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소비에트 총동원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대소비에트 총동원령''' (對소비에트 總動員令, {{llang|fr|Mobilisation totale régionale contre l'URSS}}))
 
1번째 줄: 1번째 줄:
'''대소비에트 총동원령''' (對소비에트 總動員令, {{llang|fr|Mobilisation totale régionale contre l'URSS}})
+
'''대소비에트 총동원령''' (對소비에트 總動員令, {{llang|fr|Mobilisation totale régionale contre l'URSS}})은 1942년 1월 11일 비시 프랑스 [[조선국 총독부]]의 조선국 총독령으로, 조선국 총독부 관할지 전역에 발효되었다.
 +
 
 +
== 배경 ==
 +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비시 프랑스의 종주국 [[나치 독일]]은 [[소비에트 연방]]을 대대적으로 침공했다. 그러나 [[모스크바 공방전]]과 [[스탈린그라드 공방전]]에서의 전선 교착화, [[라스푸티차]]로 대표되는, 기후와 풍토의 불리함으로 인해 나치 독일은 좀처럼 소련을 압박하지 못하고 있었고, 나치 독일 지도부는 비시 프랑스의 식민지 지역으로 소련과 접하고 있던 조선국 총독부가 독일의 동맹국인 [[나치 일본]]과 합세하여 소련을 후미에서 공격해 양면전선을 구성하여주기를 요구하였다.
 +
 
 +
[[나치 일본]]은 1938년 “[[정명가도|만주의 일본인들을 보호하러 가야 하니 경부선, 경의선 철도를 군사 이동 수단으로 빌려달라]]”는 명목으로 부산항에서 군사 시위를 하다가 조선국 총독부와 부딪친 [[부산항 포격 사건]]으로 인해 조선국 총독부와 관계가 좋지 않았으므로, 독일의 당초 요구와는 달리 양국은 저마다 독자적으로 소련 침공 계획을 수립했다. 단독으로 소련 영내에 들어가는 것을 꺼려한 조선국 총독부는 나치 일본 측에 작전 협력을 요구하여 성사시키지만, 그 결과에 대해서는 [[제1차 할힌골 전투]], [[제2차 할힌골 전투]]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다.
 +
 
 +
드 퐁자크 총독은 비시 프랑스 수립 직후 친임파에서 나치 지지로 전향한 [[나치계 친임파]] 인사들을 각 부서의 실무자로 기용했다. 처음부터 역사에 알려진 바와 같이 악독하지는 않았던 대소 전략 구상이 변한 것이 바로 이 나치계 친임파 인사들의 전횡때문이었다.
 +
 
 +
총독이 독일의 요구를 받아들었을 때 의도했던 바는 전형적인 보여주기식이었다. 아직 조선반도의 인문과 지리에 대한 파악이 되지 않았고, 내부에서 점점 거세지는 독립운동 문제나 황실과의 갈등 또한 “수습”해야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나치당의 요구대로 무리하게 소련을 침공하려 했다가는 주민들의 대대적 반발은 물론, 가공할 육군력을 보유한 것처럼 “여겨지던” 소련군의 역습으로 전국토가 초토화될 가능성이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총독의 우려는1941년 11월 실무자들이 모인 총독부 전체 회의에서, “불똥이 튀지 않는 불꽃놀이는 없지만, 분명한 것은 튈 불똥의 양만큼은 가능한 만큼 줄이고 싶다는 것”이라는 모두발언을 통해 역력히 드러난다.
 +
 
 +
하여 총독은 최대 3~4천의 에마뉘엘 군경과 일부 조선인 출신 군관들로 구성된 2개 기보병연대이들에게는 일신의 영달이 민족의 독립이나 중흥보다 훨씬 중요한 가치였으므로,
 +
 
 +
== 전개 ==
 +
성하기 위해 인적, 물적 자원을 공납하

2018년 10월 14일 (일) 14:54 판

대소비에트 총동원령 (對소비에트 總動員令, 프랑스어: Mobilisation totale régionale contre l'URSS)은 1942년 1월 11일 비시 프랑스 조선국 총독부의 조선국 총독령으로, 조선국 총독부 관할지 전역에 발효되었다.

배경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비시 프랑스의 종주국 나치 독일소비에트 연방을 대대적으로 침공했다. 그러나 모스크바 공방전스탈린그라드 공방전에서의 전선 교착화, 라스푸티차로 대표되는, 기후와 풍토의 불리함으로 인해 나치 독일은 좀처럼 소련을 압박하지 못하고 있었고, 나치 독일 지도부는 비시 프랑스의 식민지 지역으로 소련과 접하고 있던 조선국 총독부가 독일의 동맹국인 나치 일본과 합세하여 소련을 후미에서 공격해 양면전선을 구성하여주기를 요구하였다.

나치 일본은 1938년 “만주의 일본인들을 보호하러 가야 하니 경부선, 경의선 철도를 군사 이동 수단으로 빌려달라”는 명목으로 부산항에서 군사 시위를 하다가 조선국 총독부와 부딪친 부산항 포격 사건으로 인해 조선국 총독부와 관계가 좋지 않았으므로, 독일의 당초 요구와는 달리 양국은 저마다 독자적으로 소련 침공 계획을 수립했다. 단독으로 소련 영내에 들어가는 것을 꺼려한 조선국 총독부는 나치 일본 측에 작전 협력을 요구하여 성사시키지만, 그 결과에 대해서는 제1차 할힌골 전투, 제2차 할힌골 전투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다.

드 퐁자크 총독은 비시 프랑스 수립 직후 친임파에서 나치 지지로 전향한 나치계 친임파 인사들을 각 부서의 실무자로 기용했다. 처음부터 역사에 알려진 바와 같이 악독하지는 않았던 대소 전략 구상이 변한 것이 바로 이 나치계 친임파 인사들의 전횡때문이었다.

총독이 독일의 요구를 받아들었을 때 의도했던 바는 전형적인 보여주기식이었다. 아직 조선반도의 인문과 지리에 대한 파악이 되지 않았고, 내부에서 점점 거세지는 독립운동 문제나 황실과의 갈등 또한 “수습”해야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나치당의 요구대로 무리하게 소련을 침공하려 했다가는 주민들의 대대적 반발은 물론, 가공할 육군력을 보유한 것처럼 “여겨지던” 소련군의 역습으로 전국토가 초토화될 가능성이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총독의 우려는1941년 11월 실무자들이 모인 총독부 전체 회의에서, “불똥이 튀지 않는 불꽃놀이는 없지만, 분명한 것은 튈 불똥의 양만큼은 가능한 만큼 줄이고 싶다는 것”이라는 모두발언을 통해 역력히 드러난다.

하여 총독은 최대 3~4천의 에마뉘엘 군경과 일부 조선인 출신 군관들로 구성된 2개 기보병연대이들에게는 일신의 영달이 민족의 독립이나 중흥보다 훨씬 중요한 가치였으므로,

전개

성하기 위해 인적, 물적 자원을 공납하