 연구에 의해 호랑이와의 공통점이 발견되어 최근엔 다시 표범속으로 분류하는 추세다. 실제로 IUCN의 레드 리스트에서의 표기가 Panthera uncia로 변경되었고 많은 매체에서도 다시 Panthera로 표기하고 있다고 한다. 갈색하이에나와 비슷한 케이스. 최근에 다시 표범속이라고 확정되고 호랑이와 가장 가깝다고 드러났다. 고양이과 포유류 중 호랑이와 함께 '프루스텐' prusten. 호랑이가 내는 일종의 콧바람 같은 소리. 서구권 동물원 사육사들은 대체로 프루스텐 보다는 Chuffing(처핑)이라고 많이 부른다. 글로 묘사하면 추후후훅 정도이다. 상대를 해칠 의사가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고 친한 개체간 인사로도 활용된다. 소설 '파이 이야기'에서 묘사된 바 있다.이 가능한 두 종 중 하나다. 그리고 얼굴 모양을 봐도 표범보다는 호랑이와 더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