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48번째 줄: 48번째 줄:
  
 
그리즐리라는 말이 유명한데, 한국에서 [[회색곰]]으로 번역하는 이 단어는 바로 북미에 서식하는 모든 불곰을 통틀어 부르는 서양권의 고유명사다. 혹은 ''Ursus arctos horribilis''라는 학명을 사용하는 아종을 나타내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그리즐리라는 말이 유명한데, 한국에서 [[회색곰]]으로 번역하는 이 단어는 바로 북미에 서식하는 모든 불곰을 통틀어 부르는 서양권의 고유명사다. 혹은 ''Ursus arctos horribilis''라는 학명을 사용하는 아종을 나타내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
 +
==생태==
 +
<youtube>TSSPDwAQLXs</youtube>
 
----
 
----
 
[[분류:불곰]]
 
[[분류:불곰]]

2023년 12월 24일 (일) 20:27 판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png 불곰의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불곰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불곰 (큰곰, 갈색곰, 갈색큰곰, 황웅)
Brown bear
불곰.webp
학명 Ursus arctos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아목 개아목Caniformia
곰과Ursidae
큰곰속Ursus
불곰 U. arctos

개요

유라시아북미 전역에 걸쳐 서식하는 과의 대형 포유류. 흔히 곰 하면 가장 쉽게 떠오르는 종이며 한때 북아프리카의 아틀라스불곰, 멕시코의 멕시코불곰, 캘리포니아의 캘리포니아불곰도 있었으나 현재는 멸종했다.

이름의 어원

우리나라에서는 본디 반달가슴곰을 '곰'이라고 부르고, 불곰을 큰곰이라고 불렀다. 지금도 북한에서는 여전히 큰곰이란 말을 사용한다. 남한에서 자주 사용하는 불곰이란 말은 일본어 표현인 히구마(ヒグマ: 緋熊)에서 유래했다. 그래서 위키백과 등에서는 불곰이란 말 대신 큰곰을 표제어로 사용한다. 큰곰, 불곰뿐만 아니라 갈색곰이란 이름으로도 부르기도 한다.

일본에서도 원래 불곰을 히구마가 아닌 시구마(シクマ)로 불렀는데, 이는 羆(큰곰 비)에서 四(시)와 熊(구마)을 따로 읽은 것이라는 설이 있다.

그리즐리라는 말이 유명한데, 한국에서 회색곰으로 번역하는 이 단어는 바로 북미에 서식하는 모든 불곰을 통틀어 부르는 서양권의 고유명사다. 혹은 Ursus arctos horribilis라는 학명을 사용하는 아종을 나타내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생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